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Fjjo

 

global_economic_crisis.jpg

 

안녕~ 오늘은 9월 위기설로 글을 쓸 생각이야.

 

요망한 음모론이라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9월 위기설

 

2. 미국과 중국

 

3. 신흥국 위기 가능성

 

이렇게 쓰려고 해.

 

 

 

 

 

 

1. 9월 위기설

 

9월위기설_20130904.jpg

 

9월 위기설은 2013년에도 나왔던 떡밥인데 (2013.09.04)

 

 

 

 

 

 

 

 

 

금리인상_201507122.jpg

 

미국의 금리인상이 올 9월에 예상되고

 

 

 

 

 

 

 

 

 

중국주가.png

 

최근 중국 경제의 심상치 않은 모습으로

 

 

 

 

 

 

 

 9월위기설.PNG

 

9월 위기설이 뉴스에 자주 나오는 중이야.

 

 

 

 

 

 

 

 

신흥국자본유출.PNG 

 

실제로 금융위기 때보다 2배 더 강한

 

신훙국의 자본유출이 발생하고 있어서

 

 

 

 

 

 

 

 

환율변동_20150817.jpg

 

신흥국의 환율이 심하게 요동치고 있고

 

 

 

 

 

 

 

 

 

자본이동20150810.jpg

 

외국인 순매도로 아시아 증시가 흔들리고 있어.

 

 

 

 

 

 

 

 

untitled.png

 

그리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달러강세의역사.png

달러화가 강세일때

 

신흥국 외환위기가 2번이나 발생한 역사가 있고

 

 

 

 

 

 

 

 

 

운지가능성20150701.jpg

 

운지 가능성이 높은 나라들이 많이 있어서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이 높아지는 중이야.

 

 

 

 

 

 

1. 9월 위기설 요약

 

1) 9월 위기설은 2013년에도 있었던 떡밥인데 최근 다시 나옴.

 

2)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의 주가폭락으로 9월 위기설이 커지고 있음.

 

3) 신흥국의 자본유출과 외환위기 사례 때문에 설득력이 있는 편.

 

 

 

 

 

 

 

2. 미국과 중국

 

연준양적완화20141030.jpg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미 연준이 4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를 단행했고 (2014)

 

 

 

 

 

 

 

 

양적완화유동성증가.jpg

 

영국, 일본, 유럽도 양적완화를 따라해서

 

전세계의 유동성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했어. (2013)

 

 

 

 

 

 

 

 

엔캐리트레이드.jpg

 

이런 막대한 유동성 공급과 초저금리 정책 탓에

 

 

저금리의 선진국에서 돈을 싸게 빌려

 

고금리의 신흥국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가 매우 많고 

 

 

 

 

 

 

 

 

신흥국해외채무.jpg

외국자본의 대대적인 유입으로

 

신흥국의 해외채무가 엄청나게 증가했는데 (2014)

 

 

 

 

 

 

 

 

 

달러와그림자금융.jpg

 

중국 정부의 통제를 덜 받는 그림자 금융과

 

미국 자본이 결합해서

 

 

 

 

 

 

 

 

 

중국2조달러.png

 

중국에 유입된 달러 머니가

 

매우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2014)

 

 

 

 

 

 

 

 

 

달러캐리흐름도.jpg

 

미국이 금리인상으로 자본회수를 하면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하고

 

 

 

 

 

 

 

 

자본이동시나리오.png

 

이런 자본유출이 신흥국 경제에

 

매우 나쁘다고 하는지라

 

 

 

 

 

 

 

 

 

중국자본유출.jpg

 

 

요즘 중국에서 발생하는 주가폭락이

 

핫머니 유출 때문이란 말이 자주 나오는 중이야. (5월)

 

 

 

 

 

 

 

 

주가와금리.png

 

또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금리와 반대로 가는 미국 주가가 하락하고

 

 

 

 

 

 

 

 

 

연준과미국증시.png

 

양적완화 회수는 주가폭락 우려가 있어

 

미국 정부도 금리인상을 조심스럽게 해야 하지만

 

 

 

 

 

 

 

 

미국중국예상.png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을 꺾기 위해

 

 

 

 

 

 

 

 

201410310345_11150922831027_1.jpg

 

중국 경제의 회복력 보다 빠른 자본유출을 만들어

 

 

 

 

 

 

 

시작은어디.PNG

 

중국을 운지시키겠다는

 

화폐전쟁 음모론도 있어.

