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최근 소비지표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소비지표
2. 소비 둔화 요인-1
3. 소비 둔화 요인-2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소비지표
우리나라의 2017년도 소비자심리지수는
생각보다 좋게 나왔고 (2017.11)
민간소비 증가율도 그럭저럭 좋게 나왔다고 해. (2017.11)
하지만 백화점 매출 증가율과 대형마트 증가율을 보면
소비심리와 실질소비가 다른 것 같아서 (2017.10)
소비지표 동향에 대해 조금 의아한 편이야. (2017.09)
무엇보다 2017년도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너무 안 좋아서 (2018.01)
체감경기가 안 좋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2017.09)
음식업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나쁜 이유는
식품 물가 상승에 따른 가격 상승 때문으로 여겨지며 (2018.01)
하락 폭이 너무 커서 안타까운 편이야. ㄷㄷ (2018.01)
그리고 2017년도 소매판매 증가율은
3분기부터 좋아졌다고 하며 (2017.11)
온라인 매출 증가율이 꾸준히 증가해서
소매판매의 20%를 차지할 정도라고 해. (2017.07)
1. 최근 소비지표 요약
1) 소비자심리지수가 높게 나와서 민간소비 증가가 기대되었음.
2) 일부 소비지표가 나쁘게 나와서 소비심리와 실제 소비가 다른 것 같음.
3) 음식업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2009년도보다 나쁘게 나왔다고 함.
2. 소비 둔화 요인-1
민간소비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조금 걱정이 되는 편으로 (2017.10)
소득 감소, 가계부채, 고령화 등의 문제가 많아서
변수가 많은 것 같아. (2018.01)
특히 2017년도 물가상승률이 높아서 (2017.12)
가계의 실질소득 증감률이 매우 나빴다고 해. (2017.11)
가계의 실질소득 증감률은 2016년도 4분기에서
2017년도 2분기까지 상당히 안 좋았으며 (2017.11)
마이너스 0.001% 까지 포함해서 계산하면
8분기 연속 감소로 나오고 있어. ㄷㄷ (2017.11)
실질소득과 실질소비 증가율의
높은 상관관계를 생각하면 (2017.07)
우리나라의 실질소득 정체가 매우 아쉬운 편이야. (2017.11)
그 외에 우리나라의 빈부격차가
2017년도에 더 커져서 (2017.11)
소득분배상황이 7분기 연속 악화된 상황으로 (2017.11)
우리나라의 소비가 안 좋아질 수 있어서
안타깝다고 생각해. (2015.06)
2. 소비 둔화 요인-1 요약
1) 소득감소, 가계부채, 고령화 등의 소비 둔화 요인들이 많이 있음.
2) 물가상승 때문에 가계의 실질소득이 8분기 연속 감소했다고 함.
3) 빈부격차가 2017년도에 더 커져서 소득분배상황이 7분기 연속 악화되었음.
3. 소비 둔화 요인-2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은 10% 수준)
소비를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가계부채로 (2017.10)
가처분소득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서
조금 우려스러워. (2017.12)
특히 20. 30대 가구의 부채증가율이 높아서
걱정스럽고 (2017)
(짤은 마이너스 통장 대출금리)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어서 (2018.01)
가계소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1)
그다음 소비 둔화 요인은
높아지는 실업률로 (2017.06)
비경제활동인구, 구직 단념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서
소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 같아. (2017.06)
특히 올해는 최저임금 인상, 통상임금 문제,
근로시간 단축 이슈가 있어서 (2017.09)
실업률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2)
3. 소비 둔화 요인-2 요약
1) 가처분소득 증가 속도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서 우려스러움.
2)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 소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음.
3) 실업자 증가도 소비증가를 둔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함.
4. 내 생각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 증감률이 매우 안 좋고 (2018.01)
우리나라의 공장가동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어서 (2017.11)
경기가 좋은 게 맞는지 조금 의심스럽지만 (2017.11)
(올해는 건설투자, 설비투자, 수출 증가율이 조금 둔화된다고 함.)
민간소비 증가로 올해 경제가 좋았으면 좋겠어. (2017.11)
(최저임금 상승으로 물가가 다시 오를 수도 있음.)
물가상승률이 조금씩 낮아지고 있어서
실질소득 감소가 적을 수 있고 (2017.12)
늘어난 정부지출이 민간소비를
견인할 수 있다고 생각해. (2017.12)
마지막으로 최저임금 상승의 부작용이
없었으면 좋겠고 (2017.09)
우리나라 경제가 더블딥 없이 잘 성장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7.06)
4. 내 생각 요약
1) 공장가동률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어서 경기전망이 애매한 편임.
2) 크게 증가한 정부지출이 소비를 이끄는 핵심 요소이 될 것 같음.
3) 최저임금 상승의 부작용을 막는 게 매우 중요한 것 같음.
과거 글 링크 : https://www.ilbe.com/10222218576
3줄 요약
1. 가계 실질소득이 8분기 연속 감소해서 소비 증가에 부정적임.
2. 가계부채, 금리인상, 실업 증가도 소비 증가에 부정적인 요인임.
3. 하지만 민간소비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어서 잘 유지되었으면 좋겠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