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시티 하다 보면
'나 전자테크로 1천만원 벌어봄 ㅍㅌㅊ?'
라는 식의 말을 볼 수 있는데
이 특성화 무역에 관한 시스템, 종류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일단 관광, 카지노를 제외하고 석탄, 석유, 전자 산업은 위와 같은 도표를 기반으로한 무역을 하게 된다.
1. 땅에 뭐가 묻혀있는지 어떻게 암?
- 광역에서 도시를 선택할 때 여러가지 그래프가 보일 거다 물, 바람, 여러 자원, 철도와 선박의 유무까지
그 중 자신이 본래 계획한 자원이 많은 도시로 들어가면 된다.
그래프가 한칸이면 시작하지 않는걸 추천한다. 정말 자원이 적다.
2. 자원은 어떻게 다룸?
- 자원을 캐려면 해당 자원의 채굴 건물을 건설해야 하는데 전자를 제외한 석유, 석탄 광산의 해제 조건은
일반 공업 건물 6개를 올리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아닐지도 모르니 게임 내 확인 요망)
이 공업 건물은 해제하고 나서 지워버려도 다시 광산이 잠궈지거나 하진 않으니 광산 해제하고 지워도 무방하다.
석유 유정의 경우 기본적으로 펌프잭이 주어지지만 석탄, 원광 광산의 경우 추가적으로 애드온을 설치해줘야 작동한다.
초반엔 캐내는 양이 낮은데 적응기간 (혹은 근로자의 수에 영향을 받는듯 싶다)을 거칠수록 캐내는 양이 많아진다.
광산을 건설하고 나서 특히 주의해야 하는건 현재 속도로 캘 때 얼마나 더 캘 수 있는가이다.
광산을 클릭하고 잘 보면 몇개월간 채굴 가능한지 보일 것이다.
3. 자원이 언젠간 마를텐데 어떻게 운영함?
- 단순히 석탄, 석유, 광석을 파는 것이 목적이 아닌 돈을 버는게 목적이라면 가공업으로 넘어가야 한다.
무역 흑자를 어느정도 기록하면 협회가 열리는데 이 협회에서 여러가지 부서를 세울 수 있다.
그 중 해당 항목에 대한 가공 공장을 열 수 있는 부서가 있는데 꼭 첫번째로 올리기를 추천한다.
부서를 올렸다면 1차 자원 (석탄, 석유, 광물)의 수출을 중지하고 2차 가공건물 (연료, 합금, 금속, 플라스틱)로
자원을 옮기는 방식으로 운영하는게 좋다. 아무리 자원이 많아도 고급 석탄 광산 풀 애드온이면 1개월도 채 못간다.
이후 2차 가공건물에서 가공물을 생산하여 팔다가 전자테크를 열어 2차 가공물의 수출을 중지하고 3차 가공물 (TV, 컴퓨터)로 자원을
옮겨주면 된다.
4. 전자테크는 어떻게 올림?
- 첨단 공업 건물을 5개 올리면 된다.
부타워를 짓거나 전문대학을 지어주자.
5. 자꾸 자원이 꽉차서 못캔다고 하는데?
- 자원을 저장하는 곳은 두가지가 있다.
첫째로 광산 자체적인 자원 저장고이고 둘째로 무역기지, 무역항의 저장 창고이다.
생산 건물에서 저장 창고로 자원 운송이 늦어져 생산 건물의 창고가 꽉 차면 생산이 멈추는데 생산 건물의 트럭을 늘려주면 된다.
생산 건물의 트럭 수는 최대 2대를 추천한다.
참고로 교통체증도 자원 운송에 큰 차질을 빚으므로 무역기지, 무역항은 생산건물 주변에 지어줌이 좋다.
6. 자원 운송 수단에 뭐가 있음?
- 생산건물로부터 무역기지, 무역항으로 옮기거나 무역기지, 무역항에서 생산건물로 운송하는데는 트럭 하나밖에 없다.
그러나 무역기지, 무역항에서 글로벌 마켓으로의 수출 혹은 수입엔 여러가지 수단이 있다.
첫째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일반 트럭인데 나중에 교통을 잘 설계해두지 않으면 제대로 당도하지 못할 위험이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둘째로 기차가 있다. 기차를 이용하려면 무역항에서 기차 관련 애드온을 지어야 하는데 무역항 근처에 기찻길이 있어야 한다.
기차는 트럭과 달리 주기가 있으며 교통 체증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괜찮은 운송수단이다.
셋째로 화물선. 화물선 또한 이용하려면 무역항 내 애드온과 가까운 다른 광역과 이어지는 물이 필요하다.
셋 중 화물 운송량은 화물선, 기차, 트럭 순이다.
7. 협회 업그레이드 조건 (무역을 얼마 흑자내시오) 충족이 어려운데 어떻게 함?
