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956vG

 

그랙시트.jpg

 

안녕~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가 내일이지만

 

하필이면 내일이 양대노총 시위가 있는지라

 

오늘 그리스 편을 또 쓸 생각이야.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그리스 현재 상황

 

2.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이유

 

3. 그렉시트의 여파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그리스 현재 상황

 

그리스경제.jpg

 

그리스 경제는 GDP가 약 25% 감소하는 대운지와 (실질실효 감소 6년간 23.93%)

 

실업률 25%, 청년실업률 60%로 급상승했어. ㄷㄷ

 

 

 

 

 

 

그리스정부부채비율.jpg

 

2차례의 구제금융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의 정부부채는 177%에 달하고

 

 

 

 

 

그리스협상3.jpg

매달 갚을 채무와 공무원 월급 지급도 어려운 상태라 (72억 유로는 8조 4천억원)

 

유로존에 구제금융과 부채탕감을 요청했어.

 

  

 

 

 

그리스협상쟁점.png

 

하지만 유로존은 3차 구제금융의 조건으로

 

재정긴축, 노동시장 유연화, 연금개혁, 공기업 민영화, 증세 등의

 

강력한 경제개혁안을 요구하고 있는데

 

 

 

 

 

 

시리자공약.jpg

 

 

그리스의 극좌파 집권당 시리자의 공약과

 

반대이다 보니 협상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야.

 

 

유로존의 요구를 수용하면, 지지자들을 배신하는 것이고

 

유로존의 요구를 거절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와 유로존 탈퇴이지. ㄷㄷ

 

 

 

 

 

 

그리스협상2.jpg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은 길게는

 

6월 말까지 가능하다고 하지만

 

 

 

 

 

 

그리스국채금리.jpg

 

그리스의 디폴트와 유로존 탈퇴 우려로

 

국채 금리가 역운지해서 오늘 28%를 돌파했다고 해. ㄷㄷ

 

국채 금리가 사채이자 수준으로 올라간 셈이야.

 

 

 

 

 

그리스궁지.png

 

그리스 정부는 돈이 궁핍하자

 

국가의 모든 공공기관 자산을 탈탈 털었다는 뉴스가 나왔어.

 

 

 

 

 

1. 그리스 현재 상황 요약

 

1) 그리스는 경제운지로 실업률 25%, 경제규모 약 25% 감소, GDP 대비 정부부채 177% 의 폭망 상태임.

 

2) 빚 갚을 돈이 없어서 구제금융을 신청했으나, 양측의 이해 차이로 협상이 매우 어려운 상황임.

 

3) 그리스 위기로 국채 금리가 상승해서 28% 넘어감. 그리스가 돈이 없어서 '현금 쥐어짜기' 중임.

 

 

 

 

 

2.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이유

 

그리스재무장관.jpg

 

"그리스 극좌파 시리자와 그리스 국민들이 순 나쁜 놈 아니냐?" 싶지만

 

그리스가 어려운 이유가 많아. (재무장관 얼굴이 좀 ㄷㄷ)

 

 

 

 

 

유럽실효환율.png

 

유로화 환율은 유럽국가들의 경제력을 하나로 합친 후

 

평균을 낸 것이라 할 수 있어서

 

 

평균 이상인 독일에게 평균치의 환율은 이득이고

 

평균 이하의 국가들은 평균치의 환율은 손해야.

 

 

 

 

 

 

유럽경상수지불균형.png

 

환율의 평가절하는 수출 버프, 수입 디버프여서

 

 

유로화 도입으로 독일의 수출이 엄청 증가하고

 

반대로 남유럽 국가들은 수출이 운지하게 되었어. ㅋㅋ (짤은 경상수지)

 

 

 

 

 

 

그리스무역수지.png

 

그리스에게 유로화는 높은 수준의 평가절상이라

 

수출에 불이익이고, 수입에 큰 이득이 되어서

 

무역수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되었어.

 

 

그리고 적자의 누적은 부채의 증가이지. ㅎㅎ

 

 

 

 

 

 

유로존단위노동비용.jpg

 

또한 유로화 도입은 달러로 계산되는 단위 노동비용을 바꾸어서 

 

노동자들은 전혀 체감하지 못하지만

 

남유럽 국가들의 임금은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되었다고 해.

 

 

이는 수출 경쟁력 약화와 직격되는 일이야.

 

 

 

 

 

유로화국가.jpg

 

유로화 사용 국가들 중에 그리스의 경제력이 꼴찌라고 가정한다면

 

유로화 패널티는 그리스가 가장 심할 것이야.

 

 

 

 

 

 

 

그리스노동비용.jpg

 

유로화 때문에 환율조작이 불가능한지라

 

그리스는 직접적으로 노동비용을 낮추게 되었는데

 

 

 

 

 

 

그리스노력.jpg

 

25%에 달하는 높은 실업률과 최저임금 삭감 등으로

 

매우 고통스럽고 어렵게 추진되었어.

 

 

 

 

 

 

oecd노동시간.jpg

 

그리스는 OECD 평균 노동시간 3위의 국가여서

 

게으르다고 타박하기엔 조금 억울하겠다고 생각해. ㅋㅋ

 

 

그리스 경제운지는 환율 효과가 상당히 무섭다는 좋은 사례라고 보여.

 

(물론 그리스의 생산성이 낙후된 탓도 있을듯....)

 

 

 

 

 

재정수지무역수지.jpg

 

 

유로존은 회원국들에게 긴축(재정적자 감소)을 강력하게 요구하는데

 

 

소비+투자+재정지출+순수출=총수요인지라 

 

긴축은 수입 감소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무역적자 감소에 기여한다고 해.

