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V6at1

 

1-1.jpg

 

안녕~ 어제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증가했다는 뉴스를 보고

 

우리나라 경제에 관해 글을 쓸 생각이야.

 

이번에도 길게 쓸 생각이라,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우리나라 청년실업 문제

 

2. 최근 우리나라 경제

 

이렇게 쓰려고 해.

 

 

 

 

 

 

1. 우리나라 청년실업 문제

 

청년실업.jpg

 

우리나라의 연령별 실업지표에서

 

청년층 실업률이 가장 높고 (2014) 

 

 

 

 

 

 

 

 

 

청년실업률20150318.jpg

 

 

경기침체 여파로 인해

 

청년 실업률이 빠르게 증가 추세야. (2015)

 

 

 

 

 

 

 

 

 

고용정보원통계.jpg 

 

청년 실업률 10%도 상당히 큰 편이지만

 

실업률은 왜곡 논란이 좀 있는 지표로 (2010)

 

 

 

 

 

 

 

 

 

실업지표괴리20141113.jpg

 

통계 방식에 따라 실업률이 크게 변하는 편이라 (2014)

 

 

 

 

 

 

 

 

 

 

체감실업률20141113.jpg

 

실질적인 실업률은 통계의 3배라는

 

말이 있어. ㅎㅎ (2014)

 

 

 

 

 

 

 

 

 

서울청년실업추정치.png

 

그래서 서울지역의 청년층 실질실업률이

 

30%가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2015)

 

 

 

 

 

 

 

 

 

니트족20141223.jpg

 

우리나라의 니트족 비중이 약 20%라는

 

OECD 조사도 있다고 해. ㄷㄷ (2014)

 

 

 

 

 

 

 

 

 

 

프리터족.jpeg

 

또 아르바이트 형태로 생계를 유지하는

 

우리나라 프리터 인구수가

 

 

 

 

 

 

 

 

 

프리터200만.png

 

200만명이나 된다는 신문기사도 있는 실정이야. (2014)

 

 

 

 

 

 

 

 

 

 

오포세대2.jpg

 

이런 청년실업은 오포세대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인데

 

 

 

 

 

 

 

 

 

결혼자금.png

결혼자금 문제로 결혼을 기피하고 있어서

 

 

 

 

 

 

 

 

 

혼인건수20150423.jpg

 

혼인건수가 크게 운지한 상태야. ㄷㄷ (2014)

 

 

 

 

 

 

 

 

 

 

서울미혼율2014.png

 

결혼 급감으로 인해 미혼율이 급증해서

 

서울지역 30대 미혼율이 50% 정도로 (2014년 보고서)

 

 

 

 

 

 

 

 

 

일본미혼율.png

 

일본과 비슷한 실정이라고 해. ㄷㄷ

 

 

 

 

 

 

 

 

 

 

결혼인식변화20141224.jpg

 

그리고 이런 미혼율 증가로 인해

 

결혼에 대한 사회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이성교제상황.png

어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성 친구도 없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야. ㅋㅋ (2013)

 

 

 

 

 

 

 

 

 

1인가구비율.png

 

또 높은 미혼율 때문인지 1인가구 수가 크게 늘어서 (고령화도 한몫함.)

 

사회활력이 떨어지는 추세라고 생각해.  (2013)

 

 

 

 

 

 

 

 

 

 

 

출산율.png

 

이렇게 미혼율이 증가하다보니

 

출산율도 운지하게 되어서 (2013)

 

 

 

 

 

 

 

 

 

임용대란.png

 

(http://www.ilbe.com/5862740549 초딩 줄어드는 속도 사범대 구조조정 + 임용대란)

 

세대단절이나 임용대란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야. ㄷㄷ

 

 

 

 

 

 

 

 

 

 

지원정책20150319.jpg

 

때문에 정부도 심각성을 크게 느끼고

 

청년취업과 청년창업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2015)

 

 

 

 

 

 

 

 

 

 

월별취업자수20150513.jpg

 

세계적인 경체침체로

 

취업자수 증가폭이 크게 줄어든 상태라고 해. (2015)

 

 

 

 

 

 

 

 

1. 우리나라 청년실업 문제 요약

 

1) 공식 청년실업률은 11%이지만, 서울의 실질적 청년실업률이 30%가 넘는다는 연구가 있음.

 

2) 청년실업으로 결혼자금 마련이 어려워, 미혼율이 급증하고 출산율이 운지하는 사회문제가 발생 중.

 

3) 청년실업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나, 경기침체 여파로 취업자수 증가가 부진함.

