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wCRR

 

(이기 브금이 투명해서 미안하당! 클릭 후 종료 눌러야함. )

 

폴란드대선조선일보.png

 

안녕~ 오늘은 폴란드 경제로 글을 쓰려고 해.

 

유럽에 극단주의 세력이 커지는 중에

 

극우가 집권한 놀라운 사례거든. ㅎㅎ

 

 

 

 

 

 

목차는

 

1. 폴란드 소개

 

2. 폴란드 경제

 

3. 폴란드 약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폴란드 소개

 

Europe_topography_map_en.png

 

폴란드는 동유럽에 있는 나라로

 

 

 

 

 

 

 

 

폴란드개요20140815.jpg

 

인구는 3800만명, 면적은 남한의 3배에

 

1인당 GDP는 14,330달러로 세계 52위야. (2014, 네이버)

 

 

 

 

 

 

 

 

동유럽비교2004.GIF

 

인구수와 영토가 동유럽에서 꽤 큰 편이고 (2004)

 

 

 

 

 

 

 

 

poland_map.jpg

 

국경을 접하는 나라들이 매우 많아서

 

 

 

 

 

 

 

 

 

 

폴란드역사.jpg

 

다사다난한 역사를 가졌다고 해. (600만명 사망 ㄷㄷ)

 

 

 

 

 

 

 

 

 

폴란드나토20080404.jpg

 

그리고 폴란드는 나토회원국으로

 

러시아에 맞서는 유럽의 방패라 할 수 있는데 (2008)

 

 

 

 

 

 

 

 

폴란드md20120525.jpg

폴란드에 미사일 방어기지를 배치하려 해서

 

러시아와 대립 중이야.  ㅋㅋ (2012)

 

 

 

 

 

 

 

 

 

폴란드MD.png

 

폴란드는 러시아의 팽창을

 

매우 두려워해서 (2014)

 

 

 

 

 

 

 

 

 

폴란드준군사조직.png

 

준군사조직 회원수가 8만명이고

 

가입자수가 급증하고 있대. ㅎㅎ (2015)

 

 

 

 

 

 

 

 

 

극우시위대.png

 

이런 폴란드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인지

 

극좌 대신 극우 시위대가 설친다고 하고

 

 

 

 

 

 

 

 

 

Duda.jpg

 

법과정의당(PiS)의 안드레이 두다 라는

 

43세의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고 해. ㅎㅎ

 

 

 

 

 

 

 

 

 

Poland Vote.png

 

지역별 지지도를 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지역에서

 

지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1. 폴란드 소개 요약

 

1) 폴란드는 남한의 3배, 인구 3800만명으로 동유럽에서 꽤 큰 나라임. 1인당 GDP는 14000 달러로 낮은 편.

 

2) 폴란드는 나토의 최전선 국가로 러시아와 대립 중이며,  미사일 방어시스템 도입하고 있음.

 

3) 지정학적 위치 탓인지 우파가 강해서, 젊은 극우파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됨.

 

 

 

 

 

 

 

2. 폴란드 경제

 

폴란드성장률.jpg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은

 

신흥국 답게 높은 편이고

 

2014년 경제성장률 3.3%로 양호한 편이야.

 

 

 

 

 

 

 

 

616px-Poland_Export_Treemap.png

 

폴란드의 2012년 수출구조를 보면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 노란색이 농업, 진한 갈색이 철강산업, 빨간색이 건설자재로

 

 

 

 

 

 

 

 

GYH2013050600070004400_P2.jpg

 

폴란드에 제조업이 상당히 높은데 그 이유는

 

이나라가 정치안정도에서 우수한 편이고 (2013)

 

 

 

 

 

 

 

 

 

유럽부패20140205.jpg

 

남유럽보다 부패지수가 양호하고 (2014)

 

 

 

 

 

 

 

 

GYH2012020100030004400_P2.jpg

 

폴란드가 유로화를 쓰지 않지만

 

EU 회원국인지라 (2011)

 

 

 

 

 

 

 

 

폴란드자동차.png

폴란드가전.png

유럽 수출을 위해, 또는 저렴한 인건비 때문에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폴란드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어. ㅋㅋ

 

 

 

 

 

 

 

 

폴란드지역별무역의존도.png

 

그래서 폴란드의 수출 80% 정도가 유럽수출이야.

