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0aTCw

안녕~ 오늘은 오랜만에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경제침체
2. 중국 경제상황
3. 중국 침체의 원인-1
4. 중국 침체의 원인-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경기침체

중국은 어마어마한 경제대국으로 (2010)

미국 다음가는 강대국인데
최근 자본유출(Capital Flow)과 성장둔화 등으로 (2015)
경제성장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 (2015. 3분기)
우리나라(South Korea) 경제에서
대중 수출 비중이 높은 편이라 (2015)
중국의 경기침체는 우리나라에게
별로 좋지 않은 일인데 (2015)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중국 정부의 발표보다 더 나쁘게 보는 편이야. (2015)
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발표보다 낮은지
또 얼마나 안 좋은지 (2015. 2분기)
세계 제2의 경제대국 중국의
경제상황을 알아보려고 해.
1. 중국 경기침체 요약
1)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중요한 나라임.
2) 최근 자본유출과 성장둔화 등으로 경기침체 상황에 처해있음.
3)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4% 정도로 낮게 보고 있음.
2. 중국 경제상황
중국의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소매판매(Retail Sales)
고정자본투자(Investment) 모두 둔화되었고 (2015)

자동차 판매(Auto Sales)가
마이너스 성장 중이며 (2015.08)

전력소비(Power Consumption)
증가율이 무척 낮은 편이야. (2015.08)
또 중국의 해외 수입(Import)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2015.07)
철도 물류량도 11%나 감소했고 (2015.11. 연합뉴스)
통화량 증가율(Money Supply) 마저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어. (2015)

(리커창지수 : 철도 물동량 △전력 소비량 △은행 신규대출 등 세 가지 지표를 재구성)
그결과 리커창지수가 경제성장률보다
낮게 나오게 되었고 (2015)
중국 정부의 발표보다 실제 경제가
더 나쁠 것이란 이야기가 많아진거야. (2015)
2. 중국 경제상황 요약
1) 고정자본투자, 산업생산, 소매판매 모두 증가세가 둔화 중임.
2) 자동차 판매, 전력소비, 철도 운송량 등이 상당히 부진함.
3) 리커창 총리가 경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리커창지수가 운지 중.
3. 중국 침체의 원인-1

중국은 경제에 있어 투자(Investment) 비중이
무척 높은 나라로 (2015)
중국의 경제성장에 있어
투자(Investment)의 기여도가
무척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2015)
중국(China)의 부동산(Property)과
건설업 (Construction) 투자 비중은
과거의 우리나라(Korea), 일본(Japan)을 능가하고

많은 중국 근로자들이 건설(Construction)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2015)

기존주택가격은 경기부양책으로 조금 상승했어도
신규주택가격은 여전히 나쁜 편이라 (2015.07)

중국의 부동산 침체로
부동산 투자(Property Investment)가 급감한 상황이야. (2015)
(Gross capital formation : 총고정자본형성, 투자를 의미함.)
이런 부동산시장 위축으로 중국 경제성장률에서
투자가 저정도 나왔을지 의문이고 (2015. 3분기)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굴삭기의

(Excavator Sales=굴삭기 판매)
판매량이 엄청나게 많이 운지했어. ㄷㄷ (2015.08)

그리고 중국은 전세계 철광석(Iron ore)의
주요 소비처인데 (2015)

(Pig Iron 선철 :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제철할 때 생기는 것. 보통 무쇠라고 함.)
부동산 침체로 철강 수요가 감소해서 (2015)
건설업의 연관산업인 철강, 시멘트 산업 등이
무척 어려운 편이라고 해. (2015.08. 철강)
3. 중국 침체의 원인-1
1) 중국에서 부동산 침체가 발생해 부동산 투자가 크게 위축되었음.
2) 중국 경제는 투자 비중이 무척 높아서 부동산 투자감소의 타격이 큼.
3) 부동산 침체로 건설업과 철강, 시멘트 산업 등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
4. 중국 침체의 원인-2

중국(China)은 전세계 무역(Trade)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대국으로 (2013)

경제성장(GDP Growth)에 있어
수출(Export) 비중이 비교적 큰 편이야. (2015)
그런데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세계경제 침체로 안 좋으니 (2015.08)

컨테이너 처리량(Container Throughput)
증가율이 부진하는 등 (2015.08)
중국 경제가 안 좋을만 했어. ㅎㅎ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심각한 자본유출(Capital Outflow)로 (2015.09)
그림자금융을 통해 중국에 유입된
달러자본이 빠져나가면서
중국 금융의 한축인
그림자금융이 크게 위축되었고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500조원 정도
줄어든 상황이야. ㄷㄷ (2015.08)

이렇게 심각한 자본유출에 깜놀한 중국 정부는
강력한 통화완화 정책을 시행해서 (2015.10)
(1조 위안 = 178조 원)
중국의 채권발행이 엄청나게 증가하는 등 (2015)

감소추세였던 중국의 통화량이
다시 증가했어. (2015. M2)
다만 중국의 부채(Debt)가
단기간에 급증했고 (2014. 부채비율)
위험수준에 근접했으며 (기업과 금융부채)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38432)
한해 이자만 1300조원을 쓸 정도라
조금 우려스럽다고 생각해. ㅎㅎ
4. 중국 침체의 원인-2
1) 중국 경제에서 수출비중이 꽤 큰 편인데 수출이 무척 안 좋음.
2)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해 중국 경제에 악영향임.
3) 상당히 높은 부채비율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93903057
3줄 요약
1. 중국의 부동산 침체로 투자와 산업 부분이 부진한 편임.
2. 대규모 자본유출이 중국의 그림자금융을 압박해서 금융이 불안해짐.
3. 강력한 통화정책으로 경기부양 중이나 중국의 부채비율이 너무 높은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