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DgHa

 

금리동결_20150918.jpg

 

안녕~ 오늘은 미국의 금리 동결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미국의 금리 동결

 

2. 미국의 동결 이유

 

3. 앞으로의 상황

 

이렇게 쓰려고 해.

 

 

 

 

 

 

 

1. 미국의 금리 동결

 

2008금융위기.jpg

 

2008년에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2011)

 

 

 

 

 

 

 

 

 

연방준비제도20091024.jpg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는 (이하 연준)

 

 

 

 

 

 

 

 

 

제로금리.png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2015)

 

 

 

 

 

 

 

 

 

양적완화20141030.jpg

 

4천조 원이 넘는 양적완화로

 

미국 경제를 부양했어. (2014)

 

 

 

 

 

 

 

 

 

경제회복.jpg

 

그결과 미국 경제가 경제위기에서 회복하고 (2014)

 

 

 

 

 

 

 

 

 

us-unemployment-rate-us-unemployment-rate_chartbuilder-7.png

 

급상승했던 실업률이 다시 하락해서 (2015)

 

 

 

 

 

 

 

 

 

g-helicopter-big.jpg

 

벤 버냉키 전 연준의장의

 

양적완화 정책이 어느정도 성과를 본 것이야.

 

 

 

 

 

 

 

 

 

 

미국금리.jpg

 

이제 미 연준은 금리를 인상해서  (2015)

 

 

 

 

 

 

 

 

 

엘런의장201401080.jpg

 

4천조 원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려는데 (2014)

 

 

 

 

 

 

 

 

 

 

연준효과.jpg

 

미국의 유동성 회수는 세계 경제와

 

미국 경제에 큰 위험을 줄 수 있어서

 

 

 

 

 

 

 

 

 

연준발언들.jpg

 

미 연준도 많이 망설이고 있어. (2015)

 

 

 

 

 

 

 

 

 

오락가락.jpg

 

9월 금리인상은

 

미 연준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고 (2015)

 

 

 

 

 

 

 

 

 

경제학자예상20150827.jpg

 

많은 경제학자들이

 

9월 금리인상은 무리라고 했는데 (2015)

 

 

 

 

 

 

 

 

 

과거역사.png

 

나는 실업률과 관련된 과거 사례만 보고

 

9월 금리인상 드립을 쳐서 (2014)

 

 

 

 

 

 

 

 

 

빼애애애애액!.jpg

 

이번에도 펠레 짓을 했다고 생각해. ㅋㅋ

 

 

 

 

 

 

 

 

1. 미국의 금리 동결

 

1) 2008년 경제위기가 발생하자 미 연준은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를 시행했음.

 

2) 미국 경제가 좋아지자 이제 4천조 원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려고 함.

 

3) 유동성 회수는 세계경제에 큰 위험을 끼칠 수 있어서 미 연준도 매우 조심스러움.

 

 

 

 

 

 

 

 

2. 미국의 동결 이유

 

GDP-Contributions.png

 

미국 경제의 핵심 동력은 소비 지출로 (2015)

 

 

 

 

 

 

 

 

 

실업률회복.jpg

 

미국의 실업률 감소와 (2015)

 

(고용 증가=소비 증가)

 

 

 

 

 

 

 

소비지출220150828.PNG

 

소비지출이 회복한 것은

 

미국 경제에 매우 좋은 일이야. (2015)

 

 

 

 

 

 

 

 

 

 

자동차판매.png

 

소비 증가 덕분에 미국의 자동차 판매가

 

경제위기 전으로 회복했고 (2014)

 

 

 

 

 

 

 

 

 

주택건설.png

 

주택 건설도 회복하는 것 같아서 좋았는데 (2015)

 

 

 

 

 

 

 

 

 

미국물가20150831.jpg

 

정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미 연준의 목표치(2%) 이하여서 문제라고 해.

 

 

 

 

 

 

 

 

 

달러강세미국영향_20150820.jpg

 

또 달러화 강세는 미국의 수출기업들에게

 

부정적인 일이여서 (2015)

 

 

 

 

 

 

 

 

 

제조업무역.png

 

미국의 제조업 무역지표가 마이너스이고 (2015)

 

 

 

 

 

 

 

 

 

 

산업생산.png

 

산업생산 지표도 조금 나쁘고 (2015)

 

 

 

 

 

 

 

 

 

 

설비가동률.png

 

설비가동률이 과거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편이야. (2015)

 

 

 

 

 

 

 

 

 

미국지표.jpg

 

이렇게 미국 경제는 어느부분은 좋고

 

어느부분은 아직 안 좋은 애매한 상황이라 (2015)

 

 

 

 

 

 

 

 

 

신기한지표.png

 

금리인상은 아직 시기상조일 수 있어.

