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3V06

 

미국짤.jpg

 

안녕~ 오늘은 오랜만에 미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최근 짤이다 보니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미국의 1분기 성장률

 

2. 미국 경제전망

 

3. 미국의 금리인상

 

이렇게 쓰려고 해.

 

 

 

 

 

 

 

1. 미국의 1분기 성장률

 

미국1분기경제성장률.jpg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0.7% 로

 

생각보다 많이 부진했어.

 

 

 

 

 

 

 

 

 

미국눈폭풍.png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의 이유는

 

올 3월까지 내린  눈폭풍 탓으로

 

 

 

 

 

 

 

 

 

 

미국1분기성장률20150530.jpg

 

미국은 계절적 요인으로 1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한 적이 종종 있다고 해. ㅎㅎ

 

 

 

 

 

 

 

 

 

미국개인소비지출.png

 

눈폭풍 때문에 개인소비지출이

 

1분기에 상당히 부진했고

 

 

 

 

 

 

 

 

 

미국소매판매2.png

 

개인소비지출의 영향으로

 

소매판매도 덩달아 부진했어.     

 

 

 

 

 

 

 

 

 

 

미국달러강세유가.png

 

또 최근 달러화 강세로

 

미국의 수출기업들이 환율 버프를 못 받다보니  

 

 

 

 

 

 

 

 

 

미국눈폭풍효과.jpg

 

미국의 1분기 수출이

 

마이너스 7.6%로 크게 감소한 상태야.

 

 

 

 

 

 

 

 

 

 

미국경제지표.png 미국의

 

그래서 미국의 1분기 성장률 감소는

 

소비와 수출의 부진 탓이 크다고 생각해. ㅎㅎ

 

 

 

 

 

 

 

1. 미국의 1분기 성장률 요약

 

1) 미국의 올 1분기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0.7%임.

 

2) 3월까지 계속된 눈폭풍의 영향으로 개인소비지출, 소매판매가 위축되었음.

 

3) 달러화 강세로 미국 수출기업들이 환율 패널티를 받아 수출이 감소했음.

 

 

 

 

 

 

 

 

2. 미국 경제전망

 

사우디아메리카.jpg

 

요즘 미국하면 셰일가스를 빼놓을 수 없는데

 

 

 

 

 

 

 

 

 

미국석유생산량.jpg

 

(http://www.ilbe.com/5991390114 현재 미국 셰일오일 생산량.jpg)

 

셰일가스 개발로 원유생산량이 점점 증가해서

 

 

 

 

 

 

 

 

 

미국석유생산.png

 

미국의 원유비축량이 크게 증가했고

 

 

 

 

 

 

 

 

 

미국원유수입20150513.jpg

 

원유수입을 계속 줄이는 추세야. ㅋㅋ (2014)

 

 

 

 

 

 

 

 

 

 

미국무역수지.png

 

그래서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개선에

 

셰일가스가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해.

 

 

 

 

 

 

 

 

 

 

셰일가스일자리.JPG

 

또 셰일가스 채굴은 일자리 증가에 도움이 되고

 

미국의 고용은 2008년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중이야.

 

 

 

 

 

 

 

 

 

 

미국주별gdp증가.jpg

 

그래서 셰일가스를 생산하는 주의 성장률이 좋다고 해. ㅎㅎ (2014)

 

 

 

 

 

 

 

 

 

 

미국고용.jpg

 

경제랑 일자리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경제운지=일자리 감소이고

 

일자리 증가=경제회복의 좋은 지표야.

 

 

 

 

 

 

 

 

 

 

미국실업률20150508.jpg

 

미국의 실업률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고

 

 

 

 

 

 

 

 

 

미국일자리증가.jpg

 

3월 눈폭풍으로 위축되었던 일자리 증가는

 

5월에 다시 회복했어.  

 

 

 

 

 

 

 

 

 

 

미국고용변화.png

 

미국의 고용지표를 보면  

 

경제위기 전으로 회복되었다고 생각해. ㅎㅎ

 

 

 

 

 

 

 

 

 

 

gdp대비민간소비.png

 

그리고 미국은 세계최대의 소비시장으로

 

내수 비중이 아주 높은 나라야.

 

 

 

 

 

 

 

 

 

미국개인소득.png

 

 

가처분 개인소득은 꾸준히 증가해서

 

 

 

 

 

 

 

 

 

미국가처분소득.png

 

소비를 늘릴 여력이 커지는 중이고

 

 

 

 

 

 

 

 

 

 

미국소비자심리지수.png

 

소비자심리지수도 거의 회복된 상태야. 

 

 

 

 

 

 

 

 

 

 

미국개인소비.png

 

하지만 개인소비지출이

 

생각보다 부진한 점은 아쉽다고 생각해.

 

 

 

 

 

 

 

 

 

 

미국소매판매3.png

 

소비가 크게 증가할 때가 된 것 같은데

 

연도별 소매판매가 조금 아쉬운 상태야.

