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gPSE
안녕~ 오늘은 아르헨티나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아르헨티나 소개
2.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3. 아르헨티나 인플레이션
이렇게 쓰려고 해.
1. 아르헨티나 소개
아르헨티나는 중남미에서
브라질 다음으로 땅이 큰 나라로 (2015)
아르헨티나의 면적은 한반도의 12배이고
인구는 4300만명인 나라야. (2014)
1인당 GDP는 13,271 달러로 나오지만 (IMF. 2015)
암시장 환율과 공식 환율이 크게 달라서 조금 문제가 있어.
뭐 어쨌든 아르헨티나에 광활한 평야지대가 있어서
아르헨티나는 세계적인 곡창지대를 보유하고 있고
농사를 많이 짓는 농업국가라고 해.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아르헨티나의 2013년도 수출구조를 보면
노란색의 농업이 매우 크고
밀 생산량도 많아서 세계 10대 밀 수출국에 속하고 (2014)
대두도 세계적으로 많이 생산하는 나라야. (2012)
1. 아르헨티나 소개 요약
1) 아르헨티나는 브라질, 멕시코 다음으로 중남미에서 경제규모가 큼.
2) 아르헨티나는 한반도의 12배 크기에 인구 4300만명인 나라.
3) 비옥한 평야지대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세계적인 농산물 수출국임.
2.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현재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2014)
산업생산도 계속 마이너스 상태야. (2015)
이렇게 아르헨티나가 운지한 이유는
국제곡물가가가 하락세여서 (2014)

원자재 수출 비중이 50%가 넘는
아르헨티나에 큰 타격이라고 해. (2010)
또 아르헨티나의 석유 문제를 빼놓을 수 없는데
아르헨티나는 석유가 나오는지라
자급자족이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평가받는 나라야. (2011)
그런데 아르헨티나의 석유소비가 증가하면서
원유 수출이 감소할 수 밖에 없고 (2013)
결국 에너지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되어서 (2011)
2011년부터 아르헨티나는
에너지를 수입하는 나라가 되었어. (2013)

곡물가 하락으로 수출이 감소하고 석유 수입은 증가해서
아르헨티나의 경상수지가 크게 운지했고 (2014)
경상수지 적자로 외환보유고도 꾸준히 감소해서 (2013)
아르헨티나의 운지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야. (2014)
이렇게 아르헨티나의 경제가 크게 약해지자
설상가상으로
헤지펀드가 아르헨티나를 공격했어.
아르헨티나는 2001년 디폴트(채무불이행)로
부채 문제가 많이 남아있는데

헤지펀드의 소송에 아르헨티나 정부가 패하면서 (2014)
(자세한 내용은 요기 : http://www.ilbe.com/4634850286 아르헨티나 디폴트를 araboja )
아르헨티나는 2014년 7월 30일에
기술적 디폴트를 선언한거야. (2014)
헤지펀드들이 아르헨티나를 털어 먹으려는 중이라
아르헨티나의 국가신용도가 너무 낮아져
외국인투자금을 받기 힘들고 (2015)
국채 발행도 어렵다고 해. (2015)
2.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요약
1) 국제곡물가 하락으로 수출이 감소하고 석유수입 증가로 경상수지가 운지함.
2) 경상수지 적자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자 외환위기 가능성이 상승함.
3) 헤지펀드의 소송으로 기술적 디폴트까지 해서 국가신용도도 운지함.
3. 아르헨티나 인플레이션
외환보유고가 고갈되면
IMF에 구제금융을 받아야 하는지라
IMF 구제금융을 피하려면
해외 수입을 줄어야 하는데 (2013년도 아르헨티나 수입구조)
수입 규제나 보호무역으로는 한계가 있는지라
물가상승으로 소비를 줄이는 길을 택한 것 같아. (2015)
베네수엘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살인적인 물가상승)
과 비슷한 방법으로
화폐공급량을 어마어마하게 늘려서 (2014)
연평균 30~50%의 물가상승을 만들고 있는 중이야. (자료마다 차이가 큼.)
전쟁나서 경제가 폭망한 우크라이나보다
아르헨티나의 물가상승률이 크고 (2015)
이런 살인적인 물가상승 때문에
해외 수입이 크게 줄어 무역흑자 상태라고 해. (2015년 4월)

그리고 아르헨티나가 95년에 큰 피해를 보고
6년 후인 2001년에 채무불이행을 할 정도로
버티기를 잘해서 운지는 잘 모르겠어.
다만 중국과 중남미가 사이가 매우 좋고
아르헨티나가 중국에 식량을 많이 수출하고 있어서
만약에 중국이 운지하면
경제적 손실이 많이 심할거라고 해. (2015)
마지막으로 미국의 금리인상도 있어서
아르헨티나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흥미로워.
3. 아르헨티나 인플레이션 요약
1) 아르헨티나 정부가 화폐공급량을 크게 늘려 물가상승을 만들었음.
2) 살인적인 물가상승으로 해외 수입을 크게 줄여 무역흑자를 유지함.
3) 외환보유고 고갈을 막아 IMF 구제금융을 피하기 위한 자구책이라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285561842
3줄 요약
1. 아르헨티나는 세계적인 농업대국인데, 곡물가 하락으로 경제가 나쁨.
2. 헤지펀드의 공격으로 기술적 디폴트를 해서 국가신용도도 매우 나쁨.
3. 연평균 30%가 넘는 물가상승으로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고통받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