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sWwl9


 

 

한국수출입증가율.png

 

안녕~ 우리나라 수출입이 운지한다는 뉴스를 보고

 

일베글을 쓸 생각이야. ㅎㅎ

 

이번에도 우리나라꺼라 길게 쓰려고 해.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우리나라 수입 감소의 이유

 

2. 우리나라 수출 감소 - 국가별

 

3. 우리나라 수출 감소 - 상품별

 

4. 우리나라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수입 감소의 이유

 

수입증가율.jpg

 

수출보다 수입 감소폭이 훨씬 강해서

 

내수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이 아니냐? 하는 말들이 있어.

 

 

 

 

 

수입실적.png

 

 

자료를 찾아 보니 2015년 3월까지

 

소비재, 자본재 수입은 오히러 증가한 편이고

 

수입 감소는 원자재 때문으로 보여. 

 

 

 

 

 

 

원자재수입감소.jpg

 

다만 우리나라가 원자재를 수입해서 가공한 후

 

상품으로 만들어 수출을 하니깐

 

 

원자재 수입 둔화를 생산 둔화라고 주장할 수도 있어.

 

 

 

 

 

수입총물량.png

 

하지만 그런 설명을 위해선 수입 물량이 줄어야 하는데

 

다행히도 수입물량은 큰 변화가 없는 편이야. ㅎㅎ

 

 

 

 

 

 

 

국제원자재가격지수CRB.gif

 

수입량 감소보단 수입액 감소로 그 이유는 원자재 가격 하락 탓이야.

 

 

국제원자재가격지수(CRB)를 보면 대략 30% 정도 운지해서

 

우리나라의 원자재 수입 27.3% 감소와 일치하고 있서. ㅎㅎ

 

 

 

 

 

에너지소비.png

 

유가가 50% 정도 운지한 덕분에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액이 40% 이상 감소했다고 해. ㅎㅎ 

 

 

 

 

 

1. 우리나라 수입 감소의 이유 요약.

 

1) 우리나라 수입 증가율이 마이너스 20% 정로 많이 줄었음. 그래서 내수침체 논란이 나옴.

 

2) 수입 증가율 감소의 원인은 원자재 가격 하락 때문으로, 소비재와 자본재 수입은 정상임.

 

3) 제조업 수출국이라 원자재 수입 둔화를 수출 둔화로 볼 수 있으나, 수입량도 보통임.  

 

 

 

 

 

 

2. 우리나라 수출 감소 - 국가별

 

2015041501445_0.jpg

우리나라는 수출입 세계 7위로

 

탄탄한 제조업 강국이며, 무역을 많이 하는 나라야.

 

 

 

 

 

 

국가별수출비중.jpg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출 비중을 보면

 

중국이 가장 많고, 아세안(동남아), 미국, 유럽(EU) 순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별수출증가율.png

 

현제 우리나라는 대미수출을 제외하면

 

수출이 많이 어려운 편이야.

 

 

 

 

 

 

대중수출.jpg

 

우리나라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대중수출은

 

약간 마이너스인 상태로 (2015년 1분기 -1.5%)

 

 

 

 

 

 

중국경제.jpg

 

중국 부동산시장 침체 탓에 투자,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의

 

대부분의 지표가 하락 추세여서 그런거라고 생각해.

 

 

 

 

 

대일eu대수출증감율.jpg

 

우리나라의 일본&유럽 수출이 크게 감소했는데

 

 

 

 

 

 

통화변화.jpg

 

 

이는 유럽과 일본의 환율조작 탓으로

 

환율의 평가절하는 수출에 혜택을 주고, 수입에 패널티를 주는지라

 

 

유럽과 일본의 해외 수출이 느는 대신, 수입이 크게 줄게 되었어.

 

그래서 우리나라가 유럽&일본 수출이 줄게 된 것이지.

 

 

 

 

 

 

양적완화.jpg

 

유럽의 양적완화는 올해부터 시작이고

 

한번에 1500조원을 푸는 것이 아닌, 2년간 매달 조금씩 푸는거라

 

유로화의 평가절하는 더 심해질 것이야.

