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vwsn

 

브릭스.jpg

 

안녕~ 오늘은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의 한 축인

 

남아공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남아공 소개

 

2. 남아공 경제

 

2. 남아공 단점

 

이렇게 쓰려고 해.

 

 

 

 

 

 

 

 

1. 남아공 소개

 

남아공20131207.jpg

 

남아공은 아프리카 최남단에 있는 나라로

 

백인이 꽤 많은 나라야. (2012)

 

 

 

 

 

 

 

 

 

남아공지표.PNG

 

한반도의 5.5배 크기, 인구 5300만명으로 꽤 큰 나라이고

 

1인당 GDP는 5,902달러로  (2015. IMF)

 

 

 

 

 

 

 

 

 

 

 

남아공2010-04-27.jpg

 

환율 때문에 과거보다 많이 떨어진 것 같아. ㄷㄷ (2009)

 

 

 

 

 

 

 

 

 

 

남아공위치.jpg

 

남아공은 1인당 GDP에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최상위권이고 (2005)

 

 

 

 

 

 

 

 

 

make_diff_hdi_lg.jpg

 

 

교육, 소득, 생활수준 등의 인간개발지수에서도

 

아프리카에서 가장 우수한 나라라고 해. (2005)

 

 

 

 

 

 

 

 

 

남아공브릭스.PNG

 

그래서 남아공의 국력이 강하지 않지만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 맴버에 속할 정도로

 

남아공은 꽤 높은 평가를 받는 나라야. (2013)

 

 

 

 

 

 

 

 

 

SA-vs-Brazil.png

 

무엇보다 2010년에 남아공 월드컵을 해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인지도가 높다고 생각해. ㅋㅋ

 

 

 

  

 

 

 

 

1. 남아공 소개 요약

 

1) 남아공은 한반도의 5.5배 크기, 인구 5천만의 아프리카 국가임.

 

2) 1인당 GDP, 인간개발지수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 아프리카의 대표국가.

 

3) 경제력이 강하지 않지만, 브릭스 (신흥경제 5개국)의 맴버에 속함.

 

 

 

 

 

 

 

 

 2. 남아공 경제

 

남아공광물.PNG

 남아공은 광물자원이 매우 많은 나라로 (2013)

 

 

 

 

 

 

 

 

 

finsch-mine-in-south-africa.jpg

 

광산업이 발달한 나라라고 해. (남아공의 금광)

 

 

 

 

 

 

 

 

 

남아공수출구조.png

 

 남아공의 2013년 수출구조를 보면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갈색이 광산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란색이 농업, 분홍색이 화학산업, 초록색이 의류산업이야.

 

 

뭐 광산업이 주류지만, 아프리카치고는 제조업이 꽤 있다고 봐. ㅎㅎ

 

 

 

 

 

 

 

 

 

남아공수출.png

 

남아공의 수출 대상국은 아시아, 유럽, 미국, 아프리카 순이고  (2013)

 

 

 

 

 

 

 

 

 

 남아공수입.png

 

수입구조를 보면 전자제품과 석유를 주로 수입하는 편이야. (2013)

 

(금과 다이아몬드를 생산하면서 수입도 하는건 조금 희한함. ㅋㅋ)

 

 

 

 

 

 

 

 

 

GDP_slider_info.jpg

 

그리고 남아공의 산업구조는

 

3차 산업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보여. (2014)

 

 

 

 

 

 

 

 

 

남아공나이지리아비교.jpg

 

남아공의 실업률은 나이지리아보다 높고

 

경제규모와 성장률도 한참 밀리고 있지만 (2013)

 

 

 

 

 

 

 

 

 

남아공나이지리아비교.png

 

산업구조에 있어서 남아공이

 

나이지리아보다 발전된 나라야. ㅋㅋ (2012)

 

 

 

 

 

 

 

 

 

남아공경제구조.png

 

비록 광산업이 수출의 절반 가까이 되지만

 

GDP 비중은 약 10% 이고 (2012)

 

 

 

 

 

 

 

 

 

 

graph3.png

 

남아공의 수출의존도는 30%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으로 보여. (2011)

 

 

 

 

 

 

 

 

 

 신중산층2015.jpg

 

 그리고 남아공하면 중산층 증가를 빼놓을 수 없는데 (2015)

 

 

 

 

 

 

 

 

 

남아공가구소득20131210.jpg

 

전체적으로 보면 흑인의 소득이 한참 낮지만 (2013)

 

 

 

 

 

 

 

 

 

 

남아공중산층.PNG

흑인 중산층의 꾸준한 증가로

 

관심을 받고 있어. ㅎㅎ (2011)

 

 

 

 

 

 

 

 

 

 world_bank_internet_users.png

 

페이스북 유저 수에서

 

남아공은 아프리카 상위권이고 (2013)

 

 

 

 

 

 

 

 

 

 

 

 남아공gdp성장률.png

 

수출(Net Exports)보다 소비증가(Consumer Spending)가

 

남아공의 성장동력이야. (2012)

 

 

 

 

 

 

 

 

2. 남아공 경제 요약

 

1) 남아공은 광물자원이 많은 나라로 원자재 수출을 많이함.

 

2) 아프리카 국가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비교적 발전되었음.

