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2tn5L


정유짤.JPG


안녕~ 오늘은 정유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정유산업 소개


2. 우리나라 정유산업


3. 정유업계 변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정유산업 소개


석유화학.jpg 

정유산업은 원유를 수입한 후 


가공해서 석유를 만드는 산업으로 










석유제품.jpg 


석유제품으로 


휘발유, 항공유, 경유, 난방유(등유) 등이 있고










중후장대형산업.JPG


설비시설의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커서


대표적인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이야. 









글로벌에너지소비.JPG 


우리나라는 석유 한방울 안나오면서


에너지 소비가 많은 나라라 (2011)









What_did_Korea_Rep_import_in_2013-.png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저부가가치의 원유를 가공해 


고부가가치의 석유를 만드는 


정유산업이 꼭 필요하고 (2013년도 수입구조) 









수출비중20150305.jpg 


원유를 가공해서 만든 석유를 


해외에 무척 많이 수출해서 (2014)










What_did_Korea_Rep_export_in_2013-.png 


우리나라 수출의 한축이 


석유 수출이라고 해. (2013년 수출구조) 










정제능력_2015.jpg 


우리나라의 원유정제 능력은 


세계 6위로 엄청난 수준이고 (2014)









주요국정유산업.JPG

정유산업에서 꽤 강한 편이야. (2010)









석유화학산업.jpg 


그리고 정유산업의 연관산업으로


석유화학 산업이 있는데


이건 잘 몰라서 걍 패스할게~ ㅎㅎ 









1. 정유산업 소개 요약


1) 정유산업은 원유를 정제해서 석유를 만드는 산업으로 시설규모가 무척 큰 산업임.

2) 우리나라의 원유정제 능력은 세계 6위이고 석유수출을 매우 많이 함. 

3) 석유는 에너지원 뿐만 아니라 화학산업을 통해 플라스틱, 합성섬유 등으로 널리 사용됨. 








2. 우리나라 정유산업

시장점유율20140625.jpg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우리나라의 정유회사는

SK에너지GS칼텍스현대오일에쓰오일이 있으며 (2014)









기업별정제능력_20100622.GIF 

기업별 원유 정제능력은 이런 순서야. (2010)










독과점20110209.jpg

정유산업은 설비시설 비용이 너무 높아서

독과점 산업이고 (2008) 









유통구조20120319.jpg

정유회사가 유통구조도 

장악하는 특징이 있는데 (2012)








석유세금20110114.jpeg 
높은 기름값으로 

소비자 불만이 하늘을 찌르자 (2011)









주유소현황.jpg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알뜰주유소가 많이 생기고 있어. ㅎㅎ (2014) 









이익률20141104.jpg 

그리고 정유업계의 실적은 

생각보다 많이 안 좋았는데 (2014. 3분기. 정유부분)









정제마진약화_20141129.jpg

이는 정제마진이 갈수록 낮아지고 (2014)









원유수입가.JPG 
(재고자산 평가손실 :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의 손해.)

2012년을 고점으로 유가가 계속 하락해서

재고평가 손실을 봐서 그런거라고 해. (2015. 2분기) 









원유수송_약40일_20150327.jpg 

우리나라가 중동에서 석유를 구매하면 









유조선.JPG

유조선에 싣어서 오기까지

대략 40여 일이 걸리고 









국내석유재고량.JPG

팔리지 않은 석유 재고를 (2014)









석유저장창고.JPG 

석유저장창고에 쌓아서 보관하고 있는데 









유가하락20150630.jpg 

유가가 100달러 선에서

갑자기 50 달러 선으로 떨어지자 (2015)









재고손실20141215.jpg 

우리나라 정유사들이 수천억원 대의

재고평가 손실을 본거야. ㄷㄷ (2014) 









유가하락피해20141113.jpg 
이처럼 국제유가 하락은 

석유업계에게 큰 위협인데 










실적개선20150427.jpg 
의외로 우리나라 정유업계의 

2015년 1분기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어. (2015)









국내소비20150603.jpg 

이유는 유가가 크게 하락하자

국내 석유소비가 5% 가까이 증가했고 (2015.04)









마진상승20150427.jpg 

원유 정제마진의 기준이 되는

싱가포르 정제마진이 큰 폭으로 상승해서 

그런거라고 해. ㅎㅎ (2015. 1분기) 










2. 우리나라 정유산업 요약

1) 정유업계는 설비부담이 너무 커서 독과점 산업이고 정유업계가 유통구조도 장악하고 있음.

2) 우리나라 정유업체의 실적이 나빴는데 이는 국제유가 하락과 정제마진 감소 때문임.

3) 2015년에 실적이 크게 좋아졌는데 국내소비 증가와 정제마진 증가 덕분임. 









3. 정유업계 변화 

매출실적20150826.jpg 

정유업계는 2분기에도 흑자였고 (2015. 2분기)









이번실적20151109.jpg 

3분기에도 흑자인데 (2015. 3분기) 










수출증감율.jpeg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석유 수출이 크게 감소한 것이야. (2015)









수출액증가율.JPG

뭐 석유제품 수출액 감소의 가장 큰 이유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입 단가가 하락해서

그런거지만 (2015.07)










셰일가스20120613.jpeg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미국의 석유생산이 엄청나게 많아져서 (2012)










US-Petroleum-products-gross-exports-2000_2013.png 

미국의 석유제품 수출이 크게 늘어났고 (2014)









정유시설증설.JPG
중동과 중국의 정유생산 설비가

크게 늘어난 것도 중요한 이유라고 생각해. (2014) 









중동_20150728.jpg 

중동의 산유국들이 부가가치를 늘리기 위해

원유 정제시설을 크게 늘렸고 (2014)









영업이익_20141210.jpg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률이 높아져

우리나라의 대중 석유수출에 악영향이며 (2014)









중국석유무역수지.JPG 

경기침체로 중국의 석유수요가 줄면서 

지금은 석유수입보다 

수출을 더 많이 하는 상황이야. (2014. 중국의 석유 무역수지)









수출비중20141223.jpg 

중국, 미국, 중동이 이렇게 나오면

우리나라의 석유 수출이 영향을 받을 것 같은데 (2014) 










고도화율20110919.jpg 
우리나라 정유사들의

설비 수준이 좋고 (2011)








신사업_20130409.jpg 
신사업 육성과 (2013)










사업다변화20140811.jpg 
사업다변화 등의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어서 (2011)










정유산업.JPG

우리나라 정유업계가 잘 해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ㅎㅎ 









3. 정유업계 변화 요약

1) 우리나라 정유업계의 매출이 감소했지만 올 1,2,3분기 영업이익이 아주 좋음. 

2) 미국의 석유수출 증가, 중국의 수요감소, 중동의 정제설비 증가 등의 위험요인이 있음. 

3) 우리나라 정유업계의 기술력과 경쟁력이 좋아 잘 해나갈 것으로 기대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39918138







3줄 요약 

1. 우리나라는 원유 정제능력 세계 6위의 석유산업 강국임. 석유수출도 무척 많이 함. 

2. 우리나라 정유업계의 실적이 계속 안 좋았는데, 올해 크게 개선되었음. 

3. 2014년도 4분기 초대형 적자는 유가하락으로 재고평가 손실이 크게 발생해서 그런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