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8oXdn

항공짤.jpg


안녕~ 오늘은 항공산업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항공산업 소개


2. 우리나라 항공여객


3. 최근 실적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항공산업 소개


여객기_20140317_동아.jpg 


항공산업이란 비행기와 관련된 산업으로 (2014)








항공산업구조.jpg 



크게 비행기 제조, 정비,


항공운송으로 이루어졌어. 







여객기_201001211_아시아경제.jpg 


비행기는 매우 복잡한 물건이라


만들기 어려운 첨단산업으로 








항공산업.JPG


비행기를 자체제작할 수 있는 나라는 


많지 않은 편이야. 








20140722_우리나라전투기.jpg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조산업은 


주로 방위산업으로 








항공산업_201506_한경.jpg 

(40억 달러=약 4조 7천억원)


항공산업의 생산규모를 볼때


비교적 작은거 같아. ㅎㅎ (2014)








항공기정비.JPG


또 항공정비 산업는 비행기가 


워낙 까다로운 물건이고







항공기사고.jpg


까딱하면 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해서 








비행기정비_20090716_중앙.JPG


항공기 정비는 매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해. (2009)








pan_american_world_airways_1941_24_29_p2_grande.jpg 


그리고 비행기로 사람과 화물을 운반하는


항공운송 산업이 있는데 







파리.JPG 


우리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항공노선.JPG 

(전세계 항공기 노선도)


항공산업의 주력 산업이라


항공운송을 중심으로 쓸 생각이야. 







1. 항공산업 소개 요약


1) 항공산업은 비행지 제조, 정비, 항공운송으로 구성됨.


2)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조산업은 미국, 유럽에 비하면 많이 약함. 


3)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운송 산업을 중심으로 쓰려고 함. 







2. 우리나라 항공여객


동북아_20140228_조선.jpg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에는


인구가 무척이나 많아서 (2014)








승객규모_201412311_파이넨셜.jpg 


승객 규모도 아시아가 가장 많고 (2014)








지역성장률_20100806_매경.jpeg 

항공시장 성장률도 많이 높다고 해. ㅎㅎ (2010)








항공여객증가_20140725_이투데이.jpg 


그리고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여행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2014)







해외직구_20120319_중앙.jpg

정보통신의 발달로 


해외직구도 많이 증가해서 (2012)








항공여객증가율_20141202_조선.jpg 

항공여객 증가율이 무척 높고 (2014)








화물운송_20140109_조선.jpg 


항공 화물운송도 꾸준히 증가하는 편이야. (2014)








역사_20081013_동아.jpg 


우리나라의 항공여객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이고 (2014)








저가항공_20150320_조선.jpg 


제주항공을 비롯한 저가항공사들이 많이 있어. (2015)







인천국제공항.JPG 

(인천국제공항)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은 







우리나라공항.JPG 

(출처: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에서 


엄청나게 많이 하고 있고 (2015. 상반기)







국제선-여객항공사.JPG 

국제선의 항공운송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주축이며 (2015. 상반기)








국내선저가_20151014_머니투데이.jpg 


국내선은 저가항공사들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15. 상반기)







국내선-항공사.JPG 

저가항공사들이 많이 하는 편이야. (2015. 상반기)







2. 우리나라 항공여객 요약


1) 아시아는 승객규모가 가장 많고 항공시장 성장률도 매우 높음. 


2) 우리나라의 해외여행객 수와 항공 화물운송 증가율이 높은 편임. 


3) 국제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이고 국내선은 저가항공사들이 강함. 







3. 최근 실적


메르스_20151125_연합.jpg 


메르스 사태라는 


거대한 악재가 있었지만 (2015.11)







상반기실적-국토교통부.JPG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은 


건실하게 성장 중이고 (2015. 상반기)








항공사비용_20151118_조선.jpg 


항공사 매출원가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연류유류비가 (2015.11) 








유가하락_20150113_세계.jpg 

(12.16일 두바이가 34.82 달러) 


저유가로 크게 하락해서 







유가하락수혜20151208_연합.jpg 

항공산업은 저유가로 


큰 수혜를 볼 전망이라고 해. ㅎㅎ (2015) 








항공기_20151006_한국일보.jpg 


다만 우리나라 항공여객 투톱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은 (2015.10) 








실적_20151022_디지털타임즈.jpg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었도 


순이익이 영~ 좋지 못한 편으로 (2015.10)








주가_20151028_조선.jpg 


주가도 크게 운지한 형편이야. ㄷㄷ (2015.10)








부채비율_20150202_머니투데이.jpg 


순이익이 이렇게 나쁜 이유는


양대 항공사 모두 부채비율이 너무 높아


이자 갚기 바쁘고 (2014) 








성장률_20150117_연합.jpg 

저가항공사들의 약진과 (2015) 








외항사_20141120_동아.jpg 

외국항공사들의 성장으로 점유율이 


조금씩 깍이고 있어서 그런거 같아. (2014) 








항공화물.jpg 


그외의 문제점은 최근에 발생한


항공 화물운송 부진으로 







화물실적비율.JPG

항공 화물운송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인데 (2015)








항공화물_20150812_한경.jpg 


세계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화물운송 증가율이 좋지 못한 편이라 (2015.07)







항공화물2%감소-파이넨셜.JPG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게


근심이 되는 중이야. (2015.11) 








3. 최근 실적 요약


1) 메르스 사태가 있었어도 항공운송 시장은 건실하게 성장 중임.


2) 저유가로 연료유류비 지출 비중이 높은 항공산업이 큰 수혜를 봄. 


3) 대형항공사에 빚이 너무 많아서 순이익이 나쁜 편임.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인천국제공항2.JPG


우리나라의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하고


시설이 좋은 첨단 공항인데 








경쟁_20130927_중앙.jpg


주변국들의 공항 확장으로 


경쟁이 증가하고 있고 (2013)








허브공항_20150914_세계.jpg 

공항 환승률 증가율이 정체되어서


인천공항의 성장이 약하지고 있다고 생각해. (2015.07) 








중동_20150820_조선.jpg 


또 중동 항공사들의 약진으로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이 


어려움을 좀 겪고 있는 편이야. (2014)








인천순위_20150715_조선.jpg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최고 수준의 공항이지만 (2015)








두바이_20141117_조선.jpg 


낮은 환승률로 국제허브공항이라 하기


부족한 부분이 있어서


개선을 해야할 것 같고 (2014) 








만족도_20120711_매경.gif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도


서비스의 질을 더욱 높여야 할 것 같아. ㅎㅎ (2012)  







구조조정_20131219_중앙.jpg


그리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서


재무구조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어서 (2013)







부채비율_20150518_머니투데이.jpg 

지나치게 높은 부채비율도


조금씩 줄여나가는 중이라


기업실적도 나중에 개선될 것이고 (2015)








Korean-Air_network-Asia_june2012.jpg


항공운송 시장이 꾸준히 성장 중이라


우리나라의 항공사들은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해. ㅎㅎ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요약


1) 우리나라 인천공항은 세계최고 수준의 공항인데 환승률이 낮음. 


2) 중동항공사들의 성장으로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이 좀 뒤쳐진 편.


3) 대형항공사의 부채비율이 너무 높아서 줄일 필요성이 높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75888480







3줄 요약


1. 항공운송 산업은 해외여행객 수 증가와 항공 화물운송 증가로 성장 중임. 


2. 최근 저유가로 항공산업이 수혜를 보고 있으나 대형항공사의 순이익이 부진함. 


3. 인천국제공항이 더 발전해서 동북아 허브공항이 되면 상황이 더 좋아질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