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부영 그룹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부영 그룹 소개
2. 부영 그룹 논란
3. 부영 그룹 현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부영 그룹 소개
부영 그룹은 1983년도에 설립된 기업으로
아파트 건설 및 임대 사업을 하는 대기업이야. (2016)
부영 그룹의 계열사로 부영,
부영주택 등이 있고 (2015)
주로 하는 사업은 건설업, 골프장,
도시가스사업 등이 있다고 해.
부영 그룹은 시공능력 80위권의 중소기업이었는데
임대아파트 사업으로 급성장한 회사로 (2017)
건설실적의 80% 정도가 임대아파트
사업에서 나오고 있어. (2013)
부영 그룹은 임대아파트 사업으로
엄청나게 성장해서 (2011)
우리나라 토목건축 공사업 순위
12위에 올라갔고 (2016)
(올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재계순위 16위임.)
재계 순위 16위의 생각보다 큰 기업이라고 해. ㄷㄷ (2017)
그리고 부영그룹은 22개 계열사 전부
비상장 기업인 특이한 회사이고 (2017)
부영그룹 회장의 자산이 2조 4천억 원으로
우리나라의 숨은 부자라고 알려졌어.
1. 부영 그룹 소개 요약
1) 부영 그룹은 아파트 건설업을 하는 재계 순위 16위의 대기업임.
2) 시공능력 80위권의 중소기업이었으나, 임대아파트 사업으로 급성장했음.
3) 22개 계열사 모두 비상장 회사로 특이한 기업이라고 생각함.
2. 부영 그룹 논란
부영 그룹은 논란이 조금 많은 기업으로
민간 임대아파트 관리비와 임대료를 많이 올려서 (2017)
임대아파트 임대료 인상 논란이 있는 기업이야. (2017)
(아파트 평균 공사기간은 30개월이라고 함.)
그리고 부영 그룹은 다른 건설사보다 아파트 공사기간이
6개월 정도 짧은 건설사로 (2017.09)
아파트를 싸고 빠르게 많이 찍어내는 회사이다 보니
임대아파트 부실시공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고 해. (2017)
이런 종류의 문제는 건설업계의 고질병이긴 한데 (2017)
부영 그룹에 대한 비판이 심해서
빨리 바뀌었으면 좋겠어. (2015)
그 외에 부영 그룹은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중이
가장 높다는 평이 있는 기업으로 (2015)
(부영 그룹의 사회공헌활동이 4만 건을 넘었다고 함.)
이것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있지만
나는 긍정적으로 생각해. ㅎㅎ (2017)
2. 부영 그룹 논란 요약
1) 민간 임대아파트의 관리비와 임대료를 자주 올려서 논란이 있음.
2) 임대아파트를 빠르게 많이 짓다 보니 부실시공 논란도 있음.
3)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중이 가장 높다고 해서 조금 의외임.
3. 부영 그룹 현황
부영 그룹의 매출은 2조 5천억 원,
영업이익은 5천억 원 정도이고 (2015)
기업 실적도 무난한 편이야. (2017. 핵심 계열사 부영의 실적)
부영 그룹은 영업이익률도 높아서
딱히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2017. 부영주택)
부채가 15조 원으로 비교적 많고
빠르게 늘어난 것이 약간 흠이라고 해. (2017)
부영 그룹의 부채가 빠르게 늘어난 이유는 부동산을 3조 원 어치나 매입하고
건설투자를 많이 해서 그런 것으로 (2017)
부동산 시장만 좋으면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아. (2017.06)
부영 그룹의 부채비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2017.06)
계열사 신용등급이 약간 낮은 게 흠이지만 (2013)
유동자산이 풍부하고 현금이 많은 기업이라
괜찮다고 생각해. (2017)
마지막으로 부영 그룹이 중견건설사에서
대형건설사로 성장했으면 좋겠고 (2014)
품질이 좋은 아파트를 많이 만들어서
부영의 이미지가 좋아졌으면 좋겠어. ㅎㅎ
3. 부영 그룹 현황 요약
1) 그룹 매출이 2조 5천억 원이고 영업이익은 5천억 원이라고 함.
2) 부동산 투자를 어마어마하게 많이 해서 빚이 많이 늘었음.
3) 현금부자라고 해서 부동산 시장만 좋으면 문제가 없을듯싶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25995
3줄 요약
1. 부영 그룹은 임대아파트 사업으로 급성장한 재계 16위의 대기업임.
2. 부실시공, 임대료 인상 논란과 매출액 대비 기부 1위의 양면적 특징이 있음.
3. 부동산 매입을 3조 원 어치나 할 정도로 공격적으로 투자 중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