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1JtwW
안녕~ 오늘은 싱가포르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싱가포르 소개
2. 싱가포르 경제
3. 싱가포르 변화
이렇게 쓰려고 해.
1. 싱가포르 소개
싱가포르는 동남아의 작은 도시국가로
말레이시아에서 독립한 나라야.
싱가포르는 인구 약 550만명에
면적은 서울보다 약간 큰 편이고 (2015)
1인당 GDP가 53,604 달러로 (2015. IMF)
싱가포르는 매우 잘사는 나라에 속하고 있어.
그리고 싱가포르의 국민소득이
엄청나게 늘어나서 (2014)
인구 3천만의 말레이시아와
도시국가 싱가포르는 비슷한 경제규모야.ㅎㅎ (2013)
또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물가가 가장 비싸지만 (2014)
사업환경이 매우 우수해서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진출해 있고 (2014)
전세계 20개 경제자유구역에서
경쟁력 1위를 자랑하는 나라라고 해.
1. 싱가포르 소개
1) 싱가포르는 인구 550만, 면적은 서울의 1.2배로 작은 도시국가임.
2) 싱가포르의 국민소득이 5만 달러가 넘어서 매우 잘사는 선진국임.
3) 사업환경이 잘되어 있고 경쟁력이 세계최고 수준으로 우수함.
2. 싱가포르 경제
싱가포르는 말라카 해협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는데
말라카 해협은 전세계 해상 물류의 25%가
이동하는 매우 중요한 곳이야.
이런 천혜의 입지조건에 위치한 싱가포르는
물류성과지수(LPI) 세계 1위의 나라로
물류 인프라가 매우 우수하고 (2012)
전세계에서 2번째로 물류량이 많은 항구라고 해. (2012)
(오일허브 : 석유제품 생산ㆍ공급, 하역, 저장, 부가처리, 중개ㆍ거래 등의 물류활동이 이뤄지는 핵심거점)
또 싱가포르는 천혜의 입지조건 덕분에
세계 3대 오일허브이고 (2008)
오일허브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는 나라야. (2014)
그리고 싱가포르는 농업이 없지만
제조업은 꽤 있는 나라인데 (빨간색이 서비스업, 노란색이 산업)
이는 중계무역에만 올인하는게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해서 그런거 같아. (2008)
싱가포르는 서울의 1.2배 크기로
작은 도시국가지만
산업단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해서
전기전자, 바이오메디컬 등의 제조업이 있어. (2011)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싱가포르의 2013년 수입구조를 살펴보면
아시아의 오일허브라 그런지 진한 갈색의 석유수입이 매우 많고
바이오메디컬 산업의 육성 덕분인지
수출구조에서 분홍색의 화학이 꽤 많은 편이야. (2013)
그외에 싱가포르는 금융과 비즈니스 서비스도
매우 우수한데 (2011)
싱가포르의 금융시장 인프라가
우리나라보다 더 잘되어 있고 (2013)
싱가포르의 금융산업이
세계적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어서 (2013)
동남아의 금융 중심지는 싱가포르라고 생각해. (2007)
2. 싱가포르 경제 요약
1) 천혜의 입지조건 덕분에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물류 중심지임.
2) 중계무역만 잘하는게 아니고 제조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했음.
3) 금융시장 인프라도 잘 구성되어 있어서 동남아의 금융 중심지임.
3. 싱가포르 변화
싱가포르의 경제발전을 이끌었던
리콴유 전 총리가
2015년에 91세의 일기로 사망하셨어.
싱가포르의 경제발전은
빈틈 없는 경제계획의 강력한 추진력과 (2013)
공무원 급여를 매우 많이 주고
부정부패를 철저히 막는 투명한 시스템으로 (2008)
국가경쟁력이 대단히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2010)
이렇게 싱가포르의 성공요인이 매우 우수한데 (2011)
중국의 경제력을 등에 업은 홍콩과 (2010)
다른 국가들의 부단한 추격으로
싱가포르가 어려움을 겪는 중이야. (2015)
그래서 싱가포르는 추가 성장동력으로
관광업 육성을 추진 중인데
싱가포르의 관광 경쟁력이 원래 우수했던 점에 (2011)
마리나 베이라는 거대한 관광단지를 조성해서
관광객을 더 많이 유치하고 있고
의료관광산업도 육성 중이라
싱가포르의 관광객이 꾸준히 늘고 있어. (2011)
다만 세계경제의 부진으로
물류강국 싱가포르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산업생산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경제성장률도 부진한 편이야.
하지만 싱가포르는 경상수지 흑자가
무척이나 많은 나라이고 (2011)
싱가포르의 주택시장이 정부주도의 임대시장이라
부동산이나 가계부채 문제가 없을 것 같아.
이렇게 싱가포르가 탄탄하고 철저한 나라라
별 문제가 없을거라고 생각해.
3. 싱가포르 변화 요약
1) 다른 아시아국가들의 추격에 싱가포르는 추가 성장동력을 찾고 있음.
2) 마리나 베이라는 거대한 관광단지를 조성해서 관광업을 육성 중.
3) 세계경제의 침체로 물류강국 싱가포르도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463331614
3줄 요약
1. 싱가포르는 세계최고 수준의 항구도시로 아시아의 물류 중심지임.
2. 금융업, 관광업이 매우 우수하고 제조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했음.
3. 국가 경쟁력이 세계 최상위권으로 작지만 강한 도시국가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