 

 

 

 

 

 

 엔화환율.jpg

 아베노믹스가 년간 600조원의 돈을 푸는 것이라 (3년=1800조원)

 

엔화의 평가절하는 꾸준히 계속 되었는데

 

 

 

 

 

일본2015양적완화.png

 

올해는 200조원을 추가한 800조원을 푸는 것으로

 

 엔화의 평가절하는 더욱 심해질 것이야.

 

 

 

 

 

 

일본무역수지흑자.jpeg

 

 

그 덕분인지 일본이 원전 중단 이후

 

발생한 무역적자에서 벗어났다고 해.

 

 

유럽과 일본의 평가절하 때문에 (효과: 수출 up, 수입 down) 

 

우리나라의 유럽&일본 수출이 어려울 것으로 보여.

 

 

 

 

 

 

수출경합도.jpg

 

 

게다가 일본의 공격적인 환율조작은 우리나라에게 안 좋은데

 

우리나라와 일본의 산업구조가 비슷해서

 

우리나라와 일본은 강한 경쟁 상대라

 

 

 

 

 

 

엔화수출감소율.jpg

 

일본의 환율조작 탓에

 

우리나라 기업들의 어려움이 더 커질 것으로 생각해.

 

 

 

 

 

 

 

중국원자재소비.jpg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도 줄어들 것 같은데

 

 

중국의 경기침체로 원자재 버블 붐이 끝나고

 

유가는 50%, 전체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30% 하락 중이야.

 

 

 

 

 

 

중국1-2월석탄수입량.png

중국의 경기침체와 원자재 가격하락은 

 

원자재 수출국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일로

 

  

 

 

 

브라질시위.jpg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등은 이미 망했고

 

러시아, 브라질 등은 경제가 많이 어려운 상태야.

 

 

원자재 수출국들의 성장둔화로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이 어려워질 수 있어. ㅎㅎ

 

 

 

 

 

 

 달러화평가절상.jpg

 

 

하지만 미국의 경제회복과 양적완화 회수 조짐 등으로

 

달러화가 평가절상 (수입 up, 수출 down)으로 가고 있어서

 

대미수출이 좋아지는 점은 긍정적으로 생각해.

 

 

 

 

 

미국회복.png

 

또 미국은 세계 최대의 내수시장이라

 

미국의 경제회복은 세계경제의 회복으로 이어지는 일이라고 생각해.

 

 

 

 

 

2. 우리나라 수출 감소 - 국가별 요약

 

1) 대중수출이 우리나라 수출의 25%를 차지하는데, 중국의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

 

2) 일본과 유럽의 양적완화는 수입에 패널티가 있어 우리나라의 대일&대유럽 수출이 줄어들었음.

 

3)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출국들의 경제가 나빠지고 있음.

 

4) 대미수출이 증가한 점이 그나마 위안인 상태임.

 

 

 

 

 

3. 우리나라 수출 감소 - 상품별

 

우리나라수출구조.jpg


우리나라의 수출구조를 보면 


하늘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산업, 진한 갈색이 석유산업, 갈색이 제철산업 (철강), 회색이 기타, 초록색이 의류산업이야. 


제조업과 화학, 제철산업(철강)이 큰 편이지. 





최근수출실적.png

 

2015년 1~3월 우리나라 13대 수출품목 중 


상당수가 수출이 줄어들었어.

 

 

 

 


 

품목별수출증가율.jpg

 

그중에 가장 감소폭이 큰 것은 석유제품&석유화학으로

 

마이너스 20~40%의 감소폭이야.  ㄷㄷ

 

 

 

 

 

 

우리나라석유수출비중.jpg

 

우리나라가 정유 생산량 대비 수출량이 크게 높은데

 

유가가 50% 하락했으니, 그만큼 석유제품 가격도 하락한 것으로 생각해. ㅎㅎ

 

 

이익률이 얼마인가? 가 중요한데, 찾기 어려워서 생략할께.

