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2rr4
안녕~ 오늘은 덴마크로 일베 글을 쓰려고 해.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 짤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덴마크 소개
2. 덴마크 경제
3. 덴마크 문제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덴마크 소개
덴마크는 작으면서도 큰 나라라고 할 수 있는데
덴마크 본토는 한반도의 0.2배로 아주 작지만
자치령인 그린란드는 한반도의 9배로 엄청나게 커.
하지만 인구 5만명이니 큰 의미는 없을거 같아. ㅋㅋ
대신 그린란드에 원유 매장량이 꽤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그린란드를 통해 북극 자원에 대한 이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 ㅎㅎ
다시 덴마크 본토도 돌아와서
덴마크 인구는 561만명, 1인당 GDP 6만 달러로
덴마크는 북유럽 선진국이고 (2014. 네이버)
다른 북유럽 국가들에 비해 국토가 매우 작지만
노르웨이, 핀란드보다 높은 인구밀도로 비슷한 인구수야.
덴마크는 북유럽 3국보다 좋은 기후와
평야지대로 인해 농업이 발달한 나라로
식량안보지수 최상위권이고
(근데 노르웨이는 농업이 거의 없는데, 물고기 포함인가? ㅋㅋㅋㅋ)
우리나라에서는 덴마크 이름을 딴
유제품이나 다이어트로 유명하다고 봐. ㅎㅎ
1. 덴마크 소개 요약
1) 덴마크는 한반도의 0.2배 면적, 인구 560만명으로 작고, 1인당 GDP 6만 달러로 북유럽 선진국임.
2) 그린란드는 한반도의 9배로 엄청 크지만, 인구는 겨우 5만명임. 다만 석유 등의 자원이 많을 것으로 추정됨.
3) 국토는 작지만 노르웨이, 핀란드와 인구수가 비슷하고, 농업을 잘해서 유제품이 유명함.
2. 덴마크 경제
덴마크의 2012년 수출구조는
하늘색이 제조업, 노란색이 농업, 분홍색이 의약-화학 산업, 검은색이 석유, 회색이 기타라고 해.
선진국치고 농업이 상당히 높은 편이야. ㅎㅎ
고부가가치 화훼 농업을 하는 네달런드보다
덴마크가 조금 딸린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넓은 평야지대로 농업을 잘해서
덴마크의 돼지 사육두수는 2800만 마리로 (2012, 코트라)
우리나라의 3배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많고
덴마크 인구수의 6배에 달하는 축산업으로
세계각국에 돼지고기를 수출한다고 해. ㅎㅎ
그리고 덴마크는 북해유전에 일부 소유권이 있어서
의외로 석유가 나오는 나라야.
하지만 덴마크의 원유생산량이 하루 20만 베럴이라
수출이 거의 없고, 수입을 대체하는 수준인거 같아.
사우디의 원유생산량이 하루 1000만 베럴인 점을 고려하면
덴마크의 석유 생산은 미미한 정도로 생각해. ㅋㅋ
덴마크 제조업에 여러가지가 있지만
레고가 가장 유명하다고 생각하고 (2015년 기사)
북해의 찬바람 때문인지
덴마크는 풍력산업에 강점을 보이고 있대.
에너지 생산의 20%가 풍력발전이라고 하니
5백만명의 작은 인구수도 있지만, 참 대단한거 같아. ㅎㅎ (2007년 기사)

풍력발전은 바람의 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것인데
풍력발전기의 로터 직경이 약 100미터로
후덜덜하게 큰거 같아. ㄷㄷ
(사진을 봐도 감이 안 잡히네.)
어쨌든 덴마크 기업 베스타스가
풍력발전 세계시장 점유율 15%로 1위라고 하고 (2011)
다른 북유럽 국가들처럼
유럽 지역에 수출을 많이 하는 편이야.
또 남유럽 국가들과 다르게
무역수지 흑자여서 큰 문제는 없는거 같아. ㅎㅎ
2. 덴마크 경제 요약
1) 덴마크는 의외로 넓은 평야로 농업강국임. 돼지 사육두수가 우리나라의 3배 정도.
2) 북해유전을 일부 소유해서 산유국이지만,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을 대체하는 수준.
3) 덴마크에 레고 본사가 있고, 풍력 발전을 아주 많이해서 풍력산업으로 유명하다고 함.
3. 덴마크 문제점
덴마크는 기준금리를 마이너스 0.75%로 할 정도로
조금 문제가 있는 나라야. ㅎㅎ
부동산 버블로 주택가격이 상승했다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소폭 운지 했는데
덴마크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약 150%로
탑 10의 1위이고 (우리나라도 Hell이네 ㅋㅋ)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300%에 달해서
우리나라(160%)의 두배 정도야. ㄷㄷ (2011)
이렇게 높은 가계부채 부담은
덴마크 GDP의 77%에 달하는 서비스업을 위축시키는지라
덴마크의 소비지출이 꽤나 많이 마이너스 성장을 했고
소매판매도 크게 위축된 상태야.
따라서 디플레이션은 아니지만
덴마크의 물가상승률은 상당히 저조하고
산업생산도 꽤나 나쁜 편이라
덴마크의 경제성장률이 상당히 부진하다고 해. ㅎㅎ
주택가격 상승은 소비를 촉진하는 장점과 함께
가계부채 증가의 단점이 있어서 양날의 검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준 사례인거 같아.
덴마크의 총부채는 선진국치고 상당히 높은 편이고
소폭이지만 부동산시장 폭락으로
은행에 대한 구제금융을 조금 했었대.
하지만 덴마크의 경제규모가 작아서 그런지
부실채권(NPL) 규모가 매우 작고 (갓독일이 덴마크의 10배 액수)
덴마크가 재정이 건전한 나라라
비정상적으로 높은 가계부채만 문제인거 같아. ㅎㅎ
3. 덴마크 문제점 요약
1) 덴마크는 부동산버블로 인해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300%에 육박함.
2) 높은 가계부채가 경제의 발목을 잡아 소비지출, 소매판매, 산업생산, 경제성장률이 저조함.
3) 디플레이션 우려로 기준금리를 마이너스 0.75%로 인하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5823744002
4줄 요약
1. 덴마크 본토는 한반도의 0.2배 크기로 아주 작지만, 상당한 농업강국임.
2. 의외로 산유국이지만 생산량이 많지 않고, 레고나 풍력발전 등의 제조업을 주로 함.
3.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심하게 높아서, 덴마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음.
4. 그린란드와 북극에 석유로또 터지면 노르웨이처럼 될 수 있음. ㅋ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