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sWwl9


우리나라짤.pn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수출


2. 우리나라 내수


3. 기타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수출


수출입20151030.jpg


올해 우리나라의 수출입이


크게 감소해서(2015.10)










중국발위험20150831.jpg


경제성장 둔화의 우려가


여기저기서 많이 나오고 있는데 (2015.08)










원자재가격.JPG


수출입 감소는 주로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JPG

수출단가 하락에 의한 수출액 감소로


수출물량은 잘 유지되는 상황이야.










용도별수입실적.JPG


또 우리나라의 수입 감소도


원자재 가격하락이 주 원인이고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은 증가 추세로 (2015.06) 










우리나라수입.png


우리나라가 에너지 자원광물 자원


많이 수입하는데 (2013년도 수입구조)










원유수입가.JPG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떨어져서


그런거라고 해. ㅎㅎ (2015)









지역별수출증가율.JPG

하지만 우리나라의 수출이


세계 여러시장에서 감소하는게 사실이라 (2015.06)










무역수지.JPG

무역수지 흑자 증가라는


긍정적인 점이 있어도 (2015.09)










성장기여도3.JPG


수출 둔화로 인해 올해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나쁜 편이야. (2015)










1. 우리나라 수출 요약


1. 우리나라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지만 수출물량은 건실하게 유지 중임.


2. 수입 감소가 상당히 큰데 이는 유가하락 때문으로 자본재, 소비재 수입은 증가했음.


3. 무역흑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교역 감소로 올해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나쁜 편임.  










2. 우리나라 내수


취업자수 증감.JPG


올해 취업자수 증가율은


전년보다 조금 둔화된 편으로 (2015)










고용증감률.JPG


주로 서비스업 고용이


안 좋아서 그런거야. (2015. 2분기)










소매판매2.JPG


그럼에도 우리나라 소매판매가


4% 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2015.09)











주택거래량2.JPG


이는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주택거래량이 증가세이고 (2015.08)










부동산.JPG

건설업이 좋아지고 있어서


그런거 같아. ㅎㅎ (2015. 2분기)










건설수주.JPG


이런 건설업 활성화로










선행지수.JPG

(경기선행지수: 미래의 경기흐름을 가늠하는 지표)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가 크게 상승해서


경제가 살아나길 기대하는데 (2015)









기준금리.jpg


상당히 많이 내려간 기준금리로 (동결 중임.)








가계대출.JPG

올해 가계 대출액이 작년의 2배 정도로


무서운 증가폭이라 (2015.10)










가계신용과소비성향.JPG


가계부채 부담으로 미래의 소비가


둔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어.  (2015)










설비투자2.JPG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설비투자 증가가 있는데 (2015)










산업생산.JPG


수출 둔화로 우리나라의 산업생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2015.08)











공장가동률.JPG


공장 가동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와중에서 (2015.04)










성장기여도2.JPG


투자지표가 꽤 괜찮게 나와서


참 다행인 것 같아. ㅎㅎ









기계수주액.JPG

또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기계수주


전년보다 크게 증가해서


투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데 (2015.08)









기업자금조달.JPG


이것도 금리인하로 인해


기업의 자금조달이 많이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생각해. ㅎㅎ (2015.10)









2. 우리나라 내수


1) 최근의 고용상황이 그렇게 좋지 않은데, 소매 판매는 꽤 괜찮은 편임.


2) 이유는 부동산 활성화와 건설업 회복 등으로 생각됨.


3) 수출 둔화로 산업생산이 위축되고 있지만 투자지표는 양호한 편임.









3. 기타사항


소비자물가3.JPG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 이하여서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우려가 있지만


석유류를 제외하면 오히려 상승추세로 (2015)









원자재가격.JPG

물가상승률이 낮은 것은


원자재 가격하락 덕분에 (2015)










수입물가.JPG

수입물가가 큰폭으로 감소해서


그런 것 같아.  (2015)










재정적자.jpg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재정적자가


상당히 많이 증가했는데 (2015)










20150907.jpg


우리나라의 국가채무가 상당히 낮고


재정적자가 GDP의 2% 정도라


큰 문제는 없는 편으로 (2015.09)










지출증가율20150907.jpg

(2016년 정부예산 증가율)


우리나라의 경제활성화를 위해


이정도 지출 증가는 필요하다고 생각해. ㅎㅎ









통화량.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통화량은


증가 추세이며 (2015)









주가.JPG

주가도 양호한 편인데 (오늘 코스피 1973 포인트)










환율.JPG


미국의 강달러와 금리인상 우려로


우리나라의 환율이 상승해서 (오늘 1달러=1163.8원)











국민소득20150727.jpg


국민소득 3만 달러 찍는게


조금 어렵게 되었어. ㅋㅋ (2015.07)










GDP순위.png


그렇지만 우리나라가


세계경제 침체에도 운지하지 않고


잘 유지되어서 괜찮다고 생각해. ㅎㅎ









3. 기타사항 요약


1) 물가상승률이 낮은 이유는 수입물가가 하락했기 때문임. 디플레이션이 아님.


2) 재정적자가 증가추세지만 GDP의 2% 수준으로 괜찮은 편임.


3) 주가나 환율에 큰 문제가 없고 원자재 수출국보다 양호한 경제 상태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98089514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수출입이 크게 감소해서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나쁜 편임.


2. 부동산 활성화와 금리인하로 내수 경제가 좋아지는 것 같음.


3. 산업생산 감소와 가계부채 문제가 있지만 선행지표가 크게 좋아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