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GtyT

위안화짤.jpg

안녕~ 오늘은 위안화 국제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위안화 SDR 편입


2. 위안화 국제화


3. 국제화 효과


4. 원화 국제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위안화 SDR 편입


짤20151201.jpg

IMF가 최근에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구성통화 편입을 결정했는데 (2015.12)









SDR.jpg


SDR이란 IMF의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으로 


IMF 회원국이 외환위기 등으로 외화가 부족해질 때 


IMF로 부터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해. 








IMF_20091109.JPG

중국의 위안화가 특별인출권(SDR)에 편입되었다는 말은


IMF(국제통화기금)가 위안화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는 말로 (2009)







중국의위상.jpg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상승하는 일이야. 









 위안화국제화20151201.jpg


중국 위안화의 IMF 특별인출권(SDR) 편입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화폐는 


달러, 유로, 위안, 파운드, 엔 5개로 되었고 (2015)









위안화거래.jpg


전세계에서 위안화가 많이 통용될 수 있는


큰 계기가 만들어졌어.









1. 위안화 SDR 편입 요약


1) IMF가 최근에 위안화를 특별인출권(SDR) 구성통화에 편입하였음. 


2) 특별인출권이란 IMF 회원국이 외환위기가 발생했을 때 외화를 인출하는 권리를 의미함.


3) IMF의 이번 발표로 중국의 위안화가 세계 5대 통화의 위치에 올라갔음. 









2. 위안화 국제화


필요성20151202.jpg


위안화 국제화의 필요성이 꽤 높았는데 


이유는 전세계 수출의 12%를 중국이 차지하는데



국제금융시장에서 위안화가 겨우 3%만 


통용되는 문제 때문이야. ㅋㅋ (2015) 









경제규모.png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2014)









외환보유고.JPG

외환보유고 세계 1위에 (2013) 










중국의발전_20110105.GIF


놀라운 성장속도로


2011년도에 일본을 추월했는데 (2011)









결제통화20151129.jpg

국제금융시장에서 이정도로 푸대접을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어. ㅎㅎ (2015.08 기준)









도전20151201.jpg


그래서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꾸준히 추진해서 (2015)










점유율20151130.jpg

위안화의 세계 통화시장 점유율을 


빠른 속도로 높이고 있고 (2015)









개방조치20151201.jpg


중국 금융시장의 꾸준한 개방화와 (2015)











위안화거래20141215.jpg


세계 곳곳에 위안화 거래소를 만들어


위안화 국제화에 노력하는 중이야. (2014) 









기축통화조건.jpg


중국은 국제화폐가 갖춰야 할 조건인


경제력, 교환성, 금융시장 발전에 노력하는 중으로 









시나리오.jpg


이번 IMF 특별인출권(SDR) 편입은 


위안화의 국제화에 큰 기여를 했어. 









2. 위안화 국제화 요약


1) 중국의 경제력과 무역규모에 걸맞지 않게 위안화의 위상이 낮았음. 


2) 중국 정부는 위안화 거래를 장려하고 금융시장을 개방해서 위안화 국제화에 노력함. 


3) 이번 IMF의 발표는 중국의 기축통화 시나리오에 한발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음. 









3. 국제화 효과


달러의필요성20101223.jpg

먼저 기축통화에 대해 설명하자면 


250여개 국가들의 화폐가 서로 달라


세계무역과 국제금융에 불편한 점이 많아서 








기축통화의역사2010.jpg


전세계의 돈거래에 기준이 되고


통용되는 화폐가 필요한거야. 









기본조건.JPG

기축통화가 될려면 여러가지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기축통화의단점_20110518.jpg


기축통화가 되면 화폐가치가 상승해


수출에 불리해지는 단점이 있는데도


강대국들이 자국 화폐의 기축통화화에 노력하는 이유는 









기축통화의힘.jpg

기축통화가 되면 얻는 다양한 이익 때문이라고 해. 









효과.png

(짤로 설명을 대체함.)


