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ilbe.com/2619087388 S470 SSD를 완벽하게 씹고 뜯고 맛보고 즐겨보자! 하드코어 펌웨어튜닝!
이런 시도는 어느정도 규모되는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도 시도된바 없고 오직 이곳에서 처음 보는 것일텐데 일부심 유도 ㅅㅌㅊ?
요즘 글쓰는게 부진한듯해서 짧게나마 지식글을 작성해본다.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보면 어떤원리로 저런게 되는건지 오해하거나 잘못알아들을수 있으니까.
우리가 낸드플래시를 개발하는 사람도 아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렵게시리 심도학습을 할 필요는 없다. 최소한의 오해만 생기지 않도록 중요점만 알면 되는거다.
그게 이 그림이다. 1이라는 낸드플래시칩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이를 SLC방식으로 접근하면 용량은 그대로 1이 되는거고
MLC방식으로 접근하면 2가 되는거고, TLC방식으로 접근하면 3이 되는거다. 그림에는 없지만 QLC방식으로 접근하면 4가 된다.
이정도만 알면 일반인으로서는 충분하다.
앞서 향신료닉으로 올린 글에서 이런 주장을 했다.
낸드플래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SLC/MLC/TLC라는게 만들어질때 구분되는게 아니라 칩은 동일하고 컨트롤러가 읽고쓰는 방식을 결정하는거다.
그러니까 칩레벨에서 구분되는것이 아니고 단지 컨트롤러에서 낸드칩셋을 읽고쓰는 방식에 대한것일 뿐이다.
이걸 못믿거나 의심하는 게이가 있을법해서 지금 이 글을 쓰고있는거다. 자, 팩트 제시한다 잘보자.
플레이웨어즈의 840리뷰에서 퍼온 이미지다 : http://www.playwares.com/xe/25271373
k9cfgy8u5a-cck0 이걸 Chipworks에서 정보를 찾아보자 : https://chipworks.secure.force.com/catalog/ProductDetails?sku=SAM-K9CFGY8U5A-CCK0&viewState=DetailView&cartID=0e7288af-53d4-482c-a8d3-99a732e10e50&g=&parentCategory=&navigationStr=CatalogSearchInc&searchText=k9cfgy8u5a-cck0
MLC라고 보이는가?
뒤에 모델명이 mz-7td120 이라고 적혀있는데 이게뭔지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자 :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MZ-7TD120B/KR-techspecs
자. 보다시피 TLC 베이직 모델이다. 그런데 왜 MLC라고 했을까? 일단 의문은 잠시 접어놓고 다음을 보자.
플레이웨어즈의 840Pro 리뷰에서 퍼온 이미지다 : http://www.playwares.com/xe/25450962
k9hfgy8u5a-cck0 이걸 Chipworks에서 정보를 찾아보자 : https://chipworks.secure.force.com/catalog/ProductDetails?sku=SAM-K9HFGY8U5A-CCK0&viewState=DetailView&cartID=0e7288af-53d4-482c-a8d3-99a732e10e50&g=&parentCategory=&navigationStr=CatalogSearchInc&searchText=k9hfgy8u5a-cck0
자. 이번엔 MLC니 TLC니 아예 언급도 안하고 256Gb라고 칩셋의 용량만을 얘기했다. 본문에 적혀있는 mz-7pd128 이건 모델명만 봐도 알겠지만
팩트가 중요한 일게이들이니 이번에도 팩트 제시한다 : http://www.samsung.com/sec/consumer/it/ssd-ex-hdd/ssd/MZ-7PD128B/KR-spec
프로모델이다.
지금 내가 무슨말을 하는건지 이해가 되는가? 다른 존문가 성님들처럼 MLC수명짱짱!! TLC수명운지!! 이걸 얘기하는게 아니다. 칩은 별차이가 없다는 얘기인거다.
단지 컨트롤러에서 한개의 셀에 1비트를 넣느냐(SLC), 2비트를 넣느냐(MLC), 3비트를 넣느냐(TLC)를 가지고 구분하는거지 낸드칩은 그냥 칩일 뿐이다.
SLC/MLC/TLC 칩이 따로 있는게 아닌거다. 칩은 그냥 낸드어레이 실리콘덩어리일 뿐이다. 한집안에 가족 몇명이 살지는 그 가족 마음인거랑 같은거라고 할수있다.
k9hfgy8u5a-cck0(840Pro), k9cfgy8u5a-cck0(840) 잘보면 글자하나만 다른걸 알수있다. 그럼 "같은칩이라면서 칩셋구분은 왜 하는거냐?" 궁금할텐데,
실은 TLC모델에 수율이 더 좋은 칩셋이 들어간다. 수율구분을 위한 표기의 차이인거다. TLC가 실제로 칩이 다른것이 아니긴 하지만 TLC방식으로 읽고쓰게되면
낸드칩에 무리가 더 많이 가는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TLC방식으로 최대한의 수명을 이끌어내려면 칩셋 자체는 더 좋은 품질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분하는 것이다.
삼성 840EVO에 터보라이트라는 기술이 탑재되어서 이거때문에 쓰기속도가 뻥속이라고 욕 들어먹고 있는데, 뻥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터보라이트 쓰기캐시 SLC칩이 따로 있는것이 아니다. 컨트롤러 펌웨어안에 지정되어있는 낸드칩셋의 일부영역을 TLC가 아닌 SLC방식으로 쓰는것이다.
이 역시 칩셋레벨에서 구분되는게 아니라는 뜻이다. 알고있던 게이들도 있겠지만 정보글이니까 아직 모르고 있었을 게이들을 위해서 짚고 넘어간다. 이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