 

 

 

 

 

중국철강2.png

 

중국의 부동산침체로 중국의 철강 재고가 크게 증가했고 (빨간선)


호주산 철광석 가격은 운지한 상태야. (파란선)






중국철강.jpg

 중국산 철강 재고의 증가만큼, 중국의 철강 수출이 증가하게 되어서


우리나라 철강 산업에 나쁜 일이라고 생각해. 

 

 




기아차영업이익률.png

 

무선통신(휴대폰), 가전, 자동차도 수출이 소폭 감소했는데 


이는 일본, 독일등의 경쟁상대가 환율버프로 


쟁력이 강화된 점도 한몫하는 것 같아. 







현기차수출비중.jpg

우리나라 자동산 산업들의 수익이 국내서 많이 나온다지만


해외판매가 큰 편이라, 독일차와 일본차의 환율버프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어. 







상품별수출증가율.png

수출액이 아닌 수출물량으로 따지면 (이렇게는 화학이 잘나간 셈이네 ㄷㄷ)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들이 수출감소로 많이 고생하는 편이야. 






3. 우리나라 수출 감소 - 상품별 요약


1) 우리나라는 제조업, 석유화학, 제철산업(철강) 강국으로 수출비중이 높음. 


2) 수출액 기준으로는 석유화학 수출액 감소가 수출감소의 핵심임.  유가하락으로 수출액이 20~40% 감소함.


3) 유럽, 일본의 환율버프로 우리나라 제조업이 어려움이 많음. 수출물량 기준으로 감소폭이 심함.  




 

4. 우리나라 상황

 

통화전쟁.jpg

 

세계각국의 경쟁적인 통화 전쟁으로

 

우리나라가 꽤나 어려운 상황이야.

 

 

세계각국의 평가절하는 중상주의&보호무역적 조치로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 안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 ㅎㅎ






올해예상.jpg

 

 

 한국은행의 올해 수출 증가율 예상은 마이너스이고 







국내기업실적.jpg

 

세계경제 침체 등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의 실적이 나쁜 편이야. 







발틱운임지수20150303.png


여기에 발틱운임지수 (벌크선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로 전세계 교역량을 평가하는 지표)


가 2008년 수준으로 나쁜 편이라,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해. 



중국 부동산 버블, 유로존 그리스 문제, 신흥국 경제운지, 미국발 금리인상 등 


악조건도 많은 상황이지. ㄷㄷ






무역수지.jpg


어려운 상황에도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점은 다행스럽다고 생각해. ㅎㅎ







국내gdp증가율.jpg


우리나라 수출이 나쁜 편이라 대책이 필요한데


일본처럼 양적완화를 할 때는 아닌 것 같고


정부의 생각은 내수부양과 투자증가인 것 같아. 



버블 우려가 있어서 탐탁치는 않지만


우리나라가 어려운 대외여건을 잘 극복했으면 좋겠어. ㅎㅎ





4. 우리나라 상황 요약


1) 세계각국의 환율전쟁으로 우리나라 수출이 어려움. 올해 수출이 마이너스 예상한다고 함. ㄷㄷ


2) 중국 부동산문제, 유로존 그리스문제, 신흥국 경제운지, 미국발 금리인상 등 악조건도 많은 편임.


3) 그럼에도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되서 긍정적이고, 내수부양을 해결책으로 보는 것 같음. 




http://www.ilbe.com/5706816793 일베용 링크





3줄 요약


1. 우리나라 수출입 증가율이 마이너스 20% 수준으로 크게 운지했음. 하지만 유가하락으로 석유류 수출입이 준 것이 가장 큰 원인임.


2. 각종 이유로 중국, 유럽, 일본, 신흥국 등에 대한 수출이 줄어들었음. 대미수출이 13% 증가한 점이 그나마 다행. 


3. 대외여건이 나빠 우리나라의 현명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 내수부양에 초점을 맞춘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