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최근 동향으로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사우디 아라비아 소개
2. 사우디 경제 동향
3. 왕자의 난
4. 빈 살만 왕세자
5. 중동정세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사우디 아라비아 소개
사우디 아라비아는 중동에 위치한 큰 나라로
인구 3천 2백만 명, 땅 면적이 우리나라의
21배 정도 되는 나라야. (2017)
다만 국토 대부분이 황량한 사막이라
땅이 큰 게 큰 의미는 없고
걸프만에서 어마어마하게 나오는
석유에 의미가 있는 나라라고 생각해.
사우디 아라비아는 세계 3대 산유국으로
석유를 어마어마하게 많이 생산해서 (2016)
석유산업이 국가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2015)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원유와 화학제품 수출이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사우디의 1인당 GDP는 20,957 달러로
중동 지역에서 꽤 잘사는 나라이고 (2017. IMF 기준)
의료, 금융, 제조업 등의 다른 산업도 육성 중인데
생각보다 잘되지 않는 편이야. ㅎㅎ (2015)
1. 사우디 아라비아 소개 요약
1) 사우디는 중동에 위치한 사막국가로 인구 3,200만 명임.
2) 세계 3대 산유국으로 석유산업이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함.
3) 1인당 GDP 2만 달러로 중동지역에서 꽤 잘 사는 나라임.
2. 사우디 경제 동향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사우디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은 상태로 (2016)
경제성장이 급격하게 둔화되었다고 해. (2016.12)
또 사우디는 국가재정의 80% 이상을
석유수출에 의존하고 있어서 (2015)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재정적자가
무지막지한 상태야. ㄷㄷ (2016)
사우디 아라비아의 외환보유고가
상당히 많이 감소했고 (2017)
수십년 만에 국채 발행을 하게 되었어. (2016)
저유가 때문에 사우디 아라비아는
민간산업 육성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중으로 (2016)
재정, 노동, 산업, 사회 분야에서
개혁 정책을 조금씩 추진하고 있다고 해. (2016.04)
그 외에 사우디 아라비아는 예멘 내전에
적극 참여 중인 상태로 (2015)
(2년 동안 100여 발의 스커드 미사일이 날아왔고 대부분 요격했다고 함.)
전쟁 때문에 국경지대가 조금 위험해졌으며
(사진 출처 : GS칼텍스. 트럼프 당선으로 대이란 정책이 바뀌었음.)
살만 국왕 체제가 이런저런 문제로 인해
위태로워졌어. (2016)
2. 사우디 경제 동향 요약
1) 국제유가 하락으로 사우디에 재정난과 경기침체가 발생했음.
2) 그래서 재정, 노동, 산업, 사회 분야에서 개혁정책을 추진 중임.
3) 이런저런 문제로 인해 살만 국왕 체제가 위태로워졌음.
3. 왕자의 난
(초대 국왕 정력이 ㄷㄷ)
사우디 왕가는 왕자 수 7천여 명,
왕가 재산 1,560조 원의 거대 왕가인데 (2017)
최근 왕자의 난이 크게 발생했다고 해.
빈 살만 왕세자가 왕자 11명, 현직 장관 4명,
전직 장관 수십 명을 체포했고 (2017.11)
여려 명의 왕자가 헬기 추락, 체포 중 사망 등으로
죽은 상태야. ㄷㄷ (2017.11)
이번 왕자의 난으로 사우디의 실력자 201명이
5성급 호텔에 구금되었고 (2017.11)
석방 조건으로 재산 헌납을 강요받고 있다고 해. (2017.11)
사우디 실력자 201명의 재산이 890조 원 정도라
빈 살만 왕세자가 큰돈을 챙길 것 같아. (2017.11)
그리고 빈 살만 왕세자의 권력이 굉장히 강해져서
왕위계승설이 나오는 중으로 (2017.11)
빠르면 올해 안에 사우디 8대 국왕 자리에
오를 수 있다고 해. (2017.11)
3. 왕자의 난 요약
1) 사우디 왕가는 왕자 수 7천여 명, 왕가 재산 1,560조 원의 거대 왕가임.
2) 최근 왕자의 난이 발생해서 11명의 왕자가 체포되고 여러 명이 죽었음.
3) 왕위계승설이 나오고 있어서 어떻게 될지 궁금함.
4. 빈 살만 왕세자
빈 살만 왕세자는 나이 32세의 젊은 왕자로 (2016)
국내 정치는 온건 개혁파이고
외교 분야는 초강경파라고 알려졌어. (2017.09)
(사우디는 수니파가 90% 시아파가 10%임.)
시아파 성직자 47명 처형도
빈 살만 왕세자의 정책이었고 (2016)
최근 레바논 총리의 사임도
그의 계획이라고 해. (2017.11)
그리고 정치, 외교 분야는 초강경파이지만
내정은 개혁적인 성향으로 (2017.11)
여성 운전, 비키니 허용 등의 세속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2017.11)
그는 120조 원을 들여 원자력 발전소 12기를 건설하고
564조 원을 들여 미래도시 '네옴'을 건설하려는 중으로 (2017.10)
이집트, 요르단, 이스라엘과 가까운 곳에
거대한 국제도시를 만든다고 해. (2017.10)
미래도시 '네옴'의 건설로 사우디에 재정 부담이 크겠지만
건설 붐으로 사우디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 같아. ㅎㅎ
4. 빈 살만 왕세자 요약
1) 빈 살만 왕세자는 32세의 젊은 왕자로 사우디 국방부 장관임.
2) 내정은 온건개혁파이고 외교는 초강경파라고 알려졌음.
3) 680조 원 규모의 토건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함.
5. 중동정세
중동 정세는 이슬람 국가(IS) 몰락으로
시아파가 조금 유리해진 상황으로 (2017)
커지는 이란에 맞서 사우디가 반격을 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어. (2017)
이슬람 국가 (IS) 몰락 이후
중동 정세가 급변하고 있으며 (2017)
시리아 문제가 해결되니깐
레바논에서 시끄러워진 상황이야. (2017)
약소국 레바논에서 사우디와 이란 두 강대국이
싸우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으며 (2017)
(예멘 반군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쐈고 PAC-3에 의해 요격되었음.)
서로 감정 상하는 일을 그만했으면 좋겠어. (2017. 11)
중동 정세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뜬금없이 올라가면 (2017.11)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물가인상으로 피해를 보기 때문에
중동 정세 안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ㅎㅎ (2017.11)
5. 중동정세 요약
1) 이슬람 국가(IS) 몰락으로 시아파와 이란이 유리해진 상황임.
2) 사우디는 이란을 저지하기 위해 이런저런 일을 하고 있음.
3) 최근 레바논이 시끄러워지고 있는데,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25995
3줄 요약
1. 사우디는 세계 3대 산유국 중 하나로 중동에서 부유한 나라임.
2. 최근 왕자의 난이 발생해서 201명의 실력자가 구금되었다고 함.
3. 외교 초강경파 왕세자가 권력을 확실히 잡아서 중동 정세가 혼란해질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