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환율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환율 소개


2. 환율과 경제


3. 최근 환율 상황


4. 저환율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환율 소개


환율소개3.jpg

(사진 출처: 한국은행 경제교육)


환율이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비율로






환율소개2.jpg

(1월 4일 환율 1달러 : 1,062원, 100엔 : 944원, 1유로 : 1,278원)


외국 돈을 기준으로 환율을 계산하고 있어.







환율과화폐가치.jpg


그래서 환율과 화폐가치는 반대로 움직인다고 해. 








다양한돈.jpg


그리고 세계 각국에 다양한 돈이 있지만 


기축통화인 달러와의 교환비율을 중요시하는 편으로







무역결제.jpg


국제무역 결제에서 자주 쓰이는 


달러 환율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2015)








M20170405_연합.jpg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환율 변동에 민감한 편으로 (2017)







경제영향.jpg

환율 변동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다고 해. 







환율제도.jpg

우리나라의 환율제도는 맨 처음에는 고정환율제도를 썼다가


조금씩 자유변동환율제도로 바뀌었고 






외환수요공급.jpg

외환시장의 수요 공급에 따라


환율이 시시각각으로 바뀌고 있어. 







1. 환율 소개 요약


1) 환율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비율이고 외국 돈을 기준으로 함. 


2) 그래서 환율과 화폐가치는 반대로 움직이며 원 달러 환율을 많이 따짐. 


3)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아서 환율변동에 민감한 편임. 







2. 환율과 경제


환율수출.jpg

(사진 출처 : 한국은행 경제교육)


수출기업들은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액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업생각_20180102_경향.jpg


고환율을 굉장히 많이 선호하고 (2018.01)






환율정부.jpg

정부도 생산증가, 고용증가 가능성 때문에


환율상승을 대체로 선호하는 편이야. 







환율물가.jpg

하지만 환율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을 만들기 때문에 






환율상승부작용.jpg

(물가상승 -> 구매력 감소)


환율상승에 따른 부작용이 있어서


적당한 환율이 가장 좋다고 해. 








의견_20170215_서울경제.jpg


환율의 이런 특징 때문에 


저환율 VS 고환율 논쟁이 있는 편이고 (2017)








환율우려_20171219_뉴스1.jpg


경제학자들과 기업인들이 환율에 대해


많이 신경 쓰고 있어. (2017.12)








201703_한경.jpg

그외에 환율은 무역을 통해 이웃 나라 경제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국제 환율분쟁이 여러 번 발생했었고 (2017)






 

일본환율정책.jpg


이웃 나라의 환율 정책에 대해 서로 신경을 쓴다고 해. 







2. 환율과 경제 요약


1)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액이 증가해서 기업들이 환율상승을 선호함. 


2) 환율이 상승하면 물가가 올라서 구매력이 감소하는 부작용이 있음. 


3) 환율변동에는 일장일단의 장단점이 있어서 적정 환율이 좋다고 함. 








3. 최근 환율 상황


20180104_서울신문.jpg


원 달러 환율이 꾸준히 하락해서 


1달러에 1065원 선까지 내려간 상황으로 (2018.01)








절상률_20171119_파이넨셜.jpg


올해 원화가치 상승 폭이 굉장히 큰 편이야. (2017.11)







수출_20180103_뉴스1.jpg


최근 환율이 이렇게 움직인 이유는 


2017년도 수출이 좋아서 (2018.01)






외환수요공급.jpg

달러 수급이 풍부했고 








외국인_20171016_파이넨셜.jpg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많이 투자해서 


그렇다고 해. (2017.10)








달러인덱스_20170801_한겨레.JPG


또 달러화가 미국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계속 약세를 보여서 


원화 강세가 나올 수밖에 없었고 (2017.08)








무개입.jpg


현 정부가 외환시장 개입에 


매우 소극적인 것도 한몫했어. (2017)








환율조작국_201703100.jpg


현 정부가 외환시장 개입에 소극적인 이유는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과 (2017)







국민소득_20171227_한겨레.JPG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을 위해서라는 


평이 많다고 해. (2017.12)







요인_201801_매경.jpg


이번 저환율은 원인이 확실하게 있고 (2018.01)








절상압력_20180102_서울파이넨스.jpg


강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오래갈 수도 있을 것 같아. (2018.01)








3. 최근 환율 상황 요약


1) 우리나라의 원화가치가 많이 상승해서 원 달러 환율이 크게 내려갔음. 


2) 수출 호조, 외국인 투자 증가로 인해 달러 수급이 많아진 탓임. 


3) 달러화 약세와 현 정부의 소극적 개입도 한몫했다고 함.  







4. 저환율 영향 


환율하락.jpg

(사진 출처 : 한국은행 경제교육)


환율이 하락하면  구매력과 


수입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해서 







수혜업종_201711_머니투데이.jpg


내수기업과 소비자가 혜택을 본다고 해. (2017.11)







환차손_201711_한경2.jpg


대신 수출업체들이 환차손을 


필연적으로 보게 되고 (2017)








20130122_파이넨셜.jpg

수출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어서 


단점도 꽤 많은 편이야. (2013)







원화절상_20171128_국민.jpg


원화가치가 10% 상승하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업종


영업이익률이 많이 하락하고 (2017.11)








산업별_201711_연합.jpg


자동차, 가전, 기계 업종의 수출둔화가 예상된다고 해. (2017.11)








마지노선_20171205_아시아경제.jpg


또 기업의 환율 마지노선을


1달러에 1,067원으로 보고 있는데 (2017.12)








최근_20180103_서울경제.jpg

(1월 3일 아침 환율) 


최근 환율이 그 수준에 근접해서 


조금 걱정이 되고 있어. (2018.01)







좋은방향.jpg

뭐 어쨌든 최근 저환율이 좋은 방향으로만 작동하고 (2017)







반도체_201711_중앙.jpg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이 저환율 페널티를 잘 극복하고


수출을 많이 했으면 좋을 것 같아. (2017.11)







원화가치.jpg


마지막으로 저환율이 계속되면 그다음에 


큰 폭의 고환율이 발생한 적이 2번 있어서 





Exchange_Move.jpg

저환율이 오래가지 말고 적정환율 수준으로


빨리 돌아왔으면 좋겠어. ㅎㅎ 







4. 저환율 영향 요약


1) 저환율은 물가하락, 가계 구매력 증가의 좋은 효과가 있음. 


2) 대신 수출기업들이 환차손을 봐서 수익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음. 


3) 최근 원 달러 환율이 기업의 손익분기점 환율에 근접해서 우려스러움.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222218576







3줄 요약


1. 환율은 두 나라 화폐 사이의 교환비율로 무역에 큰 영향을 끼침.


2. 환율 상승과 하락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적정환율이 가장 좋다고 함. 


3. 최근 원 달러 환율이 많이 내려가서 수출기업들의 걱정이 많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