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의 조조가 천하통일을 못한 20가지 이유
1.중국역사상 이례적으로 많은 인재들이 조조와
같은 시대에 등장해서 활약했다. 제갈량 등의
뛰어난 모사들 뛰어난 장수들
2.조조는 백성들의 미움을 많이 받고 질시를 많이 받았다.
통치자가 악한 성격이더라도 백성들에게 악한 성격임이
드러나지않아야
백성들이 잘 따르는 법인데 조조는 자신의 악한 성격이 백성들에게
많이 알려져 백성들에게 미움을 많이 받았다.
3 유비와 손권같은 강력한 라이벌 반대세력들이 존재했다.
강력한 라이벌을 제거하는데 실패했다. 유비가 조조에게 의탁했을때
조조가 유비를 제거했더라면 대세는 달라지지않았을까?
4.오나라의 장강의 험난함과 침공어려움과 촉나라의 지리적 험준함과
침공어려움
5.조조의 적들이 아주 많았다.
원소 여포 원술 유비 손책 손권 동탁 헌제 공손찬 마등 마초 유표
오환족
장수 장로 유장 등등 많은 적들을 모두 멸하는 것이 어려웠다.
6. 조조가 환관의 후예라는 권력의 정통성에서 단점이 있었다.
7한나라의 전한 후한 400년이 넘는 통치로 백성들은 한나라에 충성하려는 백성들이 많아서 위나라로 한나라를 조조의 시대에 대체하기
어려웠다. 조조의 다음대 조비때에서야 위나라는 한나라를 대체했다.
8조조의 모사들 중에서조차 조조가 위나라로 한나라를 찬탈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순욱 순유 등
9 한나라의 신하중에서도 조조를 죽일려는 자들이 있었다.
10조조의 뛰어난 장수들이나 뛰어난 모사들 중에서도 전쟁중에 또는 병으로 사망하였다. 하후연 곽가 등
11. 조조는 건강한 사람이었어나 두통 두창을 자주 앓았다.
두통 두창이 심하면 오판을 하게되고 전쟁중에 행동과 활동에 큰 지장을 준다.
12조조는 전각을 짓기위해 배나무를 절단하려했으나 그 배나무에는
신인이 살고있어 신인의 노여움을 받아 조조의 수명을 단축했다.
조조는 예순여섯에 죽었다. 조조가 10년만 더 살았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13한나라가 백성들의 미움을 많이 받지않았고 백성들은 한나라의 은혜를 생각하여 백성들의 미움을 받는 위나라가 조조의 시대에 한나라를
대체하기는 어려웠다.
14 조조 자신도 자신이 황제가 될려는 생각을 하지않았고 위왕으로
있으면서 자신의 후계자가 황제가 되기를 원했다.
15 조조는 일정기간에는 뛰어난 인재들과 모사들을 모으는데 많은 힘을 쏟았으나 조조의 주위에 워낙 인재들과 모사들과 장수들이 많이 모이게 되자 모사들과 인재들을 모으는것을 조조의 후년에는 등한히 하였다 그래서 촉의 장송이 촉나라를 조조에게 바치려고 왔음에도
조조는 장송이라는 인재를 못알아보고 촉나라를 바치려는 장송의 의도를 이해하지못하여 촉나라를 삼키는 것을 놓쳤다
조조가 촉나라만 삼켰다면 오나라도 삼켜 천하통일을 할 수도 있었을것이다.
16조조는 아주 오만했고 성격이 악한데다 자신의 재주를 너무 자랑했다는 성격적 결함이 있었고 성군이 되기에는 부족하였다.
17조조는 자신의 아버지 조숭의 원수를 갚느라 서주백성10만명을 대학살했다. 서주대학살사건
18조조는 자신의 많은 적들과 전쟁을 벌이면서 많은 군사들 많은 백성들 많은 장수들을 죽여 원망을 많이 받았다.
19 조조는 13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황후로 삼은 것은 변황후이다.
변황후가 조조의 황후가 되고나서 조비 조창 조식 조웅을 낳았다. .
변황후는 가기이었던 여자로 비천한 직업에 종사하던 여자였다.
가기였던 비천한 직업에 종사하던 여자를 황후로 삼은것은 권력의 정통성에서 문제가 된다.
20 적벽대전에서 병력수가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에 비해 월등했음에도
조조는 적벽대전에서 참패를 해서 천하통일의 기회를 놓친다.
조조가 천하통일은 못했지만 일세의 영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