 

 (2015. 대형트럭운전자 지표)

 

 

 

 

 

 

 

 

 

중국경제.jpg

 

무엇보다 세계경제에 중요한

 

중국 경제가 무척 나빠서 (2015)

 

 

 

 

 

 

 

 

세계교역량.jpg

 

전세계 교역량이 감소하는 상황이고 (2015)

 

 

 

 

 

 

 

 

 

 

20150910103911_709707_500_803.jpg

 

여러 신흥국들의

 

주가와 환율이 요동치고 있으며 (2015)

 

 

 

 

 

 

 

 

 

MW-DT466_canada_ZG_20150901093313.jpg

 

원자재 수출국들의 경제가 많이 나빠서

 

(2015. 2분기. 캐나다)

 

 

 

 

 

 

 

 

 

9월위기설20150826.jpg

 

위기설이 조금 있는 상황이야. (2015)

 

 

 

 

 

 

 

 

 

갈등_20141021.jpg

 

이런 해외 수요 감소금융위험

 

미국 경제에도 안 좋아서

 

 

 

 

 

 

 

 

GYH2015091800040004400_P2.jpg

 

 미 연준이 금리동결을 할 때

 

 "금융시장과 국제적 상황 고려" 라는 말을 한 것 같야. (2015)

 

 

 

 

 

 

 

 

2. 미국의 동결 이유 요약

 

1) 미국의 경제지표는 좋은 부분과 안 좋은 부분이 뒤섞여 있음. 그래서 애매함.

 

2) 주요 목표인 소비자물가가 기준치를 미달한 점이 결정적인 것 같음.

 

3) 중국의 경기침체와 신흥국 위기 가능성도 금리동결의 주요 요인 중 하나임.

 

 

 

 

 

 

 

 

 3. 앞으로의 상황

 

변수20150826.jpg

 

여러 제약 요인으로

 

9월 금리인상을 포기했지만 (2015)

 

 

 

 

 

 

 

 

 

화폐유통속도20150913.jpg

 

과잉 유동성 회수는 미 연준의 핵심 목표라 (2015)

 

 

 

 

 

 

 

 

 

 

연준발언201508311.jpg

 

10월 금리인상에 대한 발언이 꽤 있었고 (20150

 

 

 

 

 

 

 

 

 

연준20150918.jpg

 

미 연준도 간잽이 마냥

 

가능성을 계속 열어 둔 상태야. (2015)

 

 

 

 

 

 

 

 

 

한국은행.PNG

 

그래서 우리나라 정부도

 

안심하긴 이르다는 입장이라 (2015)

 

 

 

 

 

 

 

 

 

 

연준일정20150918.jpg

 

앞으로도 계속 미 연준의 움직임을

 

주목해야할 것 같아. (2015)

 

 

 

 

 

 

 

 

 

주가20150821.jpg

 

미 연준의 움직임은 

 

강대국들의 주가와 (8월 21일 기준)

 

 

 

 

 

 

 

 

 

신흥국주가201508211.jpg

 

신흥국들의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고 (2015)

 

 

 

 

 

 

 

 

 

자본유출.jpg

 

우리나라의 주식시장과 (8월 24일 기준)

 

 

 

 

 

 

 

 

 

원달러환율20150907.jpg

 

환율 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9월 7일 기준)

 

 

 

 

 

 

 

 

 

금리인상가계부담.jpg

우리나라의 가계경제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어. (2014)

 

 

 

 

 

 

 

 

 

신흥국외채.jpg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외채가 많은 신흥국들이 더 문제이고 (2014)

 

 

 

 

 

 

 

 

 

금리인상민감도.PNG

 

실제로 원자재 수출국과

 

외채가 많은 신흥국 경제를 더 우려하는 편이야. (2015)

 

 

 

 

 

 

 

 

 

 

우리나라경기지표.jpg

 

뭐 어쨌든 별 피해가 없도록

 

우리나라도 잘 대비해야 할 것 같아. (2015)

 

 

 

 

 

 

 

 

3. 앞으로의 상황 요약

 

1) 10월에 할지, 12월에 할지, 내년 3월에 할지는 엿장수(미 연준) 마음.

 

2) 미 연준의 금리인상은 원자재 수출국과 외채가 많은 신흥국에 치명적.

 

3)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고 있고 별 피해가 없도록 잘 대비해야 할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579195686

 

 

 

 

 

 

 

3줄 요약

 

1. 여러 경제지표가 미흡하고 세계경제 우려로 미 연준이 9월 금리인상을 포기했음.

 

2. 미 연준의 4천조 원 유동성 회수는 전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끼침.

 

3. 미 연준이 언젠간 금리인상을 할 것이며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