중국이 위안화 기축통화에 달성하면 


중국의 위상과 영향력이 커지고 


화폐발행으로 여러 이득을 거둘 수 있어서 









장기목표20140715.jpg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에 


열심히 노력하는 편이야. ㅎㅎ (2014)  








미국의힘.jpg

하지만 위안화의 기축통화화는 쉽지 않을 것인데


일단 미국의 힘이 워낙 강하고 









중국환율20120416.jpg

중국의 환율제도가 관리변동제라서 (2012)









중국환율20150813.jpg


위안화 환율을 중국 정부가 


마음대로 올리고 내릴 수 있어서 (2015) 









외환보유고20151117.jpg


외환보유고 용도로 쓰기엔 


화폐가치가 너무 불안정한 단점이 있어. (2014) 









문제점20150415.jpg

그리고 위안화는 금융개방이 미흡해서


국제통화로 쓰기엔 아직 문제가 많아서 (2015)









위안화특징20141031.jpg


위안화는 국제금융거래보다 


상품무역에 많이 쓰이는 편이야. (2013)










우리나라위안화비중20151129.jpg


그래서 중국과 매우 친한 우리나라조차


위안화 거래를 엄청 안하고 있어. ㅋㅋㅋㅋㅋㅋ (2014 기준)









런던_20140619.jpg


그외에 위안화 금융허브라는게 있는데


아시아의 홍콩과 유럽의 영국이 강세로 









런던금융20140630.jpg

영국은 금융규제로 발전이 더딘 


중국 금융을 보좌해서


큰 이익을 챙길려는 속셈으로 (2014) 









위안화허브_2014.jpg

우리나라의 위안화 허브는


홍콩 때문에 힘들 것 같고 









도전.jpg

중국의 패권도전이 성공할 수 있을지가


흥미로운 상황이야. 








3. 국제화 효과 요약


1) 기축통화는 세계무역과 국제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로 매우 중요함.


2) 기축통화의 단점도 있지만 이점이 매우 커서 강대국들의 소망임. 


3) 중국의 폐쇄적인 금융제도와 환율제도 때문에 기축통화가 되기가 쉽지 않음. 









4. 원화 국제화?


원화국제화.JPG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에 의하면 


다음 1순위로 우리나라를 손꼽고 있어서


무척 흥미롭다고 생각해. ㅋㅋ









gdp순위.png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 유로화)


우리나라는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이고


세계 11위 중에 화폐 국제화가 아닌 나라는 


인도, 브라질, 우리나라 뿐으로 (2015)









원화국제화20150820.jpg


환율 변동성과 금융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인도, 브라질보다 우리나라가 


화폐 국제화에 타당한 수준이야. (2015)









전세계수출.jpg

우리나라는 수출 세계 7위로 


국제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4)









상품과서비스수출.jpg


국제무역 비중에서


일본에 비해 약간 딸리는 수준으로 (2013) 









경제체질.jpg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제체질을 비교할 때


우리나라가 여러모로 낫다고 생각해. (2014)









금20100512.jpg

다만 우리나라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이 워낙 적어서


금 보유량을 기준으로 하면 꽤 미흡한 편이야. (2010) 








4. 원화 국제화?


1) 블룸버그 통신이 화폐 국제화 다음 순위 1위로 우리나라를 뽑았음. 


2) 우리나라의 경제력, 금융수준, 환율 안정성 등에서 인도, 브라질보단 나은 편임. 


3) 우리나라의 무역규모와 경제체질 면에서 일본을 비슷하게 따라잡았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33229587








3줄 요약 


1. 중국의 위안화가 IMF 특별인출권(SDR) 구성화폐에 편입되어서 국제적인 지위를 인정 받았음. 


2. 중국의 경제규모, 무역규모를 볼 때 국제화에 매우 타당하나 금융과 환율제도에 문제가 있음. 


3. 블룸버그 통신이 다음번 국제화 1 순위로 우리나라를 뽑아서 가능할지 흥미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