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RgzX
안녕~ 오늘은 러시아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러시아 소개
2. 러시아 경제상황-1
3. 러시아 경제상황-2
4.국제유가와 러시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러시아 소개

러시아는 중국 북쪽에 위치한 거대한 나라로
땅이 한반도의 77배로 어마어마하게 크며

인구가 1억 4천만이 넘는 대국이라고 해. (2015)
러시아는 1인당 GDP가 8.184 달러로
상당히 많이 낮고 (2015. IMF)

국가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가
세계 50위권 밖으로 후진 나라지만 (2012)
광활한 영토에 각종 광물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2007)

경제규모 순위가 세계 15위라
무시할만한 나라는 아닌 것 같아. ㅎㅎ (2015.IMF)
그리고 러시아는 기독교의 한 분파인
러시아 정교를 믿으며

러시아만의 독특한 문화가 있고 (곰?)
동유럽 주변국가들을
아우르는 지역 강국이야. (2012)
또 러시아는 군사비에 엄청나게
많은 돈을 쓰는 군사 강대국으로 (2012)
군사력의 양적 측면에서
미국과 견줄만해서
우크라이나 내전과 시리아 내전에
깊게 개입할 정도의 강대국이라고 해.
1. 러시아 소개
1) 러시아는 북방의 거대한 나라로 영토와 인구가 많음.
2) 1인당 GDP와 국가경쟁력순위를 보면 많이 후진 편임.
3) 군사 강대국으로 국제정치에 많이 개입하고 있음.
2. 러시아 경제상황-1
러시아는 저유가(Low oil price)에
큰 고통을 받는 나라로
경제의 절반 정도를
석유 수출에 의존하다 보니
(출처 : IMF 보고서)
유가하락으로 경제가 크게 운지하게 되었어. ㅎㅎ

러시아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3.8% 정도로 매우 심각했고 (2015)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ㄷㄷ (2015)
그리고 러시아가 이렇게 운지한 이유는
산업의 50%가 에너지 산업이고 (2011)

정부 재정수입의 약 50%를
석유 수출에서 얻고 있는데 (2015)
(브랜트유 가격. 달러당 루블화 환율)
국제유가가 2014년도 말에
갑자기 급락하자 (2014)

국제신용평가 3사가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하고 (2015)
외국자본이 큰 폭으로 빠져나가면서 (2015)
러시아의 기업과 금융 등의 경제가
심하게 압박 당해서 그런 것이라고 해.ㄷㄷ (2015)
2. 러시아 경제상황-1 요약
1) 러시아 경제는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임.
2) 경제운지 이유는 저유가와 외국자본 유출 탓이 큼.
3) 러시아 경제의 50%를 석유에 의존해서 저유가에 취약함.
3. 러시아 경제상황-2

저유가로 러시아 화폐가치가 폭락해서
달러랑 루블화 환율이 2배 가까이 상승했고 (2015.12)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물가도 큰 폭으로 올라갔어. (2015)
그리고 물가상승만큼 임금이 상승하지 못해
실질임금이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되었고 (2015)
실질임금 하락으로
소매판매가 급운지해서 (2015)
소매판매가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라고 해. ㄷㄷ (2015.11)

또 외국자본 유출로 금융이 압박받자
대출(Lending)이 급감해서 (2015)
러시아의 산업생산은
광산업 부진, 소비침체, 금융불안 등으로
역시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ㄷㄷ (2015.11)

다만 무역수지 흑자는 여전히 유지 중인데
이는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가 더 커서 그런 것으로 (2015.07)
이거 덕분에 자본유출로 급감했던
외환보유고가 (2015)
1년 가까이 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어. (2015.11)
3. 러시아 경제상황-2
1) 러시아 물가상승률이 매우 높아서 소비가 침체되었음.
2) 화폐가치 폭락으로 수입물가가 급상승한 것이 원인.
3) 경제운지로 산업생산이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성장 중임.
4. 국제유가와 러시아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러시아는 천연가스와 원유를 많이 수출하고 (2014. 수출구조)
제조업 제품, 화학제품, 의류, 농산물, 기타 등등을
수입하는 나라라 (2014. 수입구조)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큰 고통을 받는 중이야. (2015.12)

그런데 최근 들어 국제유가가
더욱 하락하고 있어서 (2016.01)
러시아에게 큰 걱정거리가
될 것이라 생각해. ㄷㄷ (2015)
국제유가 하락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2016)

최근 하락세는 주로
중국의 경기침체 때문으로 (2015.10. 중국 전력생산)
미국(US)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훨씬 많고 (2012)
전세계 석유(Oil)의 12%를 소비하고
전세계 가스(Gas)의 6%를 소비하는
중국의 경기침체가 유가하락을 유도하고 있어. (2015)

이런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으로 러시아 환율은
달러당 80루블을 향해 가고 있어서 (2016.01)
러시아 물가상승률이 더 올라갈 수 있고 (2015.10)
부도위험 지수가 더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해. ㄷㄷ (2015.10)
다만 러시아가 중동 산유국들보단
제조업이 있는 편이라
(원유생산의 재정수입 비중)
다른 산유국들보다 먼저 망하진 않을 것 같아. ㅎㅎ (2015)
4. 국제유가와 러시아 요약
1) 국제유가 하락은 러시아 외환보유고 감소를 유발함.
2) 루블화 환율이 달러당 80루블을 향해 가고 있음. 위험함.
3) 최근 국제유가 하락은 중국의 경기침체 탓으로 생각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254773618
3줄 요약
1. 러시아는 경제의 50%가 석유 산업이라 저유가에 취약함.
2. 경제성장률이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환율이 폭등함.
3. 최근 국제유가가 30달러 이하로 가고 있어서 러시아가 위험해질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