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wCRR
(이기 브금이 투명해서 미안하당! 클릭 후 종료 눌러야함. )
안녕~ 오늘은 폴란드 경제로 글을 쓰려고 해.
유럽에 극단주의 세력이 커지는 중에
극우가 집권한 놀라운 사례거든. ㅎㅎ
목차는
1. 폴란드 소개
2. 폴란드 경제
3. 폴란드 약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폴란드 소개
폴란드는 동유럽에 있는 나라로
인구는 3800만명, 면적은 남한의 3배에
1인당 GDP는 14,330달러로 세계 52위야. (2014, 네이버)
인구수와 영토가 동유럽에서 꽤 큰 편이고 (2004)
국경을 접하는 나라들이 매우 많아서
다사다난한 역사를 가졌다고 해. (600만명 사망 ㄷㄷ)
그리고 폴란드는 나토회원국으로
러시아에 맞서는 유럽의 방패라 할 수 있는데 (2008)
폴란드에 미사일 방어기지를 배치하려 해서
러시아와 대립 중이야. ㅋㅋ (2012)
폴란드는 러시아의 팽창을
매우 두려워해서 (2014)
준군사조직 회원수가 8만명이고
가입자수가 급증하고 있대. ㅎㅎ (2015)
이런 폴란드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인지
극좌 대신 극우 시위대가 설친다고 하고
법과정의당(PiS)의 안드레이 두다 라는
43세의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고 해. ㅎㅎ
지역별 지지도를 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1. 폴란드 소개 요약
1) 폴란드는 남한의 3배, 인구 3800만명으로 동유럽에서 꽤 큰 나라임. 1인당 GDP는 14000 달러로 낮은 편.
2) 폴란드는 나토의 최전선 국가로 러시아와 대립 중이며, 미사일 방어시스템 도입하고 있음.
3) 지정학적 위치 탓인지 우파가 강해서, 젊은 극우파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됨.
2. 폴란드 경제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은
신흥국 답게 높은 편이고
2014년 경제성장률 3.3%로 양호한 편이야.
폴란드의 2012년 수출구조를 보면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 노란색이 농업, 진한 갈색이 철강산업, 빨간색이 건설자재로
폴란드에 제조업이 상당히 높은데 그 이유는
이나라가 정치안정도에서 우수한 편이고 (2013)
남유럽보다 부패지수가 양호하고 (2014)
폴란드가 유로화를 쓰지 않지만
EU 회원국인지라 (2011)

유럽 수출을 위해, 또는 저렴한 인건비 때문에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폴란드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어. ㅋㅋ
그래서 폴란드의 수출 80% 정도가 유럽수출이야.
또 외국인투자금(FDI)이
동유럽 국가들 중에 폴란드에 가장 많고
남유럽의 그리스와 포르투칼보다
폴란드에 들어오는 외국인투자금이 더 많아. ㅎㅎ
많은 해외투자 덕분에 폴란드는
구매력(ppp)에서 우크라이나보다 2배 이상 잘 살고 (2013)
2009년 미국발 경제위기에서
폴란드는 플러스 성장을 했을 정도로 (2009)
꽤나 건실한 나라라고 생각해. ㅎㅎ (2011)
또 폴란드의 농업이 유명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넓은 평야를 가진 나라라
잠재력이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해. ㅎㅎ
2. 폴란드 경제 요약
1) 폴란드의 정치안정도가 높은 편이고 유럽연합 회원국이라, 다국적기업 생산기지가 많음.
2) 동유럽 국가들 중에 폴란드로 유입되는 외국인투자금이 가장 많은 편임.
3) 경제성장률이 높은 편이고 경제위기에서도 건실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3. 폴란드 약점
경제성장률이 양호하면 출산율이 높아야 하는데
폴란드는 생각보다 출산율이 나쁜 편이야.
평균수명이 낮은 탓인지
상당히 일찍(1997)부터 인구감소여서 신기하다고 생각해.
노인인구가 신흥국치고 꽤 많지만
30대 인구층도 두터운 편이라
뭐 괜찮지 않을까 싶어. ㅎㅎ
이런 인구구조 탓인지, 성장률이 좋으면서
의외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이고
디플레이션을 막고자 기준금리를 1.5%로 인하해서
우리나라보다 폴란드가 0.25% 더 낮은 상태야. ㅋㅋ
그리고 폴란드의 주택시장이 침체 중인데
이건 유럽 경제위기와 관련이 있어. ㅎㅎ (2009)
동유럽의 정부부채는 양호한 편인데 (2012)
대신 서유럽 은행의 차관이
동유럽 은행을 통해 가계대출로 풀렸고
이 돈이 유럽발 경제위기로로 긴급회수되면서
동유럽과 폴란드가 어느정도 타격을 받았어. ㅎㅎ (2011)
부채가 GDP의 40%면 심하진 않은데
외채, 고금리, 단기에 동유럽의 약한 경제력이 원인인 것 같아.
폴란드의 주택담보대출은
GDP의 20% 정도로 매우 작지만
외채가 절반 이상이라 조금 문제야. ㅋㅋ (2011)
폴란드의 외채를 전체적으로 보면
GDP 대비 총외채가 신흥국 중에서 가장 많은 편이라
관리가 필요할 것 같아. (2013)
하지만 유럽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산업생산 증가율이 양호하고
경제성장률이 건실해서 앞으로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해. ㅎㅎ
3. 폴란드 약점 요약
1)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은 좋은데, 이상하게 출산율은 상당히 나쁜 편임.
2) 최근 디플레이션이 발생해서 금리인하를 했음. 우리나라보다 금리가 0.25% 낮음.
3) GDP 대비 총외채가 신흥국치고 높은 편이라 대외변수에 취약한 편이라 생각함.
과거글 링크: http://www.ilbe.com/5859202693
3줄 요약
1. 폴란드는 동유럽에서 꽤 큰 나라인데, 최근 극우파의 43세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됨.
2. 폴란드에 다국적기업, 외국인투자금이 많아서 경제성장률이 좋은 편임.
3. 최근 디플레이션이 있고, 총외채가 비교적 많은 단점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