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pHDR

 

광산업2.JPG

 

안녕~ 오늘은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원자재 가격하락

 

2. 가격하락의 이유

 

3. 가격하락의 영향

 

4. 글렌코어 운지

 

이렇게 쓰려고 해.

 

 

 

 

 

 

 

 

 

1. 원자재 가격하락

 

슈퍼사이클20150826.jpg

 

원자재 가격지수는 최근

 

최저점 수준까지 내려간 상태로

 

 

 

 

 

 

 

 

 

 

유가최근20151001.png

 

대표적인 에너지원인 유가는

 

50 달러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 (10.01)

 

 

 

 

 

 

 

 

 

철광석가격.jpg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철광석 가격도 크게 하락했어. (7월)

 

 

 

 

 

 

 

 

 

 

 

알류미늄과구리값.jpg

 

또 전자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알류미늄과 구리(Copper) 가격도 많이 내려갔고 (7월)

 

 

 

 

 

 

 

 

 

 

 

석탄가격6월.jpg

 

화력발전에 많이 쓰이는 석탄 가격도

 

반토막 났으며 (6월)

 

 

 

 

 

 

 

 

 

 

국제곡물가.JPG

 

식품 가격에 영향을 주는

 

국제곡물가도 조금 내려갔다고 해. (9월)

 

 

 

 

 

 

 

 

 

 

최저점근접20150824.jpg

 

이처럼 많은 원자재 가격이

 

크게 하락해서 (8월)

 

 

 

 

 

 

 

 

 

 

3개월감소20150909.jpg

 

앞으로 계속 하락할지

 

아니면 반등할지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야.

 

 

 

 

 

 

 

 

 

1. 원자재 가격하락 요약

 

1) 석유, 석탄, 철광석, 구리 등 많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했음.

 

2)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직전 최저점까지 내려간 상황임.

 

3) 원자재 가격이 더 하락할지 아니면 반등할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함.

 

 

 

 

 

 

 

 

 

 

2. 가격하락의 이유

 

수요공급.jpg

 

원자재 가격 하락의 이유로

 

먼저 수요-공급의 법칙을 들 수 있는데

 

 

 

 

 

 

 

 

 

 

 

셰일가스_20141204.jpg

 

석유의 경우,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2014.12)

 

 

 

 

 

 

 

 

 

 

 

Chart_IEA-Quarterly-Liquids-Supply-Demand_June-2015-.jpg

 

수요-의 균형이 깨져서 (1분기)

 

 

 

 

 

 

 

 

 

 

IEA-Chart_Surplus-Deficit-11-June-2015.jpg

 

상당한 규모의 원유 공급과잉이 발생해 (1분기)

 

 

 

 

 

 

 

 

 

 

 

World-Liquids-Production-Consumption-Brent-Crude-Oil-Price_June-11-2015-.jpg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게 된거야. (5월. 브랜트유)

 

 

 

 

 

 

 

 

 

 

구리공급과잉20151001.jpeg

 

다른 자원들도 비슷한

 

공급과잉 문제가 있는데 (구리)

 

 

 

 

 

 

 

 

 

 

중국자원개발_20121027.gif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이는 중국의 자원개발 붐과

 

과거에 높았던 원자재 가격으로

 

공급이 늘어난 측면과 (2012)

 

 

 

 

 

 

 

 

 

 

원자재중국비중_20150825.jpg

 

원자재를 대량으로 소비하던 중국에 (2015.08)

 

 

 

 

 

 

 

 

 

 

중국경기침체.jpg

 

강력한 경기침체가 발생해 (8월)

 

 

 

 

 

 

 

 

 

 

IEEFA-India-China-coal-imports-10-5-2015-535x400.jpg

 

원자재 수요가 감소한 것이

 

큰 이유라고 생각해. (중국 석탄 수입)

 

 

 

 

 

 

 

 

 

 

FT-Strong-DOllar-Weighs-On-Gold_03182015.gif

 

그다음은 달러 강세로

 

달러 가치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짤은 달러)

 

 

 

 

 

 

 

 

 

 

연준요정.jpg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투기자금이 원자재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두번째 이유야.

 

 

 

 

 

 

 

 

 

 

2. 가격하락의 이유 요약

 

1) 과거 원자재 붐으로 공급이 크게 늘어 공급과잉이 발생함.

 

2) 중국의 경기침체로 원자재 수요가 크게 감소했음.

 

3) 달러 강세와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투기가 줄어든 것도 한몫함.

