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콤퓨타에 대해서 정식으로 제대로 배워본적은 없다. 그냥 호기심이 많아서 혼자 뜯어보고 연구하는걸 좋아할 뿐이다. 컴퓨터의 K자도 모름
이번글은 나역시 정확하게 안다거나 이것이 팩트인것이 아닌 추측성 글이니까, 너무 심취하진 말고(?) 재미로 보고 넘어갔으면 한다.
또한, 모든 SSD가 다 이렇다는 것 역시 아니고 내가 테스트한 삼성 S470 SSD만 이렇다는걸 밝혀둔다. 재미로 보자, 재미로. JUST for FUN!
다른글에서 밝혔었지만 다시 말해보자면, 나는 테스트용 SSD를 여러대 가지고있다. 개발자나 연구원이 아니라 개인적인 호기심 해결차원에서 소장중이다.
그중 주력으로 사용하는건 840EVO 250GB이고 기타 나머지 S470이나 840/840Pro, Sandisk U100 등은 테스트용도로 굴리는 녀석들이다.
특히 이들중에 S470은 가장 처음 사본 SSD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삼뽕중독자라서 애착이 가는 제품이기도 하다.
유독 S470 64GB제품만 3대가 있는데 그중에서 한개는 커펌까지 올려가며 별짓(http://www.ilbe.com/2619087388)을 다해본터라
SMART상 실사용시간은 이제 갓 5000시간(1년은 8760시간)을 넘긴 새제품이나 다름없는 녀석이지만 상태가 할배가 다된놈이 있다.
여기에 글올린 링크글 말고도 일일이 열거하기 힘든 다른걸 많이 했던터라 상태가 영 좋지않다. 언제 노짱따라갈지 모르는 그런상황.
그래서 현재 이놈을 내 테스트용 시스템(샌디브릿지 노트북)에 물려두고 정식펌웨어로 갈아입힌후 초기화하여 실사용용도로 전환시켰다.
근데... 이게 묘하게 느리다. CDI로 벤치마크를 돌려보면 수치는 별 이상없이 잘 나오는데, 요상하게 벤치마크점수로는 설명이 안되는 느릿함이 느껴진다.
물론 하드보다는 훨씬 빠르지만. 뭐랄까, 마치 4k속도 좀 받쳐주는 USB2.0 메모리에 윈도를 깔고 쓰는 느낌!? 안해봐서 잘 모르겠다만, 비슷한 느낌일듯 싶다.
나는 평소에 컴퓨터를 사용할때 작업관리자를 켜놓고 시스템상황을 유심히 쳐다보는 버릇이 있다.
그래서 대략적으로 어떤작업을 할때 특정장치 점유율이 대충 어느쯤 되겠군 하는 예상을 한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들어맞는다. 컴게팍도사
오늘은 메인PC(3770k&32G ram)에 다른작업이 걸려있는터라 노트북으로 할일하고 있는데, SSD점유율이 평소에 보던 S470의 모습이 아닌거다.
그래서 SSD점유율을 유심히 쳐다봤다. 중간중간 스샷을 찍었으니 같이 보도록하자. 클릭하면 커진다.

컴게이들이라 모를사람은 없겠지만 한번더 짚어보자면, 일반적인 HDD의 4k속도가 1MB/s에서 좀 잘나오면 2MB/s정도쯤 된다.
그에반해 SSD, 지금 여기서 쓰는 S470 64GB제품을 기준으로 했을때 4k속도는 R 15MB/s, W 34MB/s정도 된다.
따라서, 스샷에 보이는 1MB/s 남짓한 I/O Speed로는 장치점유율이 안찍히거나(0%) 아주낮게 찍혀야한다. 5%미만으로.
그런데? 스크린샷을 보면 I/O속도는 보잘것 없는데 장치부하가 상당함을 볼수있다.
?????
이거지금 SSD가 아니고 HDD인게 아닌가 싶을 수준이다.
그래서 이놈을 빼버리고 상태좋은 다른 S470을 끼우고 윈도를 재설치한 후 동일한 작업을 해봤다. 동일하게 시스템드라이브로서 테스트해야 공평하지 않겠노?
!!!!!
전혀 다른 수준의 제품이 아닐까 싶을정도의 점유율차이가 발생한다. 클라스 차이보소!
게다가 이전의 S470은 RW 1MB/s대의 속도로 점유율이 90%를 넘나드는데, 이번것은 130/25.4MB/s의 속도를 내면서도 점유율은 고공행진을 하지 않는다.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선이 고르지않고 들쭉날쭉하니 시퀀셜가지고 뻥치는게 아님을 알수있을 것이다.
그리고 Data I/O에서 병목이 발생하지 않으니 부수적으로 CPU점유율이 올라서 같은작업이 2배정도 빠르게 끝났다. 오오미 이게 뭔일이라요;;
내가 제작했던 커펌을 적용한 상태라면 커펌의 문제라고 할수있겠으나, 지금은 정식펌웨어를 올려놓고 초기화까지 마친 상태라 펌웨어레벨의 문제는 절대아니다.
내가 개발자도 연구원도 아니니 정확한 원인은 알수없으나 나름대로 원인을 추측해보자면, 온갖뻘짓으로 인한 셀의 노화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입출력 오류를
컨트롤러에서 보정하다보니 그 작업부하때문에 속도가 운지한게 아닐까한다. 다만, 이정도로 속도차이가 발생한다는건 에러가 한두번이 아니라 무수히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일텐데, 그래도 배드블럭으로 처리하지않고 그냥 사용하는것을 보면 에러 한두번떴다고 바로 배드블럭으로 막는게 아니라 뭔짓을 해도
더이상의 사용이 불가능할때 배드블럭으로 처리하고 사용을 막는것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상태가 좋은 S470과 나쁜 S470을 포맷해놓고 보면, GB단위용량은 동일하나 Byte단위용량이 다르다. 상태나쁜 S470의 일부블럭이 막힌걸로 추측된다.
재밌게 봐주었길 바란다. 이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