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시는 세수가 적은만큼 건물 하나 하나 지을때 여러가지 고려를 많이 해야 한다

 

아기자기한 맛이 있으나 관리 못하면 한순간에 포풍 운지

 

K-1.png

 

노동자 상황

 

상류층은 주변 도시에 내다 팔고, 서민층은 수입해 왔으나 옆 식민지가 운지하는 바람에 실업자랑 빈자리 비율이 병신이 됬다

 

그래도 주거 밀집도랑 상업 밀집도 균형은 별로 안깨져서 잘 돌아감

 

K-2.png

 

세금이 제일 중요하다

 

어떻게든 적자가 안나게 하면서, 주로 육성하고 싶은 계층의 세금을 최대한 내려야됨

 

나는 보통 7~10%사이에서 조절함

 

지출 보면 알겠지만 깨알같이 있을건 다있다

 

K-3.png

 

이건 구역설정 화면에 가려 안보이는 맨 위쪽 도로엔 구역설정을 하지 않았다

 

도심으로 들어오는 진입로에 정체가 생기면 나가는 차도 막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한쪽 면에만 지역설정을 해서 건물을 배치함

 

덕분에 버스가 존나게 다녀도 잘 안막힌다

 

K-4.png

 

땅값 올리는 요소는 변두리에 지어서 주거/상업 지역간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려고 함

 

K-5.png

 

이건 마을 뒷편에 베드타운

 

교통이랑 기초 수급해야 할 요소들이 여기 다 있다

 

교통시설은 큰 필요는 없는데 관광객 끌어들이고 상류층 수출하려고 만든거

 

K-6.png

 

해안가에 항구는 지었는데 주변에 바다 이용하는 도시가 없어서 이용객 무안공항수준

 

K-7.png

 

마을 북쪽에 깨알같은 급수탑, 전문대, 소방 경찰 응급

 

젖문대는 시간당 500지출로 하루에 최대 2000명까지 가르칠수 있어서 작은 규모 마을에 적합하다

 

애들이 잘배우고 잘살아서 소방 경찰 응급쓸일은 별로 없다

 

대신 똥통 한번 넘치면 존나 불평함

 

K-8.png

 

'대중'교통 저 많은 버스들은 옆도시 광역버스에서 땡겨왔다

 

이렇게 작은 마을에서 광역버스 꾺꾺 눌러담으면 2000넘는 유지비에 도시 한순간에 운지함

 

필수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도로만 배치하고 옆도시에서 땡겨오는걸 추천한다

 

잘보면 정류장도 한쪽면에만 배치되있다

 

K-9.png

 

공원은 양날의 칼이라 유지비가 매미없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남발하지 않고 중요 포인트에만 박았다

 

맨 아래에 있는 공원은 안박아도 되는데 언덕위가 베드타운이라 땅값 떨어지는걸 막으려고 박은 완충제다

 

K-10.png

 

 

마지막 우리 광역 야경 ㅍㅌ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