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청년실업 상황


2. 청년실업 원인-1


3. 청년실업 원인-2


4. 청년실업 원인-3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청년실업 상황


청년실업률_20170511_한겨레.JPG


청년실업이 꾸준히 증가해서 4월달에 


11%를 돌파한 상태로 (2017.05)







20171116_SBS.jpg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이 18년만에 최악 상태로 가서


IMF때와 비슷하다고 해. (2017.11)







최악_20170618_서울경제.jpg

또 다른 나라의 청년실업은 감소했는데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은 반대로 증가해서 (2017.06)







최악_20170618_MBC.jpg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에 청년실업이 


가장 악화된 나라로 조사되었어. (2017.06)







OECD_20170618_연합.JPG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률은 OECD 주요국 중에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2017.06)







고용률_명견만리.jpg


우리나라의 청년층 고용률이 


OECD 평균보다 훨씬 낮고 (2016.11)






니트족_20150804_세계.JPG


니트족 비중이 OECD 국가 중에서 높은 편이라


실질 청년실업률이 높은 것 같아. (2015.08)






체감실업률_20160523_SBS.jpg

그래서 구직 단념자와 6시간 미만 취업자 등을 합한


체감실업률로 보면 (2016.05)







체감_20170426_한겨레2.JPG

청년실업률이 24%로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어. (2017.04)







장기실업자_20170927_세계.jpg


우리나라는 20, 30대 젊은 층의 


장기 실업 비중이 높은 편으로 (2017.09)







저출산_20170628_MBC.jpg


이런 문제들로 인해 저출산, 미혼 문제가 심각하고 (2017.06)







설문조사_20170308_세계.jpg


우리나라 국민들이 청년실업을 


심각한 사회 문제로 여기는 중이야. (2017.03)







1. 청년실업 상황 요약


1) 청년실업이 갈수록 악화되어서 IMF 때와 비슷하다고 함. 


2) 공식 청년실업률은 11%, 체감 청년실업률은 24%로 나오고 있음.  


3) 청년실업이 심각해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음. 







2. 청년실업 원인-1


원인_20150826_동아.jpg


청년실업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 편으로 


그 중에서 경제적 원인에 대해 먼저 쓰자면 (2015.08)







고용창출능력_20130824_중앙.jpg


우리나라 경제가 어느정도 성장해서 투자가 감소하고 성장률이 낮아져서 


우리나라 경제의 고용창출능력이 약해져서 그런 것으로 (2013.08)







창출_20071201_조선.jpg


연간 창출되는 일자리 수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게


주된 원인인 것 같아. (2007.12)







경직_20171119_KBS.JPG


그다음은 노동시장 경직성,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의 채용 축소 문제로 (2017.11)







20170817_중기이코노믹.jpg


우리나라 대기업의 고용증가율이 


굉장히 낮은 편이며 (2017.08)







상장기업_20170528_한겨레.JPG


좋은 기업의 일자리가 사실상 제자리걸음 중이라고 해. (2017.05)







신규채용_20170419_조선.jpg

또 우리나라 기업의 신규 채용이


나날이 감소하는 중으로 (2017.04)


 





바늘구멍_20170627_세계.jpg


구직자의 스펙이 굉장히 좋아도


취업을 하기 힘든 편이야. (2017.06)







유연성_201710_매경.jpg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리나라의 


노동 유연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고 (2017.10)







투자_201711_서울경제.jpg


규제를 완화해서 기업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데 (2017.11)







규제_20170525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 정부가 각종 규제로 


일자리를 사실상 줄이고 있고 (2017.05. 대형마트)







유연성_201709_매경2.jpg

기업의 투자 의욕을 꺾고 있어서 


안타깝다고 생각해. (2017.09)


 





2. 청년실업 원인-1 요약


1) 성장 둔화, 투자 감소로 우리나라 경제의 고용창출능력이 감소했음. 


2) 노동시장 경직성, 경기침체 때문에 기업이 신규 고용을 꺼리고 있음. 


3)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만들고 기업이 투자할 환경을 만들어야 함.  







3. 청년실업 원인-2


원인_201504_아이뉴스.jpg


청년실업의 다른 원인은 중소기업 기피 문제로 (2015.04)







선호직장_201511_한경.jpg

우리나라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고


공무원, 공기업, 대기업을 선호하는 문제가 조금 있어. (2015.11)







대기업일자리_201702_매경.jpg


대기업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12% 밖에 안 되고 (2017.02)







신규채용률_20141222_머니투데이.jpg


대기업의 신규채용률이 매우 낮은 점을 생각하면


맞는 이야기기는 한데 (2014.12)







20170510_국민.jpg


중소기업의 낮은 임금과 처우를 생각하면


청년층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해. ㅎㅎ (2017.05)






원인_150726_이데일리.jpg


하지만 기업들이 생각하는 청년실업 문제 1위가 


청년층의 높은 눈높이라 (2015)







공시족_20160730_KBS.JPG


청년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낮아질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2016.07)







20170117_세계.jpg


중소기업도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해서


청년들이 기피하지 않도록 만들었으면 좋겠어. ㅎㅎ (2017.01)






 

3. 청년실업 원인-2 요약


1) 청년실업 문제 중 하나로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가 있음. 


2) 일자리 대부분이 중소기업인데, 청년층이 공무원과 대기업을 선호함. 


3) 청년층의 눈높이 감소와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함. 







4. 청년실업 원인-3


급등기간_20170308_조선.jpg


청년실업의 원인 중 하나로 


인구구조적 문제가 있는 편으로 (2017.03)







정년연장_20150726_한국일보.jpg


기업의 정년연장으로 인해 퇴직자가 줄어


일자리가 감소하는 측면이 있으며 (2015.07)






201612_경기.jpg

고령층의 재취업으로 일자리가 


부족해지는 문제도 있다고 해. (2016.12)







201208_조선.JPG


또 저출산 고령화는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낮추는 문제가 있어서 (2012.08)







201502_서울신문.jpg

(다만 일손이 부족해지는 상태에 도달하면 청년 고용이 증가함.)


저출산 고령화도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평가받고 있어. (2015.02)







쉬는사람_20171116_조선.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실업 문제가 심각하고 (2017.11)







취업자수_20171116_조선.jpg


고용지표가 안 좋은 편이라 


실업 문제 해결이 꼭 필요한 상황으로 (2017.11)






예산_201711_매경2.jpg


정부는 일자리 예산 증가 뿐만아니라 (2017.11)







경제계_201709_매경.jpg


경제계의 요구도 수용해서 (2017.09)







투자감소_201707_한경.jpg


고용과 투자하기 좋은 기업 환경을 


마련했으면 좋겠어. (2017.07)







4. 청년실업 원인-3 요약


1) 정년 연장으로 퇴직자가 감소해서 일자리가 줄어든 점도 있음. 


2) 저출산 고령화는 경제성장률을 낮춰서 고용을 둔화시킴. 


3) 일자리 예산 증가만으로는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생각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77097080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이 증가해서 18년 만에 최악이라고 함. 


2. OECD 국가의 청년실업이 감소 추세인데, 우리나라는 증가했음.   


3. 저성장, 신규 고용 감소, 공시족 증가가 원인으로 생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