 

 

 

 

 

 

그리스재정비중.png

 

하지만 그리스는 GDP 대비 재정지출 비중이 높은지라

 

긴축은 국가경제에 영향이 크고

 

(경제운지 이후라 자료에 왜곡이 좀 있을듯)

 

 

 

 

 

 

그리스공공부문.png

 

그리스에 공무원 수가 많아서 긴축정책을 추진하기에

 

정치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편이야. ㅋㅋ

 

 

 

 

 

 

grexit-comic1.png

 

그래서 그리스는

 

직접적이고 어려운 경제개혁과 긴축을 추진해야 하나?

 

아니면 유로존을 탈퇴해서 간접적이고 비교적 쉬운 환율조작을 할 것인가?

 

의 고민이 있는 셈이야. ㅎㅎ (할복과 헤드샷의 차이?)

 

 

 

 

 

 

유로화문제.png

조금 그리스를 변호하는 듯 썼는데

 

그리스가 분수를 모르고 유로존에 가입했다고 보면

 

그리스의 경제운지는 자업자득이라고 볼 수 있어. ㅋㅋ

 

 

 

 

 

2.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이유

 

1) 그리스는 자국 경제에 맞지 않는 고평가된 유로화를 사용해서 무역수지 적자가 심했음.

 

2) 간접적인 방법인 환율조작을 못 하는지라, 직접적인 방법인 임금 삭감과 긴축을 시행했으나 매우 어려움.

 

3) 긴축 반대를 공약으로 집권한 극좌파 시리자는 디폴트와 유로존 탈퇴의 고민이 있음.

 

 

 

 

 

 

3. 그렉시트의 여파

 

20120521예측.jpg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이 결렬되서 디폴트를 한다면

 

짤과 비슷한 시나리오를 겪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짤은 2012년 5월 21자로 과거 유물임.)

 

 

 

 

 

20120524시나리오.jpg

 

그리스가 유로존을 탈퇴한다면 (짤이 2012년 5월 24일자)

 

1. 드라크마화(신규화폐) 가치폭락.

2. 하이퍼 인플레이션 가능성.

3. 급격한 경기침체.

4. 자금조달 불능.

5. 은행 뱅크런.

6. 외환 부족으로 무역 마비.

 

등의 어마어마한 고통을 겪을 예정이야. ㄷㄷ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볼때, 잘못된 환율에서 벗어나는 장점이 있어.  

 

 

 

 

 

유로존신뢰.jpg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유로존과 유로화 신뢰의 하락이란 문제가 있어

 

남유럽 국가들의 신용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해.

 

 

 

 

 

eurozone_gdp.png

하지만 유로존에서 그리스의 경제비중은

 

2% 수준으로 매우 작고

 

 

 

 

 

 

유로안정화기금.jpg

 

1500조원 규모의 양적완화 시행과 넉넉한 ESM(유로존안정화기금) 등으로

 

금융시장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해.

 

 

 

 

 

 

그리스채무.jpg

 

또 그리스 채무 대부분을 민간은행이 아닌

 

유로존과 IMF 등의 국제기구가 보유 중이라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ㅎㅎ

 

 

 

 

 

 

그리스익스포저.jpg

 

게다가 그리스 익스포저(위험노출)는

 

남유럽보다 독일과 미국 등에 있어서

 

남유럽이 직접적인 피해를 겪는 것은 아니야.

 

 

 

 

 

 

반유로반긴축.jpg

 

다만  유럽에서 반유로&반긴축 정당들의

 

세력이 강해지고 있어서

 

그리스의 탈퇴는 첫 사례로 여겨질 것이고

 

 

 

 

 

 

빌그로스찡패드립.png

 

빌 그로스가 독일국채 운지한다는 패드립을 쳐서

 

흥미로운 상황이야. ㅋㅋ

 

 

 

 

 

 

대유럽수출.jpg

유럽의 경기침체와 양적완화의 수입감소 효과로

 

우리나라의 대 유럽 수출이 안 좋은 상태라

 

그리스 문제로 유럽에 악영향이 없었으면 좋겠어. ㅎㅎ

 

 

우리나라증시.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최근 주가상승은

 

외국인 순매수 영향이 꽤 컸는데

 

 

 

 

 

 

3월외국인자금.jpg

 

우리나라에 온 유럽계 자금도 꽤 되는지라

 

그리스 문제가 좋게 끝나거나, 별 피해 없이 끝나길 희망해. ㅎㅎ

 

 

 

 

 

 

3. 그렉시트의 여파 요약

 

1)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그리스 경제에 다양한 악영향을 주나 환율제약에서 벗어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음.

 

2) 그렉시트는 유로존과 유로화의 신뢰성 약화로 심리적 파장, 금융충격 가능성이 있으나 유로존이 잘 대비하고 있음.

 

3) 하지만 채권왕 빌 그로스 성님이 패드립을 쳐서 흥미로운 상태임.  별 일 없어야 우리나라에 좋은 일임. ㄷㄷ

 

 

 

 

일베용 링크 http://www.ilbe.com/5695593039

 

 

 

 

4줄 요약

 

1. 그리스는 빚 갚을 돈이 없어서 디폴트와 유로존 탈퇴 가능성이 있음. 오늘 그리스 국채 금리 28% 돌파함.

 

2. 그리스 경제문제에 유로화 도입이 한몫해서 유로존 탈퇴는 그리스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법임.

 

3.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금융충격을 만들 가능성이 있으나, 예상가능한 문제로 유로존이 충분히 대비한 상태임.

 

4. 그럼에도 빌 그로스 성님이 독일에 대해 운지드립을 쳐서 흥미로움.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