 

 

 

 

 

 

 

 

2. 최근 우리나라 경제

 

갓한민국.png

 

우리나라는 세계 11위의 강대국이지만 (2015, 호주&스페인 추월)

 

 

 

 

 

 

 

 

 

 

OECD발표20150604.jpg

 

OECD의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이

 

1% 가까이 하락했어. ㅎㅎ (2015)

 

 

 

 

 

 

 

 

 

 

세계무역량증가율.png

 

2008년 미국발, 2011년 유럽발 경제위기로

 

세계무역량이 크게 둔화된 상태이고 (2014)

 

 

 

 

 

 

 

 

 

 

수출물량20150602.jpg

 

일본의 엔저 공세로

 

수출물량 증가율까지 낮아지는 추세여서 (2015)

 

 

 

 

 

 

 

 

 

우리나라수출입.png

 

우리나라의 수출입 증가율이 많이 나쁜 편이야.

 

 

 

 

 

 

 

 

 

 

구조개혁20150604.jpg

 

또 수출부진 뿐만 아니라, 국회에서 법안 통과가 어렵다보니

 

우리나라의 구조개혁도 지지부진하다고 생각해. (2015)

 

 

 

 

 

 

 

 

 

경제활성화대책.png

 

하지만 정부 차원의 경제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이고

 

 

 

 

 

 

 

 

 

재정건전성.jpg

 

우리나라의 높은 재정건정성의 힘으로 (2015)

 

[짤이 GDP 대비 국가부채가 아닌 국가부채 대비 GDP로 높을수록 좋음.]

 

 

 

 

 

 

 

 

 

 

우리나라재정지출.png

 

재정지출을 통해 내수부양에 노력 중이야. ㅎㅎ (2015)

 

 

 

 

 

 

 

 

 

실효환율지수.png

 

그리고 우리나라의 통화가치 상승으로

 

수출은 환율 페널티를 받지만, 수입은 환율 버프를 받아서

 

 

 

 

 

 

 

 

 

 

소득증가율.jpg

 

내수가 앞으로 좋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어. (2015)

 

 

 

 

 

 

 

 

 

 

선행지수순환변동치.png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가 상승세로 (2015)

 

 

 

 

 

 

 

 

 

경기종합지수구성지표.png

 

고용, 생산, 대외 지표는 별로지만, 소비랑 금융지표가 조금 좋아졌고

 

투자지표가 크게 좋아진 상태야.

 

 

 

 

 

 

 

 

 

 

4월산업동향.png

 

통계청의 우리나라 4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2015)

 

 

 

 

 

 

 

 

 

산업활동주요지표.png

 

생산지표가 부진하지만 투자지표가 상당히 좋은 편이고

 

그중에서 건설수주가 꽤나 좋다고 생각해.  (2015)

 

 

 

 

 

 

 

 

 

아파트거래량가격.png

 

건설지표가 좋아진 이유는

 

부동산 활성화 효과 덕분인거 같아. ㅎㅎ (2015)

 

 

 

 

 

 

 

 

 

 

설비투자지수.png

 

또 설비투자가 2015년 1분에 좋은 편인데 (2015) 

 

 

 

 

 

 

 

 

 

중소기업대출증가.png

 

정부의 투자촉진 정책에 대기업들이 호응한 것도 있고

 

 

최근 저금리 영향으로 중소기업 대출도 좀 증가한 편이라

 

투자, 고용이 증가하길 기대 중이야. (2015) 

 

 

 

 

 

 

 

 

 

시장유동성.png

 

마지막으로 2012~2014년 동안 부진했던

 

광의통화 증가율(빨간색)이 2015년에 좋아지고 있고

 

 

 

 

 

 

 

 

 

위험프리미엄20150524.jpg

 

금융위험지표인

 

CDS(신용부도스왑) 프리미엄 지수도 상당히 좋아서

 

우리나라가 앞으로 잘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2015)

 

 

 

 

 

 

 

 

 

 

산업연관표2010.png

 

정책들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현재 방향은

 

소비랑 투자를 살려서 내수회복하는 것이 목표인거 같아. (2010)

 

 

 

 

 

 

 

2. 최근 우리나라 경제 요약

 

1) 세계경제 침체와 엔저 공세로 수출이 많이 어려워 생산지표가 나쁜 상황임.

 

2) 재정지출, 유가하락, 원화 평가절상 등으로 소비지표가 좋아지길 희망함.

 

3) 저금리와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투자지표가 호전되고 있음.

 

 

 

 

 

과거글 링크: http://www.ilbe.com/5906381066

 

 

 

 

 

3줄 요약

 

1. 청년실업률이 매우 높아서, 미혼율 증가와 출산율 감소 같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2.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는 최근 상승세로 앞으로 경제가 좋아지길 희망함.

 

3.  소비와 투자를 살려 내수활성화 하는 것이 경제목표라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