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DgHa
안녕~ 오늘은 미국의 금리 동결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미국의 금리 동결
2. 미국의 동결 이유
3. 앞으로의 상황
이렇게 쓰려고 해.
1. 미국의 금리 동결
2008년에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2011)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는 (이하 연준)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2015)
4천조 원이 넘는 양적완화로
미국 경제를 부양했어. (2014)
그결과 미국 경제가 경제위기에서 회복하고 (2014)
급상승했던 실업률이 다시 하락해서 (2015)
벤 버냉키 전 연준의장의
양적완화 정책이 어느정도 성과를 본 것이야.
이제 미 연준은 금리를 인상해서 (2015)
4천조 원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려는데 (2014)
미국의 유동성 회수는 세계 경제와
미국 경제에 큰 위험을 줄 수 있어서
미 연준도 많이 망설이고 있어. (2015)
9월 금리인상은
미 연준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고 (2015)
많은 경제학자들이
9월 금리인상은 무리라고 했는데 (2015)
나는 실업률과 관련된 과거 사례만 보고
9월 금리인상 드립을 쳐서 (2014)
이번에도 펠레 짓을 했다고 생각해. ㅋㅋ
1. 미국의 금리 동결
1) 2008년 경제위기가 발생하자 미 연준은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를 시행했음.
2) 미국 경제가 좋아지자 이제 4천조 원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려고 함.
3) 유동성 회수는 세계경제에 큰 위험을 끼칠 수 있어서 미 연준도 매우 조심스러움.
2. 미국의 동결 이유
미국 경제의 핵심 동력은 소비 지출로 (2015)
미국의 실업률 감소와 (2015)
(고용 증가=소비 증가)
소비지출이 회복한 것은
미국 경제에 매우 좋은 일이야. (2015)
소비 증가 덕분에 미국의 자동차 판매가
경제위기 전으로 회복했고 (2014)
주택 건설도 회복하는 것 같아서 좋았는데 (2015)
정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미 연준의 목표치(2%) 이하여서 문제라고 해.
또 달러화 강세는 미국의 수출기업들에게
부정적인 일이여서 (2015)
미국의 제조업 무역지표가 마이너스이고 (2015)
산업생산 지표도 조금 나쁘고 (2015)
설비가동률이 과거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편이야. (2015)
이렇게 미국 경제는 어느부분은 좋고
어느부분은 아직 안 좋은 애매한 상황이라 (2015)
금리인상은 아직 시기상조일 수 있어.
(2015. 대형트럭운전자 지표)
무엇보다 세계경제에 중요한
중국 경제가 무척 나빠서 (2015)
전세계 교역량이 감소하는 상황이고 (2015)
여러 신흥국들의
주가와 환율이 요동치고 있으며 (2015)
원자재 수출국들의 경제가 많이 나빠서
(2015. 2분기. 캐나다)
위기설이 조금 있는 상황이야. (2015)
이런 해외 수요 감소와 금융위험은
미국 경제에도 안 좋아서
미 연준이 금리동결을 할 때
"금융시장과 국제적 상황 고려" 라는 말을 한 것 같야. (2015)
2. 미국의 동결 이유 요약
1) 미국의 경제지표는 좋은 부분과 안 좋은 부분이 뒤섞여 있음. 그래서 애매함.
2) 주요 목표인 소비자물가가 기준치를 미달한 점이 결정적인 것 같음.
3) 중국의 경기침체와 신흥국 위기 가능성도 금리동결의 주요 요인 중 하나임.
3. 앞으로의 상황
여러 제약 요인으로
9월 금리인상을 포기했지만 (2015)
과잉 유동성 회수는 미 연준의 핵심 목표라 (2015)
10월 금리인상에 대한 발언이 꽤 있었고 (20150
미 연준도 간잽이 마냥
가능성을 계속 열어 둔 상태야. (2015)
그래서 우리나라 정부도
안심하긴 이르다는 입장이라 (2015)
앞으로도 계속 미 연준의 움직임을
주목해야할 것 같아. (2015)
미 연준의 움직임은
강대국들의 주가와 (8월 21일 기준)
신흥국들의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고 (2015)
우리나라의 주식시장과 (8월 24일 기준)
환율 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9월 7일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경제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어. (2014)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외채가 많은 신흥국들이 더 문제이고 (2014)
실제로 원자재 수출국과
외채가 많은 신흥국 경제를 더 우려하는 편이야. (2015)
뭐 어쨌든 별 피해가 없도록
우리나라도 잘 대비해야 할 것 같아. (2015)
3. 앞으로의 상황 요약
1) 10월에 할지, 12월에 할지, 내년 3월에 할지는 엿장수(미 연준) 마음.
2) 미 연준의 금리인상은 원자재 수출국과 외채가 많은 신흥국에 치명적.
3)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고 있고 별 피해가 없도록 잘 대비해야 할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579195686
3줄 요약
1. 여러 경제지표가 미흡하고 세계경제 우려로 미 연준이 9월 금리인상을 포기했음.
2. 미 연준의 4천조 원 유동성 회수는 전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끼침.
3. 미 연준이 언젠간 금리인상을 할 것이며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