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지우려는 現정부 불편" 사의 표명한 통일연구원장



 

김천식 연구원장 "소신 포기할 수 없어"



 

김민서 기자
조선일보 2025.11.04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이 4일 사의를 표명했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연합뉴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연합뉴스




김 원장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통일을 지향하지 않고 통일을 (정부 정책에서)지우려는 정부에서 통일을 연구하는
국책연구기관장으로서 계속 앉아 있는 것이 불편하다”며 사의표명 이유를 밝혔다.


정부측으로부터 사퇴 압박이나 요구를 받은 것은 아니라고 한다.
김 원장은 “현 정부에서 내가 통일연구원장으로서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판단을 했다”며
“자유민주주의와 통일에 대한 내 신념을 지키기 위해서는 직을 내려놓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김 원장은 윤석열 정부때인 2023년 7월 통일연구원장에 임명됐다.
임기는 내년 7월 19일까지다.
임기를 약 8개월 앞둔 김 원장이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후임 인선 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에서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 원장은 정동영 통일 장관이 통일부 명칭에서 통일을 빼는 방향으로 부처명 변경 시도를 하고
‘평화적 두 국가론’을 들고 나오자 “반통일적이고 위헌적”이라며 고강도로 공개비판을 했다. 김 원장은 평소 공개 세미나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우리가 통일을 포기하는 것은 강대국이 되는 길을 포기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여러 번 표명했다.

 

김 원장은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 성과물인 6·15 남북 공동선언 초안을 작성한 인물이다.

행정고시에 수석합격하고도 기피부서로 통했던 통일부를 자원했고 그는 2013년 3월 차관 퇴임사에서 “공직생활하면서
한시도 잊지 않았던 것은 제대로 된 나라, 부강한 조국의 꿈이었다”면서
“소년 시절부터 그 답이 통일에 있다고 믿었고 그래서 젊은 시절, 주저 없이 직업으로서 통일을 선택했다”고 했다.

그는 당시 퇴임사에서 “앞으로 어떠한 사적 이익을 위해서도 그 동안 국가로부터 받은 녹봉이 유용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일하는 과정에서 만났던 북한 동료까지도 모두 안녕하고 통일의 그날 모두 마음을 합쳐 손잡고 나갈 것을 기원한다”며
북측 카운터파트들에게도 안녕을 고했던 인물이다.

 

김 원장은 이날 통화에서 “정부 입장과 부딪히지 않고 남은 임기 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월급 받고 앉아 있으면 따뜻하긴 하겠지만
통일에 대한 내 소신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고 했다.



 

관련 기사



 
이해찬 “평화통일 뜻 결코 흔들릴 수 없어...우리 통일정책 포기불가”


이해찬 "평화통일 뜻 결코 흔들릴 수 없어...우리 통일정책 포기불가"
이해찬 신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3일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 뜻은 결코 흔들릴 수 없다”고 했다.
이 수석부의장은 이...



 
혼란 불러놓고… 결국 ‘두 국가론’ 물러선 정동영


혼란 불러놓고… 결국 '두 국가론' 물러선 정동영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8일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과 관련해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 안(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했던
최근 자신의 발언을...



 
정동영 “두 국가론 헌법에 합치”… 전문가 “헌법은 통일 명시, 궤변”


정동영 "두 국가론 헌법에 합치"… 전문가 "헌법은 통일 명시, 궤변"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감에서 자신이 주장하는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 공식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김민서 기자


김민서 기자
정치부 차장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