 

 

 

 

 

 

 

 

폴란드외국인투자.png

또 외국인투자금(FDI)이

 

동유럽 국가들 중에 폴란드에 가장 많고

 

 

 

 

 

 

 

 

폴란드투자20140722.jpg

 

남유럽의 그리스와 포르투칼보다

 

폴란드에 들어오는 외국인투자금이 더 많아. ㅎㅎ

 

 

 

 

 

 

 

 

우크라이나20150523.png

 

많은 해외투자 덕분에 폴란드는

 

구매력(ppp)에서 우크라이나보다 2배 이상 잘 살고 (2013)

 

 

 

 

 

 

 

 

 

폴란드저력.gif

 

2009년 미국발 경제위기에서

 

폴란드는 플러스 성장을 했을 정도로 (2009)

 

 

 

 

 

 

 

 

폴란드성장률20120702.jpg

꽤나 건실한 나라라고 생각해. ㅎㅎ (2011) 

 

 

 

 

 

 

 

 

 

poland_land_1977.jpg

 

또 폴란드의 농업이 유명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넓은 평야를 가진 나라라

 

 

 

 

 

 

 

 

59039-004-CADCADAE.jpg

 

잠재력이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해. ㅎㅎ

 

 

 

 

 

 

 

2. 폴란드 경제 요약

 

1) 폴란드의 정치안정도가 높은 편이고 유럽연합 회원국이라, 다국적기업 생산기지가 많음.

 

2) 동유럽 국가들 중에 폴란드로 유입되는 외국인투자금이 가장 많은 편임.

 

3) 경제성장률이 높은 편이고 경제위기에서도 건실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3. 폴란드 약점

 

폴란드출산율.jpg

 

경제성장률이 양호하면 출산율이 높아야 하는데

 

폴란드는 생각보다 출산율이 나쁜 편이야.

 

 

 

 

 

 

 

 

폴란드인구.png

 

평균수명이 낮은 탓인지

 

상당히 일찍(1997)부터 인구감소여서 신기하다고 생각해.

 

 

 

 

 

 

 

 

 

폴란드인구구조.png

 

노인인구가 신흥국치고 꽤 많지만

 

30대 인구층도 두터운 편이라

 

뭐 괜찮지 않을까 싶어. ㅎㅎ

 

 

 

 

 

 

 

 

 

IPOL_DS_inflation.gif

 

이런 인구구조 탓인지, 성장률이 좋으면서

 

의외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이고

 

 

 

 

 

 

 

 

폴란드기준금리.gif

 

디플레이션을 막고자 기준금리를 1.5%로  인하해서

 

우리나라보다 폴란드가 0.25% 더 낮은 상태야. ㅋㅋ

 

 

 

 

 

 

 

 

폴란드주택침체.png

 

그리고 폴란드의 주택시장이 침체 중인데

 

 

 

 

 

 

 

 

동유럽대출20090302.jpg

 

이건 유럽 경제위기와 관련이 있어. ㅎㅎ (2009)

 

 

 

 

 

 

 

 

european-gov-debt.jpg

 

동유럽의 정부부채는 양호한 편인데 (2012)

 

 

 

대신 서유럽 은행의 차관이

 

동유럽 은행을 통해 가계대출로 풀렸고

 

 

 

 

 

 

 

 

 

동유럽대출20111126.jpg

이 돈이 유럽발 경제위기로로 긴급회수되면서

 

동유럽과 폴란드가 어느정도 타격을 받았어. ㅎㅎ (2011)

 

 

부채가 GDP의 40%면 심하진 않은데

 

외채, 고금리, 단기에 동유럽의 약한 경제력이 원인인 것 같아.

 

 

 

 

 

 

 

 

Poland-outstanding-housing-loans-graph.gif

 

폴란드의 주택담보대출은

 

GDP의 20% 정도로 매우 작지만

 

외채가 절반 이상이라 조금 문제야. ㅋㅋ (2011)

 

 

 

 

 

 

 

 

 

폴란드외채.jpg

 

폴란드의 외채를 전체적으로 보면

 

GDP 대비 총외채가 신흥국 중에서 가장 많은 편이라

 

관리가 필요할 것 같아. (2013)

 

 

 

 

 

 

 

 

 

폴란드산업생산.png

 

하지만 유럽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산업생산 증가율이 양호하고

 

 

 

 

 

 

 

 

 

IPOL_DS_gdp.gif

 

경제성장률이 건실해서 앞으로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해.  ㅎㅎ

 

 

 

 

 

 

 

 

3. 폴란드 약점 요약

 

1) 폴란드의 경제성장률은 좋은데, 이상하게 출산율은 상당히 나쁜 편임.

 

2) 최근 디플레이션이 발생해서 금리인하를 했음. 우리나라보다 금리가 0.25% 낮음.

 

3) GDP 대비 총외채가 신흥국치고 높은 편이라 대외변수에 취약한 편이라 생각함.

 

 

 

 

 

과거글 링크: http://www.ilbe.com/5859202693

 

 

 

 

 

3줄 요약

 

1. 폴란드는 동유럽에서 꽤 큰 나라인데, 최근 극우파의 43세 정치인이 대통령에 당선됨.

 

2. 폴란드에 다국적기업, 외국인투자금이 많아서 경제성장률이 좋은 편임.

 

3. 최근 디플레이션이 있고, 총외채가 비교적 많은 단점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