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거일 : 1981.03.25(수) /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 표는 전두환 정권이 들어선 후 처음으로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의 결과다. 전라도에서 전두환 정권의 민정당(민주정의당)이 야당보다 많은 의원을 배출했다. 이는 전두환 대통령이 광주 사태와 관련이 없슴을 보여주는 좋은 반증이다. 광주사태 당시 폭동주동자들이 전두환을 찢어죽일놈이라고 선동했지만 일반 주민들은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선거일 : 1985.02.12(화) /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 표는 전두환 정권 중간에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 결과다. 민정당이 전라도에서 정확하게 50%의 의석을 얻었다. 경북 경남과 같은 비율이다. 오히려 부산과 대구는 민정당이 각각 1/4. 1/3밖에 얻지 못했다. 전라도가 부산대구보다 민정당 지지율이 훨씬 높았다. 이는 전두환 대통령이 광주사태와 관련이 있었다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결과다.

<선거일 : 1988.04.26(화) /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 표는 전두환 정권이 끝나고 노태우 정권때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 결과다. 민정당은 한 석도 얻지 못했다. 그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가?
김대중의 동교동계가 1987년 11월 12일 정통 야당이었던 민주당(통일민주당)을 탈당, 평민당(평화민주당)을 창당하여 김대중을 대선후보로 추대했다. 추대가 아니라 당시 야당 대선후보의 대세였던 김영삼을 단일후보로 미는것을 거부하고 스스로 독자 출마를 결심한 것이다.
김대중의 논리는 자기가 독자 출마하면 1노3김의 대결 구도를 형성하게 되어 경상도표는 노태우와 김영삼이 갈라먹고, 충청도표는 김종필이 잠식하고, 김대중 자신은 호남과 수도권의 호남표를 싹쓸이 하면 필승이라는 논리였다.
선거판에서 지역감정에
불을 지핀것은 이것이 시초이다.
물론 이전에 "우리가 남이가?" 정도의 눈총받을 발언이 있기는 했으나 이처럼 구조적으로 지역감정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예는 없었다.

위 표는 87년 대선 결과 후보별 득표상황이다. 여기서 90%대의 전라도 몰표가 처음 등장한다. 선거공학적으로는 김대중의 논리가 그럴듯해 보였으나 결과는 지역감정만 불 질러 놓고 김대중은 노태우 김영삼에 이어 3위로 밀려난 참패로 끝났다.
김대중의 득표율 26.5%는 거의 정확하게 전국에 있는 호남인 인구와 일치한다. 차이래봐야 불과 몇%밖에 나지 않을 것이다. 이후 실시된 총선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김대중 평민당이 호남의석을 싹쓸이 했다. 누가 보아도 지역감정을 일으킨 원흉은 김대중임을 쉽게 알 수가 있다.
그 동안 지역감정의 원흉은 박정희라느니, 5.18 광주사태는 전두환 때문에 일어났느니 하는 것은 모두가 정치적 음모일 뿐 지역감정은 1987년 대선에서부터 생겼으며, 그 원흉은 어디까지나 김대중임은 위 선거결과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 것이다.
김대중은 세상이 어지러워져야 자신에게 정치적 입신의 기회가 온다는 것을 꿰뚫어 보고는 그 스스로 혼란조장을 서슴치 않았다. 박정희 정권을 궁지에 몰기 위해 학생시위를 선동하고, 미국 정계를 돌아다니며 한국원조를 중단해 달라는 로비를 하고 다녔고, 심지어 조총련과 접촉하여 음모를 꾸미는 등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1982년 소위 "김대중 각서" 사건이 있다. 5.18 광주사태와 관련 수감중이던 김대중이 신병치료 명분으로 미국으로 보내 달라고 전두환 대통령에게 탄원서를 올린 사건이다. 이 탄원서에는 "국가의 안보와 정치의 안정을 해하는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대목이 나온다. 그 스스로 그동안 국가안보와 정치를 어지럽히는 짓을 많이 해 왔다는 간접시인인 셈이다.

