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최근 소비지표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소비지표


2. 소비 둔화 요인-1


3. 소비 둔화 요인-2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소비지표


소비심리_20171124_연합.jpg


우리나라의 2017년도 소비자심리지수는 


생각보다 좋게 나왔고 (2017.11)







민간소비_20171026_경향.jpg


민간소비 증가율도 그럭저럭 좋게 나왔다고 해. (2017.11)







백화점_201710_한경.jpg


하지만 백화점 매출 증가율대형마트 증가율을 보면


소비심리와 실질소비가 다른 것 같아서 (2017.10)







소비지표_20170912_헤럴드경제.jpg


소비지표 동향에 대해 조금 의아한 편이야. (2017.09)







주점업_20180103_매일.jpg


무엇보다 2017년도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너무 안 좋아서 (2018.01)







음식점업_20170914_조선.jpg


체감경기가 안 좋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2017.09)








음식품_20180104_연합.jpg


음식업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나쁜 이유는 


식품 물가 상승에 따른 가격 상승 때문으로 여겨지며 (2018.01)







주점업_20180103_세계2.jpg

하락 폭이 너무 커서 안타까운 편이야. ㄷㄷ (2018.01)








소매판매_201711_매경.jpg

그리고 2017년도 소매판매 증가율은 


3분기부터 좋아졌다고 하며 (2017.11)








201707_KBS1.JPG


온라인 매출 증가율이 꾸준히 증가해서


소매판매의 20%를 차지할 정도라고 해. (2017.07)







1. 최근 소비지표 요약


1) 소비자심리지수가 높게 나와서 민간소비 증가가 기대되었음. 


2) 일부 소비지표가 나쁘게 나와서 소비심리와 실제 소비가 다른 것 같음. 


3) 음식업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2009년도보다 나쁘게 나왔다고 함. 







2. 소비 둔화 요인-1


성장_201710_한국일보.jpg


민간소비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조금 걱정이 되는 편으로 (2017.10)







원인_20180101_매경.jpg

소득 감소, 가계부채, 고령화 등의 문제가 많아서


변수가 많은 것 같아. (2018.01)








물가_20171230_동아.jpg


특히 2017년도 물가상승률이 높아서 (2017.12)








실질소득_20171123_연합.jpg


가계의 실질소득 증감률이 매우 나빴다고 해. (2017.11) 








가계소득_20171125_한겨레.JPG


가계의 실질소득 증감률은 2016년도 4분기에서 


2017년도 2분기까지 상당히 안 좋았으며 (2017.11)








실질소득_20171124_아시아경제.jpg


마이너스 0.001% 까지 포함해서 계산하면


8분기 연속 감소로 나오고 있어. ㄷㄷ (2017.11)







소비_20170716.jpg

실질소득과 실질소비 증가율의 


높은 상관관계를 생각하면 (2017.07)







실질소득_20171124_중앙.jpg


우리나라의 실질소득 정체가 매우 아쉬운 편이야. (2017.11)








소득분배_20171124_중앙.jpg


그 외에 우리나라의 빈부격차가


2017년도에 더 커져서 (2017.11)







소득분배_20171124_아시아경제2.jpg


소득분배상황이 7분기 연속 악화된 상황으로 (2017.11)








201506_한국일보.jpg

우리나라의 소비가 안 좋아질 수 있어서


안타깝다고 생각해. (2015.06)







2. 소비 둔화 요인-1 요약


1) 소득감소, 가계부채, 고령화 등의 소비 둔화 요인들이 많이 있음. 


2) 물가상승 때문에 가계의 실질소득이 8분기 연속 감소했다고 함. 


3) 빈부격차가 2017년도에 더 커져서 소득분배상황이 7분기 연속 악화되었음. 







3. 소비 둔화 요인-2


가계부채_20171120_서울경제.jpg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은 10% 수준)


소비를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가계부채로 (2017.10)







가계부채_20171221_서울신문.jpg


가처분소득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서


조금 우려스러워. (2017.12)







부채_20171221_한겨레.JPG


특히 20. 30대 가구의 부채증가율이 높아서


걱정스럽고 (2017)







대출금리_20180105_아시아경제.jpg

(짤은 마이너스 통장 대출금리)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어서 (2018.01)







이자부담_20171130_한겨레.JPG


가계소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1)







청년_20170619_위클리공감.jpg

그다음 소비 둔화 요인은 


높아지는 실업률로 (2017.06)







실업_20170619_위클리공감2.jpg


비경제활동인구, 구직 단념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서 


소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 같아. (2017.06)







최저임금.jpg


특히 올해는 최저임금 인상, 통상임금 문제, 


근로시간 단축 이슈가 있어서 (2017.09)







실업_20171225_머니투데이.jpg


실업률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2)







3. 소비 둔화 요인-2 요약


1) 가처분소득 증가 속도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서 우려스러움. 


2)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 소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음. 


3) 실업자 증가도 소비증가를 둔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함. 







4. 내 생각 


주점업_20180103_매일.jpg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매우 안 좋고 (2018.01)








가동률_20171130_서울경제.jpg


우리나라의 공장가동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어서 (2017.11)







전망_201711_한경.jpg


경기가 좋은 게 맞는지 조금 의심스럽지만 (2017.11)








경제전망_201711_뉴스1.jpg

(올해는 건설투자, 설비투자, 수출 증가율이 조금 둔화된다고 함.)


민간소비 증가로 올해 경제가 좋았으면 좋겠어. (2017.11)








물가_20171201_연합.jpg

(최저임금 상승으로 물가가 다시 오를 수도 있음.)


물가상승률이 조금씩 낮아지고 있어서


실질소득 감소가 적을 수 있고 (2017.12)







정부지출_20171205_한겨레.JPG


늘어난 정부지출이 민간소비를 


견인할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2)








소득주도_201709_매경.jpg


마지막으로 최저임금 상승의 부작용이 


없었으면 좋겠고 (2017.09)






20170604_아시아투데이.jpg

우리나라 경제가 더블딥 없이 잘 성장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7.06)







4. 내 생각 요약


1) 공장가동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어서 경기전망이 애매한 편임. 


2) 크게 증가한 정부지출이 소비를 이끄는 핵심 요소이 될 것 같음. 


3) 최저임금 상승의 부작용을 막는 게 매우 중요한 것 같음. 







과거 글 링크 : https://www.ilbe.com/10222218576







3줄 요약


1. 가계 실질소득이 8분기 연속 감소해서 소비 증가에 부정적임. 


2. 가계부채, 금리인상, 실업 증가도 소비 증가에 부정적인 요인임. 


3. 하지만 민간소비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어서 잘 유지되었으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