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8oXdn

안녕~ 오늘은 프랑스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예전에도 썼었는데 이번엔 조금 다르게 하려고 해~
목차는
1. 프랑스 소개
2. 경제위기와 프랑스
3. 프랑스 현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프랑스 소개
프랑스는 서유럽에 위치한 나라로
면적은 한반도의 2.4배이고
인구는 6600만명 정도로 꽤 많은 편에

(빨간색은 자국경제 전망, 파란색이 1인당 GDP 2014)
1인당 GDP가 38,358 달러로
프랑스는 우수한 선진국이고 (2015. IMF)
경제규모도 항상 세계 10위권 안에
들어가는 강한 나라야. (2014)
그리고 프랑스는 넓고 기름진 국토 덕분에
식량 자급률이 무척이나 높은 나라이고 (2011)

관광자원도 아주 유명한 나라라
프랑스의 관광 경쟁력은
세게 최상위권이라고 해. (2011)
또 프랑스는 세계 10대 무기수출국으로
기술력이 상당히 우수하고 (2015)
첨단산업인 항공산업도 매우 발달한 나라이고 (2011)
근로시간이 상당히 적은
유럽의 복지강국이야. (2012)
1. 프랑스 소개 요약
1) 프랑스는 세계적인 강국으로 경제규모와 1인당 GDP가 우수함.
2) 농업도 상당히 잘하고 관광업도 우수하고 기술력도 좋은 나라임.
3) 근로시간이 상당히 짧고 복지가 잘되어 있는 유럽의 선진국임.
2. 경제위기와 프랑스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프랑스의 2013년도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 회색이 기타, 노란색이 농업, 갈색이 철강산업,
황토색이 보석산업, 초록색이 의류산업, 진한 갈색이 석유 산업으로 골고루 있고
2. 경제위기와 프랑스 요약 1) 프랑스의 수출의존도는 낮은 편이지만, 유럽 경제위기에 큰 타격을 받음. 2) 하지만 프랑스 경제는 남유럽 국가들보다 피해가 적고 건실한 편. 3) 경제가 정체된 상황에서 재정적자로 정부부채가 늘어나는 것은 조금 문제. 3. 프랑스 현황 프랑스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유럽에서 비교적 높은 편이였고 (2015) 유럽발 경제위기로 침체된 상황에서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야. (2015) 프랑스의 산업생산은 2015년도부터 상승세이고 (2015)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해서 (2015) 무역수지 적자가 크게 감소했고 (2015) 그덕분에 경상수지는 흑자로 전환되었어. ㅎㅎ (2015) (PMI지수: 구매자관리지수.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 또 프랑스의 PMI 지수가 회복세이고 (2015) 기업신뢰지수가 상승세라 이대로 쭈욱 좋아지나 싶었는데 (2015) 2분기에 뜻밖에도 마이너스를 찍은 상태야. ㅎㅎ 이유는 여러가지 있는데 (중국과 미국 이슈 등등) 프랑스가 2배 이상 뛴 주택버블을 (2014) 조금씩 조금씩 빼고 있는 중이라 (2014) 주택가격 하락으로 투자가 운지해서 그런거 같아. (2015) 프랑스는 인구 대비 땅이 넓은 나라지만 (초록색이 땅, 빨간색이 인구밀도) 프랑스의 정치, 경제 중심지인 파리의 인구는 상당히 많은 편이라 (2015) 파리의 집값은 세계 10위권에 들 정도라고 해. (연도 모름) 그외에 프랑스는 법인세가 무척 높은 나라이고 (2013) 달러로 계산되는 노동비용이 소폭 상승했으며 (2012. 2000년 대비) 디플레이션 조짐이 조금 있는 편이야. (2014) 하지만 프랑스는 남유럽보다 정부부채가 잘 관리된 편이고 (2012) 출산율이 높아서 인구구조적 문제가 적은 편이라 (다만 무슬림 논란이 있음.) 노동력 공급이 꾸준한 상승세이고 (2014) 경제의 성장동력이 내수(Pivate Consumption)라 프랑스는 탄탄한 나라라고 생각해. 3. 프랑스 현황 요약 1) 프랑스 경제가 회복세를 보였으나 2분기에 소폭 마이너스 성장을 함. 2) 여러 이유가 있지만 부동산 버블의 김빼기 과정 탓으로 생각함. 3) 프랑스에 여러 문제가 있지만, 남유럽보단 상황이 훨씬 좋은 편.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488441954 3줄 요약 1. 프랑스는 유럽의 강국이며 우수한 선진국으로 다방면에서 뛰어남. 2. 유럽 경제위기와 부동산 버블로 경제가 장기간 침체되었음. 3. 인구구조적 문제가 없는 편이고 내수형 경제라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