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8oXdn

안녕~ 오늘은 항공산업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항공산업 소개
2. 우리나라 항공여객
3. 최근 실적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항공산업 소개
항공산업이란 비행기와 관련된 산업으로 (2014)
크게 비행기 제조, 정비,
항공운송으로 이루어졌어.
비행기는 매우 복잡한 물건이라
만들기 어려운 첨단산업으로

비행기를 자체제작할 수 있는 나라는
많지 않은 편이야.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조산업은
주로 방위산업으로
(40억 달러=약 4조 7천억원)
항공산업의 생산규모를 볼때
비교적 작은거 같아. ㅎㅎ (2014)

또 항공정비 산업는 비행기가
워낙 까다로운 물건이고

까딱하면 승객 전원이
사망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해서

항공기 정비는 매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해. (2009)
그리고 비행기로 사람과 화물을 운반하는
항공운송 산업이 있는데
우리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전세계 항공기 노선도)
항공산업의 주력 산업이라
항공운송을 중심으로 쓸 생각이야.
1. 항공산업 소개 요약
1) 항공산업은 비행지 제조, 정비, 항공운송으로 구성됨.
2) 우리나라의 항공기 제조산업은 미국, 유럽에 비하면 많이 약함.
3)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운송 산업을 중심으로 쓰려고 함.
2. 우리나라 항공여객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에는
인구가 무척이나 많아서 (2014)
승객 규모도 아시아가 가장 많고 (2014)
항공시장 성장률도 많이 높다고 해. ㅎㅎ (2010)
그리고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여행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2014)

정보통신의 발달로
해외직구도 많이 증가해서 (2012)
항공여객 증가율이 무척 높고 (2014)
항공 화물운송도 꾸준히 증가하는 편이야. (2014)
우리나라의 항공여객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이고 (2014)
제주항공을 비롯한 저가항공사들이 많이 있어. (2015)
(인천국제공항)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은
(출처: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에서
엄청나게 많이 하고 있고 (2015. 상반기)
국제선의 항공운송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주축이며 (2015. 상반기)
국내선은 저가항공사들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15. 상반기)
저가항공사들이 많이 하는 편이야. (2015. 상반기)
2. 우리나라 항공여객 요약
1) 아시아는 승객규모가 가장 많고 항공시장 성장률도 매우 높음.
2) 우리나라의 해외여행객 수와 항공 화물운송 증가율이 높은 편임.
3) 국제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이고 국내선은 저가항공사들이 강함.
3. 최근 실적
메르스 사태라는
거대한 악재가 있었지만 (2015.11)

우리나라의 항공 운송은
건실하게 성장 중이고 (2015. 상반기)
항공사 매출원가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연류유류비가 (2015.11)
(12.16일 두바이가 34.82 달러)
저유가로 크게 하락해서
항공산업은 저유가로
큰 수혜를 볼 전망이라고 해. ㅎㅎ (2015)
다만 우리나라 항공여객 투톱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은 (2015.10)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었도
순이익이 영~ 좋지 못한 편으로 (2015.10)
주가도 크게 운지한 형편이야. ㄷㄷ (2015.10)
순이익이 이렇게 나쁜 이유는
양대 항공사 모두 부채비율이 너무 높아
이자 갚기 바쁘고 (2014)
저가항공사들의 약진과 (2015)
외국항공사들의 성장으로 점유율이
조금씩 깍이고 있어서 그런거 같아. (2014)
그외의 문제점은 최근에 발생한
항공 화물운송 부진으로

항공 화물운송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투톱인데 (2015)
세계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화물운송 증가율이 좋지 못한 편이라 (2015.07)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게
근심이 되는 중이야. (2015.11)
3. 최근 실적 요약
1) 메르스 사태가 있었어도 항공운송 시장은 건실하게 성장 중임.
2) 저유가로 연료유류비 지출 비중이 높은 항공산업이 큰 수혜를 봄.
3) 대형항공사에 빚이 너무 많아서 순이익이 나쁜 편임.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우리나라의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하고
시설이 좋은 첨단 공항인데

주변국들의 공항 확장으로
경쟁이 증가하고 있고 (2013)
공항 환승률 증가율이 정체되어서
인천공항의 성장이 약하지고 있다고 생각해. (2015.07)
또 중동 항공사들의 약진으로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이
어려움을 좀 겪고 있는 편이야. (2014)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최고 수준의 공항이지만 (2015)
낮은 환승률로 국제허브공항이라 하기
부족한 부분이 있어서
개선을 해야할 것 같고 (2014)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도
서비스의 질을 더욱 높여야 할 것 같아. ㅎㅎ (2012)

그리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서
재무구조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어서 (2013)
지나치게 높은 부채비율도
조금씩 줄여나가는 중이라
기업실적도 나중에 개선될 것이고 (2015)

항공운송 시장이 꾸준히 성장 중이라
우리나라의 항공사들은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해. ㅎㅎ
4. 항공산업 개선 필요성 요약
1) 우리나라 인천공항은 세계최고 수준의 공항인데 환승률이 낮음.
2) 중동항공사들의 성장으로 우리나라 대형항공사들이 좀 뒤쳐진 편.
3) 대형항공사의 부채비율이 너무 높아서 줄일 필요성이 높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75888480
3줄 요약
1. 항공운송 산업은 해외여행객 수 증가와 항공 화물운송 증가로 성장 중임.
2. 최근 저유가로 항공산업이 수혜를 보고 있으나 대형항공사의 순이익이 부진함.
3. 인천국제공항이 더 발전해서 동북아 허브공항이 되면 상황이 더 좋아질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