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백화점 산업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백화점 산업 소개


2. 우리나라 백화점 순위


3. 백화점 산업 침체


4. 기타 특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백화점 산업 소개


대구역_전경.jpg


백화점이란 한 건물 안에 여러 종류의 상품을 


부문별로 진열해서 파는 대규모 소매점으로 







롯데몰_수원.jpg

(롯데몰 수원)


의류, 일용잡화, 가구 등의 소비제품을 팔며


고객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이야. 






부담_201603_고양신문.jpg

백화점은 수수료를 많이 떼서 


물건값이 비싼 단점이 있지만 (2016.03)







고급_201603_중앙.jpg

(품질 보장이 확실한 것은 아님.)


매장이 고급스럽고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점이 장점이라고 해. 







역사_20090708_동아.jpg


우리나라의 백화점 산업은 일제시대 때부터 


시작되었고 (2009)






유통산업_20170502_브런치.jpg

우리나라 경제와 함께 크게 성장해서


유통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2017.05)







판매물품_20160405_조선.jpg

백화점의 주력 상품은 의류, 화장품, 구두 등의


패션용품이며 (2016)







성별_20170419_비즈워치.jpg


남성 고객보다 여성 고객이 많고 (2017)







매출비중_20160128_서울경제.jpg


30, 40, 50대 고객이 중심이라고 해. (2016)







1. 백화점 산업 소개 요약


1) 백화점이란 여러 종류의 상품을 부문별로 진열해서 파는 대규모 소매점임. 


2) 매장이 고급스럽고 고객 편의시설이 잘 갖추고 있지만, 가격이 비쌈. 


3) 백화점의 주 고객은 30~50대 여성이고 의류, 화장품 등을 주로 판매함. 







2. 우리나라 백화점 순위


매출_20171201_경향.jpg


우리나라 백화점 산업의 매출은 29조 원 정도 되며 (2017)







매출_20150323_세계.jpg

매출 1위는 롯데백화점이라고 해. (2015)







순위_20160216_서울경제.jpg


롯데백화점의 소공동 본점이 우리나라 백화점 중에서 


매출이 가장 많으며 (2016)







20120914_아시아경제.jpg


브랜드 점수에서 롯데백화점이 


비교적 높게 평가되고 있어. (2012)

  






점포_20170101_파이넨셜.jpg

우리나라의 백화점 수는 총 100개가 있다고 하며 (2017)







점포_20161125_세계.jpg

롯데백화점 33개, 현대백화점 15개, 


신세계백화점 12개가 있는 중이야. (2016)







 20130709_한경.jpg

(NC라는 이름이 뉴코아 Newcore에서 나왔다고 함.)


NC백화점은 이랜드 그룹에서 운영 중인 백화점으로 (2013)







구조_20100519_국민.jpg


판매 수수료 대신 직매입 형태로 백화점을 운영하며 


경쟁업체 백화점을 인수하는 형태로 수를 늘려서 (2010)







점포_20161125_세계.jpg

NC백화점 점포 수가 19개로 생각보다 많다고 해. (2016)







2. 우리나라 백화점 순위 요약


1) 우리나라의 백화점 산업은 매출액이 29조 원이고 100개의 점포가 있다고 함. 


2) 백화점 매출액 순위는 롯데, 현대, 신세계이고 롯데백화점의 점포가 가장 많음.  


3) 이랜드 그룹의 NC백화점 점포 수가 19개나 되어서 조금 놀라웠음. 







3. 백화점 산업 침체


성장률_20170101_파이넨셜.jpg


백화점 산업의 성장률이 제자리걸음 상태로 (2017)







3사출점제로_20130125_조선.jpg


상위 3사의 백화점 신규 출점이 


3년 연속 제로 상태이며 (2013)






영업이익_20150111_동아.jpg


상위 3사의 영업이익이 조금씩 감소하고 있어서


위기감이 있는 편이야. (2015)







일본_20161019_중앙.jpg


우리나라의 백화점 산업이 일본처럼 


장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서 (2016)







트렌드_201601_매경.jpg


우리나라 백화점 업계가 트렌드 변화에 


나서고 있다고 해. (2016)






201512_매경2.jpg

패션 상품 비중을 줄이고 


식품, 리빙 상품 비중을 늘렸으며 (2015)







20130326_조선.jpg


백화점 1층을 화장품 매장에서 


식품과 디저트 매장으로 바꿨어. (2013)







디저트_20141015_동아.jpg

백화점 디저트 상품은 가격이 너무 비싸서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2014)







디저트_20140217_중앙.jpg

의외로 잘 팔려서 조리식품보다 


디저트 매출이 더 높고 (2014)







PS150417_이데일리.jpg


매출 증가율이 쏠쏠하게 나온다고 해. (2015)







디저트__20150828_서울.jpg


백화점 디저트 상품이 비싸서 안 먹어봤는데 (2015)







PS14042900377.jpg


잘 팔린다고 하는 것을 보니


음식은 역시 맛이 중요한 것 같아. ㅎㅎ 







3. 백화점 산업 침체 요약


1) 백화점 산업의 성장률이 낮아져서 상위 3사의 신규 출점이 없음.  


2) 일본처럼 장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서 변화를 꾀하고 있음. 


3) 패션 상품 비중을 조금 줄이고 식품, 리빙 상품 비중을 늘렸음. 







4. 기타 특징 


VIP_20150422_머니투데이.jpg


백화점 전체 매출 증가율은 매우 부진하지만 


VIP 매출 증가율은 잘 나오는 편으로 (2015)







명품_20170128_서울경제.jpg


백화점 매출에서 명품 비중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다고 해. (2017)







명품_20170128_서울경제2.jpg


내수부진 상태에서 백화점 명품 매출이 


쏠쏠하게 나와서 조금 의외였고 (2017)







2008.jpg

백화점 산업의 특이함이 있어서 


조금 흥미로웠어. ㅎㅎ (2008)







남성_20160710_서울경제.jpg


그 외에 백화점 남성고객 비중이 


조금씩 늘어나는 중으로 (2016)






201512_매경.jpg

여성고객보다 남성고객이 한번에 


쓰는 돈이 훨씬 많다고 해. (2015)







20161219_YTN.jpg


이게 요즘 미혼 남성 증가에 따른 (2016)








라이프스타일변화.jpg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뜻하는 것 같아서 


흥미로운 편이야. ㅋㅋ 






일본사례.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백화점 업계가 


트렌드 변화를 잘 파악하고 (일본 사례)







htm_20151105_중앙.jpg


좋은 제품을 많이 팔아서 백화점 산업이


계속 성장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5)







4. 기타 특징 요약


1) 백화점 전체 매출이 부진하지만, 명품 매출은 쏠쏠하게 나온다고 함. 


2) 미혼 남성 증가로 남성 고객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함. 


3) 우리나라의 소득 양극화와 미혼율 증가를 뜻하는 것 같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77097080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백화점 산업은 29조 원 규모이고 100개의 점포가 있다고 함. 


2. 백화점 매출은 상위 3사가 80%를 차지하며 순위는 롯데, 현대, 신세계 순임. 


3. 백화점 업계의 매출 증가율이 부진해서 일본식 불황이 우려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