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2.jpg


안녕~ 오늘은 한국 축구의 현황으로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한국 축구의 피파 랭킹


2. 프로 축구 현황-1 


3. 프로 축구 현황-2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한국 축구의 피파 랭킹


본선진출9번.jpg


한국 축구는 월드컵 본선 9회 연속 진출의


위업을 달성했으나







20170907_동아.jpg


대표팀의 부진한 성적 때문에 문제가 많다고 해. (2017.09)







패배_20170324_kbs.jpg


한국 대표팀의 잦은 패배와 졸전 때문에 (2017.03)







사망_20171015_뉴시스.jpg


축구팬들의 불만이 상당히 높아졌고 (2017.10)







20171017_조선.jpg


낮은 성적 때문에 한국 축구의 피파 랭킹이


62위로 크게 추락한 상태야. (2017.10)







20171016_국민.jpg


피파 랭킹 62위는 2014년도 이후로


가장 낮은 순위로 (2017.10)







20171016_조선.jpg


중국보다 피파 랭킹이 낮아져서


축구팬들이 큰 충격을 받았어. (2017.10)







문제점.jpg


그래서 오늘은 한국 축구의 현황에 대해 


쓸 생각이야. 







1. 한국 축구의 피파 랭킹 요약


1) 한국 축구는 월드컵 본선 9회 연속 진출을 달성했으나, 문제가 많음. 


2) 축구팬들의 불만이 많고 낮은 성적 때문에 피파 랭킹이 많이 떨어졌음. 


3) 우리나라의 피파 랭킹은 62위로 중국(57위)보다 낮아졌다고 함. 







2. 프로 축구 현황-1 


관중수_20161208_동아.jpg


우리나라 K리그 관중 수는 170만 명 정도로 (2016)







관중수_201612_스포티비.jpg


관중 수가 2011년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고 해. ㄷㄷ (2016)







K리그 관중수.jpg


K리그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인도네시아 리그보다 적은 상태로 (2014)







관중수_20170801_동아.jpg


중국, 일본의 축구 리그와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어. ㄷㄷ (2017) 







한중일_20170728_더팩트2.jpg


비인기 프로팀은 관중 수 3천 명을 


모으기도 버거워서 (2017)







썰렁.jpg


텅빈 경기장을 자주 보여주는 중이야. 







입장료수입_20101216_조선.jpg


이렇게 K리그 관중 수가 적다보니


입장료 수입이 매우 낮고 (2010)







적자_20131220_sbs.jpg


축구 구단의 재정 상태가 썩 좋지 못하다고 해. (2013)







구단재정자립도.jpg


우리나라 K리그 구단은 자체수입보다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2016)







관중수_20170714_동아.jpg


꾸준한 관중 수 감소 때문에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 편이야. (2017.07. 수원)







2. 프로 축구 현황-1 요약


1) 우리나라 K리그 관중 수는 2011년도 이후로 계속 감소 중임.


2) K리그 평균 관중 수가 인도네시아 리그보다 적다고 함. 


3) 적은 관중 수 때문에 K리그의 입장료 수입이 매우 낮은 편임. 







3. 프로 축구 현황-2


중계료_20161012_중앙.jpg


우리나라 프로축구 TV 중계권료는 65억 원으로 (2016)







 중계권료_20150327_중앙.jpg


수년째 정체되어 있다고 해. (2015)







시청률_20161012_중앙.jpg


우리나라 프로축구 TV 중계권료가 낮은 이유는 


농구보다 못한 평균 시청률 때문으로 (2016)







시청률_20150305_한겨레.JPG


프로축구 시청률이 너무 낮아서 


문제인 것 같아. ㄷㄷ (2015)







다운로드.jpg


이렇게 낮은 시청률 때문에 


방송사가 TV 중계를 꺼리고 있어서 






생중계20110316_조선.jpg


프로축구의 인지도가 더더욱 떨어지는


악순환이 예상되고 있어. (2011)







중일_20161207_YTN.jpg


우리나라 K리그는 중국, 일본에 비해


너무 열악한 상태로 (2016)






승격제수정.jpg


K리그를 하루빨리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해.  







3. 프로 축구 현황-2 요약


1) 프로 축구의 TV 중계권료는 야구에 비해 너무 적은 편임. 


2) 프로 축구의 시청률이 농구보다 못해서 중계권료가 적다고 함. 


3) 낮은 시청률 때문에 방송사가 K리그 중계를 꺼리는 것 같음.







4. 내 생각 


부진_20141125_중앙.jpg


프로 축구의 흥행이 부진한 이유로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2014)







재미_20100911_부산.jpg


내 생각에는 '재미가 없어서'가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해. (2010)







슈틸리케3.jpg


우리나라 축구는 수비지향적이라 


재미가 적은 편이고 (2017)







슈틸리케4.jpg


훌륭한 공격수가 적어서 


골 넣는 재미가 없는 것 같아. (2017)







재미_20161230_한국일보.jpg


축구팬들이 축구에 열광하는 이유가


골에 있다고 생각해서 (2016)







슈틸리케5.jpg


K리그가 공격 중심의 축구로 바뀌었으면 좋겠어. ㅎㅎ 







골결정력.jpg


그리고 훌륭한 공격수가 없어서 


골을 못 넣는 것이라면 







외국인_20141226_동아.jpg


프로배구처럼 외국 선수를 적극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생각해. (2014)






네탓.jpg

마지막으로 한국 축구에 대한


네 탓 공방을 그만하고 







한일_20121205_중앙.jpg


한국 축구가 일본 축구만큼 커지도록


같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고 (2012)







갓롤_2016.jpg


스폰서를 많이 구해서 대회 상금을 


크게 늘렸으면 좋겠어. (2016)







표지.jpg


K리그가 재미있어지면 


축구팬이 많이 증가할 것 같고







 해외파_201701_한경.jpg


K리그가 융성해지면 국내파 선수가 크게 늘고


선수층이 두터워질 것 같아. (2017)







순위_20171016_연합.jpg


그러면 우리나라의 피파 랭킹이 자연스럽게


30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봐. ㅎㅎ (2017)







4. 내 생각 요약


1) K리그가 재미없어서 관중 수가 줄어드는 것 같음. 


2) K리그 흥행을 위해 공격 축구를 추구해야 한다고 봄. 


3) 한국 축구 발전을 위해 K리그가 커져야 한다고 생각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086628607







3줄 요약


1. 축구대표팀의 성적이 부진해서 피파 랭킹이 크게 떨어졌음. 


2. K리그의 관중 수가 2011년도에 비해 크게 감소했음. 


3. 입장료, 중계권료 수익이 부진해서 자생력이 없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