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부동산 시장 동향으로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부동산 시장 동향


2. 부동산 시장 악재


3.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부동산 시장 동향


규제_20171020_sbs2.jpg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은 규제정책들 때문에 


조금 침체된 상황으로 (2017.10)







전월대비_201709_한국일보.jpg

9월 달 전국 주택거래량이 


전월대비 12% 감소했으며 (2017)







거래절벽_20171024_중앙.jpg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해. (2017.10)







20171022_뉴스1.jpg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8월 달에 정점을 찍고


10월 달에 크게 감소한 상태로 (2017.10.18일 기준)







거래절벽_20171024_이투데이.jpg


10월 달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만 보면


거래절벽이 우려되고 있어. (2017.10)







청약_20170908_헤럴드경제.jpg


일부 지역에선 여전히 청약 열풍이 있는 상태지만 (2017.09)







분양권거래_20170914_문화.jpg


서울지역 분양권 거래가 엄청나게 감소했으며 (2017)







경기전망_20171020_건설.jpg


건설경기가 크게 위축되어서 


부동산 시장이 조금 안 좋은 편이야. (2017)







가격_20171025_중앙.jpg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 추세지만


상승세가 상당히 약하고 (2017.10)







지방_20171024_머니투데이.jpg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지방이 


여러 곳 있어서 (2017.10)







 중위가격_201710_한경.jpg

전국 주택 중위가격이 3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고 해. (2017.10)







1. 부동산 시장 동향 요약


1) 각종 규제정책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조금 침체되었음.  


2)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해서 거래절벽 이야기가 나오고 있음.


3) 전국 주택 중위가격이 3년 4개월 만에 하락했다고 함. 







2. 부동산 시장 악재


20171023_sbs.jpg


부동산 시장은 여러 악재들 때문에


관망 중인 상태로 (2017.10)








전문가_20171003_중앙.jpg


전문가들의 부동산 전망이 꽤 안 좋아졌어. (2017.10)







대출규제_201710_이코노믹리뷰.jpg

내년도에 시행할 신DTI, DSR 규제로 인해 


가계대출을 받기 어려워져서 (2017)


 






대출한도_201710_한경2.jpg


빚내서 집을 사는 게 매우 힘들어질 전망으로 (2017.10)








 대출규제_20171024_sbs.jpg


부동산 신규 수요가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2017.10)







주담대_201710_중앙.jpg

그리고 미국 금리인상 영향에 따른 


은행 금리 상승으로 (2017.10)







은행금리_20171012_아시아투데이.jpg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서 (2017.10)








이자부담.jpg


이자부담 증가 때문에 부동산 수요가 


감소할 수 있는 상황이야. (2016)







금리인상_171023_뉴스핌.jpg

또 자본유출 우려와 채권시장 동향 때문에 (2017.10.23)








금리인상_20171019_서울경제.jpg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이 높게 전망되고 있어서 (2017.10)








이자부담_20171017_머니투데이.jpg


부동산 시장에 여러 가지 악재가 많다고 해. (2017.10)







2. 부동산 시장 악재 요약


1)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부동산 수요가 감소될 것 같음. 


2)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이 조금씩 커지고 있음.


3)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도 높게 예상되고 있음. 







3. 내 생각


가계부채_20171024_헤럴드경제.jpg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해서 


가계부채 증가를 규제하는 게 좋은 일이지만 (2017.10)








건설투자_20171023_조선.jpg


규제가 너무 과해서 부동산 시장을 죽여 버리면 


문제라고 생각해. (2017.10)







지방_20171024_머니투데이.jpg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은 어디는 좋고


어디는 아주 안 좋은 형태라 (2017.10)







공실률_20171025_한경.jpg

신중하고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봐. (2017.10)






다양한변수.jpg


부동산 시장의 변수가 매우 많아서


상승과 하강을 쉽게 판단할 수 없겠지만 







2017_한경.jpg

앞으로 인구구조적 하강 문제가 예상되어서 (2017)







인구구조_201509_매경.jpg

부동산 시장 관리를 잘해야 한다고 생각해. (2015.09)







가계부채_20171025_세계.jpg


마지막으로 가계부채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 (2017.10)







20170727_메트로.jpg


금리 충격을 받지 않고 잘 넘어갔으면 좋겠고 (2017)







입주물량.jpg


올해와 내년도에 많은 아파트 입주물량이


무난하게 잘 소화되어서 







표지2.jpeg


미분양 사태 없이 부동산 시장이 


잘 굴러갔으면 좋겠어. ㅎㅎ 







3. 내 생각 요약


1) 규제가 너무 과해서 부동산 시장이 죽으면 문제라고 생각함. 


2) 내년도부터 인구구조적 하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3) 부동산 규제, 금리인상, 인구 문제가 겹칠 예정이라 주의가 필요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086628607







3줄 요약


1. 최근 부동산 거래량이 급감해서 거래절벽 우려가 있음. 


2. 부동산 규제, 대출 규제,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보임. 


3. 부동산 시장이 관망 중이고 전문가들의 전망은 비교적 나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