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VRYQ

안녕~ 오늘은 유럽의 감자국 아일랜드를 주제로 일베글을 쓰려고 해.
아일랜드는 경제가 운지해서 구제금융을 받은 후
3년만에 구제금융을 졸업한 재미난 나라야. . ㅋㅋㅋㅋ
목차는
1. 아일랜드 경제의 특징
2. 아일랜드 경제운지의 이유
3. 아일랜드 구제금융 졸업
이렇게 쓰려고 해.
1. 아일랜드 경제의 특징
아일랜드는 영국 옆에 있는 작은 섬나라로
인구 450만명, 면적은 남한 보다 약간 작은 나라야. (4/5 크기)
1인당 GDP는 꽤나 높게 나오는데, 그건 유로화 때문으로 생각해. ㅎㅎ
아일랜드의 수출구조는 분홍색이 의료-제약산업, 하늘색이 제조업, 노란색은 농업, 회색은 기타로 구성되어 있어.
분홍색의 의료-제약산업 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지.
'오잉? 뭐 때문에 제약산업 강국이지?' 싶은데
그 이유는 아일랜드에 있는 수많은 다국적 기업들 덕분이야. ㅋㅋ
아일랜드는 법인세를 놀라울 정도로 낮추었고
친기업 정책으로 기업들에게 각종 혜택을 주고
여기에 아일랜드가 영어를 사용하다 보니
다국적기업들이 공장차리기 매우 좋은 조건이야.

그래서 아일랜드가 기업하기 좋은 나라 순위에 늘 상위권이지. (짤은 2013년)
위짤에서 우리나라가 너무 낮게 나왔는데
다른 기업지표들에선 우리나라도 10위권 안에 들어감. ㅎㅎ
무엇보다 아일랜드 법인세가 낮아서
세태크 차원에서라도 아일랜드에 법인을 차려둔 기업들이 많아. ㅋㅋ
그런 친기업 정책들 덕분에 아일랜드 경제성장률이
대략 10년 동안 6% 이상 했다고 해.
1. 아일랜드 경제의 특징 요약
1) 아일랜드는 영국 옆의 섬나라로 인구 약 500만명, 면적은 남한 정도로 작은 나라임.
2) 법인세가 매우 낮고 친기업으로 유명해서, 다국적 기업들의 활동이 많음. 영어 사용도 한 몫함.
3) 2008년 전까지 6% 이상의 건실한 경제성장을 기록해서 켈틱 호랑이 소리를 들음.
2. 아일랜드 경제운지의 이유
아일랜드는 건실한 경제성장과 전세계의 골디락스 호황기,
그리고 유로존 가입으로 높아진 신용도와 낮아진 은행금리 탓에
어마어마한 부동산 버블이 발생하게 되었어.
수도 더블린을 기준으로 주택가격이 4배 상승했으니
우리나라보다 더 큰 부동산 버블이야. ㅋㅋ
하지만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아일랜드 주택시장이 붕괴하게 되면서
6년 연속 집값이 하락하게 되어서
(http://bespokeinvest.com/thinkbig/2014/6/22/global-home-price-values.html)
짤을 보면 그야 말로 팍 올라갔다가, 팍 떨어지게 된 것이야. ㅋㅋ
스페인 버블붕괴와 아일랜드 버블붕괴가 매우 유사하지. (초록색이 아일랜드, 주황색이 스페인)
아일랜드는 주택시장이 급운지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을 해준 은행권도 덩달아 부실해지고
여기에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수출도 급감하면서
아일랜드 경제는 3중고에 시달리게 되었어.
아일랜드 정부는 은행들이 운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어마어마한 재정을 투입해서 금융권 구제금융을 실시했지.
증세 없는 재정적자의 증가는
곧 정부부채의 증가임으로
아일랜드 정부부채 증가는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속도였어.
2007년 GDP 대비 25% 의 정부부채가 5년만에 120% 찍음. ㄷㄷ
하지만 이런 상황을 채권투자자들이 용인하지 않기 때문에
아일랜드 국채 대량투매로
아일랜드 국채금리가 수직 역운지하게 되었고
결국 견디지 못한 아일랜드 정부는
IMF와 유로존에 850억 유로(약 130조원) 구제금융을 요청하게 되었어. ㅋㅋ
아일랜드의 금융위기는 정부의 구제금융 탓에
재정위기로 이어지고, 곧 국가가 구제금융을 받게 만들었어. ㅎㅎ
그야말로 잘나가던 아일랜드 경제가
부동산 버블붕괴 한방에 나가 떨어진 것이지. ㅎㅎ
2. 아일랜드 경제운지의 이유 요약
1) 아일랜드는 경제호황과 유로존가입 효과(신용도 상승&저금리)로 주택가격이 3~4배 상승함.
2)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부동산시장이 다이나믹하게 운지함. 걍 깔끔하게 망함.
3) 주택대출을 해준 은행이 망하게 생겨서, 아일랜드 정부는 은행권 구제금융을 시행함.
4) 금융위기를 막았으나 대신 정부재정이 폭망해서, 아일랜드 정부가 대신 구제금융을 받음. ㅋㅋ
3. 아일랜드 구제금융 졸업

아일랜드 정부는 높아진 재정적자&정부부채를 줄이기 위해
또 유럽중앙은행의 요구로 인해 강력한 긴축정책을 추진해서
정부 재정적자를 빠른 속도로 줄여나갔어.
물론 은행권 구제금융이 끝난 것도 한몫하고ㅎㅎ
무엇보다 아일랜드의 수출이 다시 회복해서
무역수지 흑자가 커진 것이 좋은 이유인 것 같아.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비해 아일랜드의 수출이 많이 좋음. ㅎㅎ
버블붕괴로 치솟은 아일랜드 실업률은 하락 추세이고
기업지표도 회복세로 전환되어서
3년만인 2013년에 구제금융을 졸업했고
PIGS 맴버들(포르투칼,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과 다르게
아일랜드는 건실한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
그리고 2014년에 4.8% 경제성장을 했다고 함. ㅎㅎ
부동산 버블붕괴로 구제금율을 받게 되었지만
아일랜드의 강점이 사라진 것이 아니였고 뼈를 깍은 노력으로
켈틱 호랑이의 저력을 다시 보여줬다고 생각해. ㅋㅋ
3. 아일랜드 구제금융 졸업
1. 뼈를 깍는 긴축정책과 구조조정을 해서 문제였던 재정적자&정부부채를 줄여나갔고
2. 그리스, 스페인 등과 다르게 무역수지가 건실해서 3년만에 구제금융 졸업함.
3. 사실 보고서가 별로 없어서 쓸게 없었음. ㅠ.ㅠ 듣보잡 국가의 비애.
과거글 목록 http://www.ilbe.com/5666764945
3줄 요약
1) 아일랜드는 친기업 정책으로 다국적기업들을 많이 유치한 나라임. 영어 사용도 한몫함.
2) 경제성장, 유로존가입 효과(신용도up,저금리) 등으로 주택가격이 3~4배 상승했다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운지함.
3) 구제금융 이후 뼈를 깍는 노력으로 3년만에 구제금융 졸업하고 2014년에 경제성장률 4.8% 달성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