 

3) 흑인 중산층 증가로 소비지출이 경제를 이끌고 있음.

 

 

 

 

 

 

 

 

2. 남아공 단점

 

 남아공경제20150419.jpg

 

남아공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경제발전이 많이 더딘 편이야. (2013)

 

 

 

 

 

 

 

 

 

남아공경제성장률2013.jpg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은 15년 동안 평균 3% 수준이라

 

 

 

 

 

 

 

 

 

 

graph1.png

 

고도성장을 한 우리나라와 많이 비교되는 편이고 (2011)

 

 

 

 

 

 

 

 

 

 

jerm-nigeria-economy.jpg

 

석유버프를 받은 나이지리아에게 밀려서

 

남아공의 위상이 많이 추락한거 같아. ㅋㅋ

 

 

 

 

 

 

 

 

 

남아공지니계수2012-10-25.jpg

그리고 남아공하면

 

빈부격차를 빼놓을 수 없는데 (2012)

 

 

 

 

 

 

 

 

 

남아공빈부격차지도.JPG

 

슬럼가 많기로 유명한 나라라 (2007. 파란색=슬럼가)

 

 

 

 

 

 

 

 

 

 

 

디스트릭트9.jpg

 

영화 디스트릭트 9의 촬영지가 남아공이기도 해. ㅋㅋ

 

 

 

 

 

 

 

 

 

남아공실업률20150530.png

 

또 남아공의 실업률은 26%를 넘는데 (2015)

 

 

 

 

 

 

 

 

 

남아공인종별실업률.png

 

흑인의 실업률이 가장 높고

 

백인과 황인은 비교적 적은 편이야. (2014)

 

 

 

 

 

 

 

 

 

남아공제노포비아.jpg

 

재미있게도 남아공은 빈부격차와

 

높은 실업률에 대한 불만을 같은 흑인에게 풀고 있어. ㄷㄷ 

 

 

 

 

 

 

 

 

 

 

아프리카이민자20100517.jpg

 

이는 비교적 발전된 남아공에 살려고 하는 

 

주변국 흑인 이민자들이 많아서 그런거 같아. (2010)

 

 

 

 

 

 

 

 

 

Graph-4-South-African-consumer-price-inflation-as-a-year-on-year-percentage-2000-2014.gif

 

남아공의 인플레이션은 6% 수준으로

 

아주 심하지는 않지만

 

 

 

 

 

 

 

 

 

sjmisery03032.jpg

빈부격차와 높은 실업률 등으로

 

경제고통지수가 세계 3위로 높은 나라야.  (2015)

 

 

 

 

 

 

 

 

 

 

아프리카정치20100518.jpg

 

남아공의 정치는 비교적 안정된 편이지만

 

 

 

 

 

 

 

 

jerm-sa-economy-53-position.jpg

 

부정부패가 좀 있는 편이고 ㅎㅎ

 

 

 

 

 

 

 

 

 

 

SA-1.jpg

 

무엇보다 금 생산 감소와 (2010)

 

 

 

 

 

 

 

 

 광물가격20140122.jpg

원자재 값 하락에 (2014)

 

 

 

 

 

 

 

 

 

남아공2014동향.PNG

 어마어마한 규모의 광산 파업 등으로 (2014)

 

 

 

 

 

 

 

 

 

htm_201304010475840104011.gif

 

남아공의 경제여건이 악화된 편이야. ㅎㅎ (2013)

 

 

 

 

 

 

 

 

 

남아공환율.PNG

 

그래서 남아공의 랜드화가 심하게 평가절하되어서

 

1인당 GDP가 크게 하락한 원인이라고 봐. (2015)

 

 

 

 

 

 

 

 

 

 

sed012014120518040787.jpg

 

남아공의 경제상태는 상당히 나빠보이고 (2014)

 

 

 

 

 

 

 

 

 

 신흥국대외채무.jpg

경상수지 적자와 단기외채가 좀 있어서 (2013)

 

 

 

 

 

 

 

 

 

2014011603911_0.jpg

 

대외위기에 취약하다고 평가받는 편이야. (2014)

 

 

 

 

 

 

 

 

 

 

남아공비교분석20140503.png

 

10년 전과 비교해서 개선된 부분도 많지만

 

변함없거나 오히려 악화된 부분도 많고 (2013)

 

 

 

 

 

 

 

 

경제성장률예상20150304.jpg

 

 

올해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이

 

개도국치고 매우 낮은 2%로 예상되어서

 

참 아쉬운 동네라고 생각해. ㅎㅎ (2015)

 

 

 

 

 

 

 

 

2. 남아공 단점 요약

 

1) 남아공의 지니계수는 0.63으로 빈부격차가 매우 심각함.

 

2) 남아공의 실업률이 25%로 상당히 높고 경제고통지수는 세계 3위를 기록함.

 

3) 금 생산량 감소와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043989165

 

 

 

 

 

3줄 요약

 

1. 남아공은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의 맴버로 아프리카+광물자원이 특징임.

 

2. 아프리카 중에서 상당히 발전된 나라로 흑인 중산층이 많이 나왔음.

 

3. 높은 실업률과 낮은 성장률의 고질병이 있어서, 최근 취약국가로 평가받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