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OvUk
안녕~ 오늘은 태양광 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족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태양광 산업 소개
2. 태양광 산업 부진
3. 태양광 산업과 우리나라
4. 태양광 산업 변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태양광 산업 소개
태양광 발전 산업은 태양전지 판으로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전력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크게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발전이 있어.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 판 하나하나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미국 네바다주)

태양열 발전은 태양에너지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돌리는 것이라 (이스라엘)

태양열 발전은 보통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큰 편이야.

(가정용 태양열 발전은 온수와 난방에 사용함.)
그에비해 태양광 발전은
가정집에도 쉽게 달 수 있어서
태양광 발전이 훨씬 더 보편적이고

자동차와 배의 동력원으로
쓰려는 시도가 있으며

태양광 비행기를 만들기도 했어. ㅋㅋ

태양광 발전 산업은 크게 4분류로 나누어지지만

핵심은 소재산업과 태양전지 산업으로
폴리실리콘(재료)와 셀(태양전지)가
태양광 발전 산업의 핵심이야.
그리고 태양광 산업은
앞으로 많은 발전이 기대되는 산업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14)
미래에는 우주에 태양전지 판을
올릴 수 있을지도 몰라. ㅎㅎ (일본의 상상도)
1. 태양광 산업 소개 요약
1) 태양광 발전은 빛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산업임.
2) 태양광 발전 산업은 재료인 폴리실리콘과 태양전지(셀) 생산이 가장 중요함.
3) 발전 단계의 산업으로 활용도가 높고 미래전망이 좋아 기대되는 산업임.
2. 태양광 산업 부진
(발전단가 : 발전에 요하는 비용. 보통 1 kWh당 가격으로 나타낸다.)
태양광 산업의 가장 큰 문제는
발전단가가 높아 효율이 나쁘다는 점으로 (2010. 일본)
초기설치비용이 너무 높아
정부보조금 없이는
경제성이 낮은게 문제야. (2009. 일본)
그래도 태양광 발전은 친환경적이고
소규모도 가능하다는 잠재성이 있어서

세계각국의 많은 기업들이
태양광 산업에 진출했는데 (2013)
중국이 태양광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자
태양광 산업이 그냥 뒤집어졌어. ㅋㅋ (2012)
태양전지의 재료인 폴리실리콘을
중국이 어마어마하게 생산하니깐 (2012)
수요보다 공급이 훨씬 많아져서 (2013)
폴리실리콘 가격이
엄청난 속도로 운지했다고 해. (2012)
그러자 우리나라 태양광 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급감하고
많은 적자를 보게 되어서 (2011)
많은 기업들이 태양광 산업에서
손을 떼게 되었는데 (2014)
이는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고
해외도 마찬가지였어. ㅎㅎ (2013)
2. 태양광 산업 부진 요약
1) 태양광 산업은 초기설치비가 비싸고 전력생산이 약해 경제성이 낮은 편임.
2) 중국의 대규모 태양광 산업 투자로 태양광 산업이 공급과잉으로 고생함.
3) 태양광 기업들의 적자가 급증해 많은 기업들이 태양광 산업에서 철수함.
3. 태양광 산업과 우리나라
중국의 태양광 산업 과잉투자로
태양전지 공장의 가동률이 급갑하고 (2012)
우리나라 기업들이 영업적자를
장기간 볼 정도로 무척 어려웠는데 (2014. 한화)
한화그룹은 태양광 산업 투자를
꾸준히 지속했어. (2014)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정부에서
태양광산업의 비효율성을 알고
정부지원 정책을 아껴서
우리나라의 태양광 설치량이
매우 낮아 (2012)
국내시장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데도 (2015)
한화그룹은 태양광 산업에
계속 투자한거야. (2012)
(모듈 생산. 폴리 실리콘과 태양전지(셀) 생산이 아님.)
이렇게 태양광 산업에 올인했다가
중국에게 밀리면 한화그룹이 큰일 나는 일인데 (2012)
한화그룹은 태양광산업의
수직계열화까지 완성하고 (2013)
태양전지(셀) 생산능력을
세계 1위까지 만들어 버렸어. ㅎㅎ (2014)
3. 태양광 산업과 우리나라 요약
1) 태양광 산업이 극도록 부진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투자를 많이함.
2) 국내 태양광 시장이 협소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투자를 함.
3) 한화큐셀이 태양전지(셀) 생산능력 세계 1위를 달성함.
4. 태양광 산업 변화
태양광 산업의 핵심인
폴리실리콘(재료), 셀(태양전지), 모듈(조립) 모두
중국이 많이 하고 있어서 (2011. 셀)
중국이 태양광 산업의
중심인데 (2011. 모듈 생산기업)

심각한 과잉생산으로
중국기업들이 문을 많이 닫은 상황이야. ㅋㅋ (2014)
그리고 태양전지 기술이 계속 발전해서
태양광 발전의 발전단가가
점점 낮아지는 추세로 (2014)
태양광 산업의 경제성이 좋아지는
추세라고 해. (2013. 미래전망)
그래서 그런지 최근 저유가임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수주가 증가해서 (2015)
우리나라의 태양광 산업이
오랜만에 흑자를 보았어. ㅎㅎ (2015. 한화)
태양광 산업의 기술혁신으로
초기설치비가 크게 내려가고
경제성이 증가한다면 (2015. 미래전망)
우리나라의 태양광 발전비중(신재생)이
크게 증가할거 같고 (2013)

안쓰고 버려진 땅과 (일본 골프장)
물 위까지 태양전지로 뒤덮일 것 같아. ㅋㅋ (2015)
다만 태양광은 빛을 잘 받아야
발전량이 많은 산업이라 (2013)

빛이 약하고 노는 땅이 부족한
우리나라에는 좀 별로일 것이라

사막이 많은 나라에 수출을 많이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미국)
4. 태양광 산업 변화 요약
1) 과잉생산을 엄청나게 했던 중국의 태양광 업체들이 많이 폐업했음.
2) 기술발전으로 태양전지의 단가가 크게 낮아지고 경제성이 좋아지고 있음.
3) 우리나라 수요보단 빛에너지가 많은 나라에 수출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93903057
3줄 요약
1. 태양광 산업은 빛을 전기로 전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산업임.
2. 중국의 태양광 과잉생산으로 우리나라 태양광 업체들이 크게 어려웠음.
3. 기술발전으로 태양광의 경제성이 점점 좋아져 수요가 증가할 것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