이렇듯 "앞으로 일체의 정치활동은 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고 미국으로 떠날때까지도 김대중은 호남인들에게 별 대단한 존재가 되질 못했다. 1985년 김대중은 귀국하여 다시 수감된다. 호남인들은 이 때도 역시 그의 귀국이나 수감에 대해 별 반응이 없었다. 김대중의 이런 중요한 신변변화에도 호남인들이 조용하다는 것은 지금으로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다. 당시에는 전라도에서도 김대중을 따르거나 지지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는 것이다.
이후 87년 1월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이 터지고, 4.13 호헌조치, 6월 9일 연세대 이한열군의 최루탄 피격사망, 등으로 정국이 혼란에 빠지자 전두환 정권은 호헌철폐(대통령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헌법개정)를 결정하고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선후보를 통해 소위 "6.29 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김대중에게는 기회가 생긴 셈이다.
그는 감옥에서 나왔고, 이 호기를 놓칠세라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의 국민적 열망을 외면하고 민주당 소속 호남출신 정치인들을 탈당시켜 평민당을 창당하고 대선에 독자출마 선언을 했다. 그리고는 대통령의 꿈을 지역감정으로 풀어나갈 결심을 하고 실행에 옮긴 것이다.
<아래 동영상은 노태우 후보의 전북 유세 현장이다>
김대중이 97년 대선에서 1노3김 구도를 만들어 "3자필승론"을 들고 나오기전까지는 이런 현상이 없었다. 이것이 지역감정의 시발로 이전에는 정치판에 지역감정에 의한 표쏠림 현상은 없었다고 단언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왜 전두환이 5.18 광주사태의 책임을 다 뒤집어 쓰고 있는가? 이의 기획연출자는 김대중이 아니라 김영삼이었다. 이에 대해 개략적인 구도는 이렇다.
김영삼 정권이 들어선 후인 1995년 10월 19일 박계동 의원이 노태우의 비자금계좌를 폭로한다. 이는 사회적 분노를 폭발시켰고, 군사정권에 대한 사회적 반감으로 비화됐다. 세간에는 "노태우 비자금이 그것뿐이겠느냐, 김영삼에게는 얼마 넘어갔다더라"는 등의 흉흉한 소문이 돌자 사태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는 낌새를 눈치챈 영리한 김대중이 20억원을 받았다며 선수를 치고 나왔다. 화살은 김영삼에게로 돌아갔고, "김영삼은 노태우로부터 수천억원의 정치자금을 넘겨 받았을 것"이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게된다. 김영삼은 이런 난감한 국면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엄청난 일을 저지르고 만다. “저 쿠데타 한 놈들을 모두 잡아넣어라” 자기는 비자금과 무관하다고 해 봐야 믿을사람도 없을 것이고, 국면전환이 어렵다고 판단했는지 아예 전두환 노태우에게 비자금을 넘어선 내란죄를 뒤집어씌워버렸다. 비자금 폭로로 고립무원이 된체 국민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된 전두환과 노태우는 변명 한마디 제대로 못하고 고스란히 내란죄까지 뒤집어 써 버렸다. 가히 김영삼 다운 무지막지한 순발력이었다.
1995. 11. 16. 노태우를 전격 구속시키고, 이어 5.18특별법 제정을 지시하면서 특별수사본부를 발족시켜 광주사태 재수사에 나섰다. 12월 3일 전두환이 구속되고, 12월 21일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 공포되었고, 이듬해인 1996년 2월 28일. 12.12, 5.18사건에 대한 수사종결과 함께 전두환, 노태우 등 16명이 기소되었다. 재판은 신속히 진행되어 8월 26일 1심 선고에서 전두환은 사형, 노태우는 징역 22년 6월을 선고받았고, 12월 16일. 항소심에서 전두환은 무기징역을, 노태우는 징역 17년을 선고받았으며, 그 이듬해인 1997. 4. 17. 상고심은 항소심 형량을 확정하였다. 이로서 기존의 대법원 판결이 전면 반대로 뒤집어진 것이다. 일사천리 순식간에 해 치웠다.
김영삼은 자신의 정치적 이기심에서 이해가 맞는 5.18 세력들을 앞세워 폭도를 민주화유공자로, 폭도진압군을 내란군으로 뒤집어 놓은 것이다. 이로서 대한민국의 사법체계는 망가지고 음지에서 숨어살던 폭도들이 양지로 나와 국가유공자 행세를 하며 그 희생양으로 김영삼이 던져 준 전두환을 맘껏 유린하고 있다. 전직 대통령에 대한 인격살인이다. 그러나 김영삼에게 감사하는 마음은 털끝만큼도 없어 보인다.
언젠가는 다시 바로잡아야 할 근현대사의 한 토막이고, 지금도 시스템클럽 대표인 지만원 박사가 이를 바로 잡기위해 홀로 싸우고 있지만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묻혀져 가고 있어 뜻있는 국민들로부터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아래의 글도 참고 부탁 드립니다.
100% 몰표 호남
우연의 일치? 호남 외지인 비율과 박근혜 득표율 일치
광주·전남·전북 內外地人 비율=문재인·박근혜 지지율과 사실상 일치
박종덕 본부장, blue6543@daum.net
이번 대선에서 호남지역에서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이 호남지역 외지인 거주비율과 사실상 일치한 것으로 알려져 흥미를 주고 있다.
통계청이 작성한 2010년 인구센서스 조사결과에 따르면 광주의 경우 내지인 비율이 91.53%, 전남은 89.91%, 전북은 내지인 비율이 87.72%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9~13%는 호남에 살지만 외지인이다.
광주광역시 인구 호남출신 인구는 1,449,768명중 광주 내지인 709,839명, 전남 내지인 554,140명, 전북 내지인 62,962명으로 광주광역시 내 호남 출신 총 1,326,941 명이며 이는 비율로 따질 시 광주광역시 내 91.53%가 호남출신 나머지 8.46%만이 외지인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수치는 2012년 광주광역시 문재인 득표율 91.97%, 박근혜 득표율 7.76%과 거의 근접한다.
전남도의 경우도 광주 내지인 61,587명,전남 내지인 1,432,073명,전북 내지인 45,179명으로 전라남도 내 호남 출신 총 1,538,839명 비율로 따질 시 전라남도 내 89.91%가 호남출신이며 나머지 10.09%만이 외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 역시 2012년 전라남도 문재인 득표율 89.28% 박근혜 득표율 10.00%과 거의 일치한다.
전라북도 또한 인구 1,746,964명중에서 광주 내지인 17,631명 전남 내지인 80,689명 전북 내지인 1,434,168명으로 전라북도 내 호남출신 총 1,532,488명이며 비율로 따질 시 전라북도 내 87.72%가 호남출신 나머지 12.28%만이 외지인에 해당된다.
전북도 수치 역시 전라북도에서 문재인 득표율 86.25% 박근혜 득표율 13.22%에 거의 근접한 수치다.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 국민대통합 행보를 하고 있는 호남출신의 새누리당 유준상 상임고문은 " 우연의 일치인지 모르겠으나, 호남에서 외지인 비율을 제외하면 호남인들은 문재인 후보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 이번 대선에서 지역갈등의 골이 더 깊이 패인 것으로 나타나 충격이고, 특단의 국민
대통합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