 

 

 

 

 

 

 

 

연준스트레스테스트.jpg

(스트레슽 테스트 : 재무건전성, 자본적정성 평가)

 

 

미국이 급격한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주가폭락으로 미국도 큰 피해를 보겠지만

 

미연준의 강도높은 스트레스 테스트 덕분에

 

 

 

 

 

 

 

 

미국금융권의안정성.png

 

미국 금융권의 안정성이 매우 높아졌고 (2014)

 

 

 

 

 

 

 

 

 

미국가계부채.png

 

미국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많이 낮아져서

 

미국이 버틸만하다고 생각할지도 몰라. ㄷㄷ

 

 

 

 

 

 

 

2. 미국과 중국 요약

 

1) 미국의 양적완화로 중국에 유입된 해외자본이 엄청나게 많음.

 

2) 미국 금리인상 때문인지 중국에서 핫머니 유출이 계속되고 있음.

 

3) 미국이 중국을 꺾기 위해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고 화폐전쟁을 할거라는 음모론이 있음.

 

 

 

 

 

 

 

3. 신흥국 위기 가능성

 

중국가능성.png

 

만약에 중국에서 경제운지가 발생하면

 

 

 

 

 

 

 

 

 

중국자원소비.png

중국자원소비2.png

 

중국의 원자재 대량소비가 팍 운지해서

 

원자재 가격이 더 떨어지고

 

 

 

 

 

 

 

 

중국운지피해.png

 

세계 경제에 어마어마한 충격을 주워서

 

 

 

 

 

 

 

 

신흥국외환관리.png

 

경제가 취약한 신흥국에서

 

외환위기 가능성이 높아질 것 같아.

 

 

 

 

 

 

 

신용부도스와프20150817.jpg

 

실제로 여러 신흥국에서

 

신용부도스와프가 꽤 높은 편이고

 

 

 

 

 

 

 

 

신흥국경제성장률.jpg

 

신흥국 전체의 경제성장률이 급격히 낮아졌고

 

 

 

 

 

 

 

 

 

이머징마켓20150819.jpg

 

신흥국 전체적으로 자본유출이 크게 발생해서

 

외환보유고 감소 현상이 발생하는 중이야.

 

 

 

 

 

 

 

 

통화가치운지.jpg

 

또 여러 신흥국의 회폐가치가 운지하는 중이라

 

 

 

 

 

 

 

 

 

태국바트화.jpg

 

우리나라에게 기분 나쁜 기억을 떠올리게 하고 있고

 

 

 

 

 

 

 

 

 

브라질운지20150818.jpg

 

브라질은 생각보다 문제가 크게 발생해서

 

 

 

 

 

 

 

 

 

브라질시위.jpg

(http://www.foxnews.com/world/2015/04/13/fresh-protests-break-out-across-brazil-as-thousands-seek-president-impeachment/)

 

대통령 탄핵시위가 대대적으로 발생하는 중이야. ㄷㄷ

 

 

 

 

 

 

3. 신흥국 위기 가능성 요약

 

1) 원자재 소비대국 중국에 문제가 생기면 신흥국 경제에 엄청난 타격이 될 것임.

 

2) 신흥국 전체의 경제성장률이 떨어졌고 화폐가치가 하락한 나라들이 많음.

 

3) 경제력이 취약하고 외환보유고가 부실한 나라들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수도 잇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99443884

 

 

 

 

 

3줄 요약

 

1.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의 주가폭락 때문에 9월 위기설이 나오고 있음.

 

2.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강력한 자본유출을 만들어 중국을 운지시킨다는 음모론이 있음.

 

3. 대대적인 자본이동이 발견되고 있고 여러 신흥국에서 경제위기 가능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