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1c4b


중국짤2.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소비에 대해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 


2. 중국의 내수규모


3. 중국의 소비지출


이렇게 쓰려고 해. 








1.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 


20140503_gdc001.png

중국의 놀라운 경제성장으로

미국을 추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2011)








2010081700118_0.jpg

중국이 여러 부문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2010)









중국내수20150222.jpg


중국 13억 인구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해서 (2015)










중국진출이유.jpg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이

중국의 내수시장을 노리고 진출했어. (2009)










이마트20110615.jpg

하지만 우리기업들의 중국 진출은 생각보다 어려웠고 (2010)









롯데중국적자.jpg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는 등

생각보다 힘든 편이야. (2015)








우리나라대중소비재수출.jpg

그리고 우리나라가 중국 소비시장에서 

매우 부진한지라 (2013)








20120614022321_0.jpg

우리나라의 대중수출 대부분이 

중간재(부품과 원료)라고 해. 







1.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 요약


1) 중국의 놀라운 경제성장과 13억 내수를 보고 중국 진출을 많이 했음.


2) 하지만 생각보다 중국 진출이 어렵고 적자를 보는 기업들이 많음.


3) 우리나라가 중국과 가깝지만 중국에 수출하는 소비재는 매우 적음. 








2. 중국의 내수규모


1인당GDP20140512.jpg


중국의 1인당 GDP는 8,154 달러로 


우리나라보다 한참 낮지만 (2015. IMF) 











중국GDP.jpg


중국의 경제규모는 경제대국 일본을 


추월할 정도로 거대한 나라야.  (2013)










내수규모.png


하지만 중국의 내수규모는 딱 일본 수준으로 (2013)











내수규모20140222.png

다른 짤에서도 비슷한 수준이라 


틀리지 않다고 생각해. (2013) 










중국가계소비비중.png


이렇게 경제력에 비해 중국의 내수규모가 작은 것은


GDP 대비 소비비중이 매우 낮은 탓으로 (2012)









중국내수비중.png


중국의 GDP 대비 소비비중은 


OECD 평균에서 한참 아래에 있어. 










중국2012.jpg


중국의 내수시장이 경제규모에 비해 작은 것은 


중국의 GDP 대비 근로소득이 매우 작고 (2009) 










중국소득변화.png


극심한 소득불균형이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어서 그런거야. (2012) 










빈부격차상승률.jpg


중국의 빈부격차 증가율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고 (2010)









중국소득불균형.jpg


지니계수는 비공식 집계로 따지면 


아프리카 수준이라고 해. ㄷㄷ










중국소득구조.png


그래서 중국의 상위 2%만 


6000위안 이상의 소득을 가지고  (2011. 월 평균)









중국빈부격차.PNG


가계 순재산 규모의 통계는


믿기 어려울 수준이야. (2012) 









믿기어려운짤.png

중국은 하위 25%의 자산이 


전체의 1% 수준이라고 하는데 (2014)










평균소비성향.png


저소득층(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높고 


고소득층(10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낮은 점을 고려하면 (2010. 우리나라)









중국짤.jpg


중국의 심각한 소득불균형 때문에


내수비중이 작은 것이라고 생각해. 







2. 중국의 내수규모 요약


1) 중국의 경제력은 일본보다 크지만 내수규모는 일본과 비슷함.


2) 이유는 중국의 GDP 대비 소비비중이 35%로 너무 낮기 때문.


3) 중국의 GDP 대비 근로소득이 너무 낮고 소득불균형이 너무 심각함. 








3. 중국의 소비지출


구매력20110126.jpg


중국의 1인당 구매력은 필리핀 수준으로 너무 낮고 (2009)









중국빈곤층20131119.jpg


빈곤층이 1억명이나 되어서 (2013)










20140830_INC600.png


빈곤지수(Poverty)에 중국이 들어갈 정도야. ㄷㄷ (2010)









GYH2015032200020004400_P2.jpg


이렇게 중국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많다보니


1인당 면 소비량에서 중국이 생각보다 낮고 (2014)










20140113000261_0.jpg


약간의 사치품인 화장품의


1인당 소비량 또한 턱 없이 적어. ㄷㄷ (2014)










중국소비2011.jpg


또 중국 서민들의 구매력이 약하다보니


중국의 소비는 고소득층 중심이라 (2009)











중국명품소비.jpg


중국의 소비구조는 


고소득층이 좋아하는 명품이나 










20140428155207277728.jpg


금 같은 사치품 소비가 많은 편이라고 해. (2014)










중국소비재시장.jpg


그래서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 비중이 높은 것인가 봐. ㅎㅎ (2014)










중국저축률.jpg


그리고 중국은 사회복지가 매우 빈약한지라


국민 스스로 위험에 대비해야해서 


저축률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2013)









중국소비성향.PNG


이렇게 높은 저축률 때문에 가계소비율이 몹시 낮아서 (2012)










소매판매.jpg


중국은 투자 증가에 비해


소매판매 증가가 몹시 낮은 편이야. (2011) 










중국.jpg


이렇게 중국 소비구조에 문제가 많아서 


진정으로 내수시장이 커지기 힘들고









중국가계자산.jpg

그나마 모은 자산이 지나치게 비싼


부동산에 쏠려 있어 문제라고 생각해. 









중국위험요인.jpg


다만 중국도 빈부격차를 


가장 큰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고









내수정책.jpg


중국 정부가 소득불균형 해소에 노력하고 있어서


내수경제를 만들 수 있을지 흥미로워. 








3. 중국의 소비지출 요약


1) 중국의 빈곤층이 매우 많고 구매력과 1인당 소비량이 매우 적은 편임.


2) 중국의 소비지출은 고소득층이 주도하고 사치품 소비가 많음.


3) 중국의 사회복지가 빈약해서 저축률이 매우 높고 소비지출이 적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48189635








3줄 요약 


1. 중국의 근로소득이 매우 낮고 빈부격차가 심해서 경제력에 비해 내수가 작은 편임.


2. 중국은 고소득층의 소득이 매우 높아 사치품 소비는 매우 많은 편임.


3. 중국의 소득불균형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중국 경제에서 큰 문제점이라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