- 트럭만 이용한다면 모를까 기차나 화물선을 이용하는 상태에선 무역항 하나로는 자원을 꽉 채워도 금방 마른다.
협회의 업그레이드 조건은 일 수출 수익인데 위에서 말한 바를 이용하여 무역항 내 창고를 가득 채워 한번에 방출하는 식으로
일순간 수익을 뻥튀기시켜 협회 업그레이드를 하면 된다.
만약 무역항 하나로는 충족되지 않는다면 무역항 2개로 하면 된다.
무역항을 짓지 못한다면 무역기지를 여러개 세워 교통이 막히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한번에 풀어버리면 된다.
8.무역기지, 무역항에서 생산 건물로 자원 운송을 안한다
- 버그다. 트럭 차고를 지웠다가 다시 박아라
9. 글로벌 마켓?
- 심시티 내 가상의 국제 시장으로 광역 내가 아닌 전체 플레이어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다.
예로 합금을 수입하는 광역 혹은 도시가 많다면 합금의 글로벌 수입 가격과 수출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10. 지역 배달 허용과 글로벌 배달 허용은 뭐임?
- 지역 배달 허용은 너의 도시에서 나는 자원을 해당 건물로 운송 혹은 다른 건물로 운송 가능케 해준다.
예로 석탄 광산, 무역기지, 석탄 발전소에 지역 배달 허용을 체크했다면 석탄 광산 -> 무역기지 -> 석탄 발전소 순으로 운송이 되겠지만
무역기지에서 체크를 풀어버리면 석탄 광산 - X -> 무역기지 - X -> 석탄 발전소가 되어 종래엔 석탄 발전소의 석탄이 마르게 된다.
글로벌 마켓 배달 허용 기능도 이와 비슷한 이치로 해당 건물로 글로벌 마켓 자원을 수입할지 여부를 물어보는 것이다.
만약 지역 자원에 석유가 없는데 석유 발전소를 지었다면 필히 체크해 주자.
11. 산업건물과 특성화 건물들 (광산, 제조소 등)의 공통점?
- 가장 큰 차이로는 특정 자원을 생산하는지 정도이다
그 외 일자리를 창출한다던가 하는것은 같다.
참고로 세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자 산업도 오염을 일으킨다. (첨단 산업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또한 위험물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다.
12. 화물 창고는 무슨 기능임?
- 산업건물의 생산량이 상업건물의 수요량보다 많으면 산업건물이 화물을 배송할 곳을 찾지 못해 도산하게 되는데
이를 막기 위한 수단이다. 특성화 건물과는 별개의 창고라 생각하면 된다.
위는 관광산업으로 들어오게 되는 관광객들의 지표이다.
관광산업은 문화건물로 인한 것과 도박건물로 인한 것이 있다.
13. 관광객들 어떻게 모음?
- 기본적으로 랜드마크, 카지노 건물, 여러가지 운송수단과 같은 관광객을 받아들일 건물들이 필요하다.
랜드마크의 경우 각 랜드마크별 받아들이는 관광객들의 계층이 다르다. 기본 카지노는 서민, 중산층을 받아들이며 이후 상류층도 받아들일 수 있다,
건물을 세우면 서민층 관광객은 고속도로, 철도를 이용해 들어오지만 중산층 관광객은 철도, 배를 타고 들어오며
상류층 관광객은 배, 비행기를 타고 들어온다 (위 표에 오류가 있는데 상류층 관광객은 배를 타고도 들어온다.)
나갈 때도 마찬가지.
14. 관광객들이 움직이는 패턴?
- 도시로 들어와서 상업건물에서 돈을 쓴 뒤 모든 돈이 소진되면 다시 돌아가는 식이다.
관광객들이 움직이는 방식은 걷기, 버스, 택시, 리무진이 있는데 이들을 최대한 걷게 만드는 것이 교통체증을 줄이는 방법이다.
랜드마크도 관광객들에게 있어 일종의 상업 건물로 취급되는데 1순위로 방문하는 장소가 된다.
즉 가능하면 랜드마크 주변에 운송 수단을 짓고 상업건물을 배치하자.
관광객이 돈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면 근처 상업건물 중 숙박시설로 들어가 하루정도 묵게 된다.
15. 관광객을 늘리는 방법?
- 운송수단을 늘리기
관광객을 제공하는 대역사를 짓기
스타디움과 같은 행사 개최 시설을 짓기가 있다.
16. 그 외
- 관광건물들은 범죄를 자주 유발시키니 경찰서를 근처에 지어줌이 좋다.
서민층 관광객의 경우 기차로 와서 택시로 돌아가는 노답 상황을 연출하기도 하므로 근로자들과 엉키지 않게 잘 관리하자
스타디움 외에도 오슬로 극장, 글로브 극장,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등도 행사 개최를 할 수 있다.
여기까지.
더 보충설명 필요한건 덧글로 달면 알려준다.
다음 주제는 도시를 설계하는법을 다루게 될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