 

 

 

 

 

 

 

 

 

 

미국소매판매분야별.png

 

그래도 4월 분야별 소매판매를 보면

 

자동차 판매(내구재)가 좋아서 긍정적인 것 같아. ㅎㅎ

 

 

 

 

 

 

 

 

 

미국자동차판매.png

 

미국의 자동차판매는

 

경제위기에서 회복한 상태인데

 

 

 

 

 

 

 

 

 

5월미국자동차판매.jpg

 

우리나라의 현대차만

 

미국 판매가 아주 부진한 상태야. ㄷㄷ

 

 

 

 

 

 

 

 

 

 

미국차.jpg

 

이는 아베노믹스의 엔화공세도 있지만

 

 

유가하락으로 기름먹는 하마인 픽업트럭 판매가

 

크게 늘어난 점이 이유라고 해. ㅋㅋ 

 

 

 

 

 

 

 

 

 

 

미국주택가격.png

 

다음으로 주택시장 호전으로

 

주택가격이 원만하게 상승세이고  

 

 

 

 

 

 

 

 

 

 

미국신규주택판매.png

 

신규주택 판매도 증가추세야.

 

 

 

 

 

 

 

 

 

미국건설지표2.png

 

다만 건설투자는 생각보다 부진한데

 

경제위기로 쌓인 재고 탓 아닌가 생각해. ㅋㅋ 

 

 

 

 

 

 

 

 

 

 

미국산업생산.png

 

그다음으로 산업생산은 감소 추세로 보이는데

 

달러화 강세로 인한 수출감소 탓인 것 같아.

 

 

 

 

 

 

 

 

 

 

생각보다저조.jpg

 

예전에 미국 경제의 호황을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부진하다고 봐. ㅋㅋㅋㅋㅋㅋ

 

 

 

 

 

 

 

 

 

부채.jpg

 

또 부채 문제도 미국 경제에 중요한데  

 

 

 

 

 

 

 

 

 

 

US-debt-정부보증기관포함.png

 

정부보증기관(GSE)를 포함하면

 

미국의 총부채는 GDP의 300%가 넘는 편이야.

 

 

 하지만 부채가 한쪽에 쏠리지 않아서

 

 일본이나 영국에 비하면 비교적 좋다고 생각해. ㅎㅎ

 

 

 

 

 

 

 

 

 

 

미국가처분소득대비부채.png

 

미국의 내수를 책임질 가계경제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크게 감소해서

 

다시 소비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봐.

 

 

 

 

 

 

 

2. 미국 경제전망 요약

 

1. 셰일가스 생산은 미국의 무역적자 개선과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되었음.

 

2. 고용, 소득, 주택, 자동차판매 등의 지표가 호전 중이나, 개인소비지출이 조금 부진함.

 

3.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개선되어서 소비여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함.

 

 

 

 

 

 

 

 3. 미국의 금리인상

 

미국양적완화.jpg

 

2008년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연준은 4000조 원의 양적완화를 했었어.

 

 

이런 과잉유동성은 불경기엔 치료약인데

 

호황에는 버블 문제가 생겨서, 금리인상를 계획 중이야.

 

 

 

 

 

 

 

 

 

예상시나리오.jpg

 

미국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경제에도

 

꽤나 영향을 줄 일이라 중요하다고 보는데

 

 

 

 

 

 

 

 

 

미국금리인상.jpg

 

미국 연준이 워낙 간잽이라

 

금리인상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ㅋㅋ

 

 

 

 

 

 

 

 

 

 

미국통화량m2.gif

 

하지만 올 5월까지

 

광의통화(M2) 증가율이 보통이고

 

 

 

 

 

 

 

 

 

통화유통속도.png

 

통화유통속도도 낮은 상태라

 

 6월 금리인상은 시기상조가 아닐까 생각해. (이러고 틀리면 ㅋㅋㅋㅋ)

 

 

 

 

 

 

 

 

 

 

미국지표.jpg

(짤이 예전거라 GDP 증가율이 다름. 마이너스 0.7%)

 

 

어쨌든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조금 저조했지만

 

앞으로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천조국.png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위협 요인이지만

 

미국 경제의 회복은 장기적으로 아주 좋은 일이라고 봐.  ㅎㅎ

 

 

 

 

 

 

 

 

 3. 미국의 금리인상    

 

 1) 양적완화로 푼 과잉유동성이 호황에는 버블로 문제가 되기에 회수 준비 중임.

 

2) 통화지표인 M2 증가율이나 통화유통속도는 큰 변화가 없음.

 

3)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대외요인이라 관심있게 봐야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5985949227

 

 

 

 

 

3줄 요약

 

1,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7%임. 눈폭풍 영향 탓이 큼.

 

2. 셰일가스 생산에 힘입어 미국 경제가 회복 중임.  고용, 주택, 소득, 심리지표 등이 좋음.

 

3. 개인소비지출이 생각보다 저조하지만, 미국 경제의 호경기를 전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