 

 

 

 

 

 

 

 

 

3. 가격하락의 영향

 

브라질무역수지.png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대표적인 자원 수출국인 브라질의

 

무역수지가 크게 운지하고 (2014)

 

 

 

 

 

 

 

 

 

 

러시아20150727.jpg

 

러시아의 수출액이 반토막 났으며 (5월)

 

 

 

 

 

 

 

 

 

 

호주20150722.jpg

 

호주의 철광석 수출도 크게 감소했어. (1월)

 

 

 

 

 

 

 

 

 

 

 

원자재환율.jpg

 

또 원자재 수출국의 경제가 어려워지니

 

화폐가치도 크게 하락해 (7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원자재가격지수20150903.jpg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이

 

종종 나오는 편이고 (7월)

 

 

 

 

 

 

 

 

 

 

투자감소20150116.jpg

 

자원개발 투자도 크게 감소했다고 해. (1월)

 

 

 

 

 

 

 

 

 

치킨게임.jpg

 

이런 투자 감소는 사우디와 치킨게임을 벌이는

 

미국 석유업계에서 크게 발생했는데

 

 

 

 

 

 

 

 

 

 

미국석유업체2.jpg

 

석유업계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고 (9월)

 

 

 

 

 

 

 

 

 

 

 

미국석유업체.jpg

 

자금조달이 심각하게 어려워진거야. (3분기)

 

 

 

 

 

 

 

 

 

 

Oil-slides-toward-session-lows.jpg

 

이때문에 미국의 석유 시추공수가

 

크게 감소했는데

 

 

 

 

 

 

 

 

 

 

미국생산량20150714.jpg

 

생산량이 건실해서

 

가격변화는 잘 모르겠어. ㅎㅎ (5월)

 

 

 

 

 

 

 

 

 

 

유가하락효과.png

 

그리고 원자재 가격하락의 다른 영향은

 

자원 수입국의 이익으로 (짤은 유가하락)

 

 

 

 

 

 

 

 

 

 

유가하락파급효과20150107.jpg

 

수입물가 하락, 소비 증가, 경상수지 흑자로

 

원자재 수입국의 경제에 기여하는 것이야.

 

 

 

 

 

 

 

 

우리나라영향.jpg

 

우리나라 산업에 대한 영향은

 

정유산업 빼고 좋다고 생각하고

 

 

 

 

 

 

 

 

 

 

 

우리나라수출20150415.jpg

 

정유산업은 수출액 감소와 (1분기)

 

 

 

 

 

 

 

 

 

 

 

정유산업_20141210.jpg

 

 

정제마진 감소의 단점이 있다고 해. (2014)

 

 

 

 

 

 

 

 

 

 

원자재펀드수익률20150723.jpg

 

그외의 원자재 가격하락 영향은

 

원자재 펀드투자 손실과 (7월)

 

 

 

 

 

 

 

 

 

 

신흥국펀드_2015.jpg

 

신흥국에 대한 투자손실 정도인 것 같아. ㅎㅎ

 

 

 

 

 

 

 

 

 

3. 가격하락의 영향 요약

 

1) 원자재 가격하락은 원자재 수출국과 수출업체에 큰 손실임.

 

2) 원자재 수입국은 수입물가 감소와 소비증가로 이익이 있음.

 

3) 정유업체의 이익 감소와 신흥국 투자손실 정도의 영향도 있음.

 

 

 

 

 

 

 

 

 

4. 글렌코어 운지

 

글렌코어20110826.jpg

 

원자재하면 세계최대의 원자재 업체

 

글렌코어를 빼놓을 수 없는데 (2011)

 

 

 

 

 

 

 

 

 

 

 

글렌코어맵.jpg

 

글렌코어는 세계 곳곳에

 

광산을 보유한 다국적 기업으로 (2010)

 

 

 

 

 

 

 

 

 

 

 

글렌코어.jpg

 

원자재 분야의 거대 공룡이야.

 

 

 

 

 

 

 

 

 

 

글렌코어_20110417.GIF

 

글렌코어가 자원 분야에

 

골고루 분산투자했지만 (2011)

 

 

 

 

 

 

 

 

 

 

원자재가격운지.jpg

 

전체적인 가격하락에는

 

분산투자도 속수무책으로

 

 

 

 

 

 

 

 

 

 

 

Glencore-drops-to-record-low-a.jpg

 

글렌코어의 주가가 크게 폭락해서 (9월)

 

 

 

 

 

 

 

 

 

 

GLENcore-bhp-rio-aug-2015.jpg

 

마이너스 70%까지 운지한 상태라고 해. ㅎㅎ (2011년 대비)

 

 

 

 

 

 

 

 

 

 

운지설.JPG

 

그리고 글렌코어의 채권 등급이 정크레벨로 운지해

 

자금조달이 심각하게 어려워져

 

 

 

 

 

 

 

 

 

 

광산매각_20150408.jpg

 

광산 매각 등의 자산 매각으로

 

자금을 구하는 상황으로 (4월)

 

 

 

 

 

 

 

 

 

 

글랜코어.PNG

 

글렌코어의 빚이 120조원이고

 

투자한 글로벌은행들이 많아서

 

조금 걱정되는 편이야. ㅎㅎ

 

 

 

 

 

 

 

 

 

4. 글렌코어 운지 요약

 

1) 글렌코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원자재 업체임. 자원공룡.

 

2)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위기를 겪고 있음. 주가가 크게 운지함.

 

3) 빚이 120조원인 거대기업이라 운지하면 영향이 클듯.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713377810

 

 

 

 

 

 

 

 

3줄 요약

 

1. 원자재 공급과잉과 수요감소로 원자재 가격이 크게 하락했음.

 

2. 원자재 수출국은 수출감소로 어렵지만, 원자재 수입국은 수입물가 하락의 이익이 있음.

 

3. 자원공룡 글렌코어의 주가가 폭락하고 운지 가능성이 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