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현우의 커튼 콜] 또 한명의 세시봉 가수 한대수



이 음악인의 생애는 화려하다 못해 비현실적으로 들리는 가족사(家族史)에 비하면 별로 독특할 것도 없다. 그의 부친 한창석(2009년 작고)씨는 서울 공대 재학 도중 미국 코넬대로 유학을 떠났다가 7년 후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백방으로 찾았으나 아무도 그의 행방을 알지 못했다. 10년 뒤 한대수가 17세 되던 해, FBI가 찾아낸 한창석씨는 뉴욕 롱아일랜드에서 '하워드 한'이름으로 백인 여자와 결혼해 살고 있었다. 핵물리학자였던 그는 인쇄회사 사장이 돼있었다. 한대수의 가족이 찾아갔을 때 부친 한씨는 가족을 알아보긴 했으나 한국말을 전혀 할 줄 몰랐고 지난 10년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핵물리학자였던 아버지… 美 유학중 실종…
10년후 찾고 보니… 한국말 다 잊어버려…

―실종됐던 세월에 대해 한마디도 들은 게 없습니까.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어요. 할머니가 돌아가실 때 '마지막 소원이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느냐'고 물었지만 영어로 '과거는 잊어버리세요. 미래를 생각합시다'라고 말했죠. 한번은 아버지와 취하도록 술을 마시다가 내가 물었죠. '아들로서 알 권리가 있다'고 말이죠. 그때 아버지는 '늦었다. 이제 집에 가자'고 말했어요."



―뭔가 추측하고 있는 건 있겠죠.

"아버지가 코넬대에서 촉망받는 핵물리학자였고 에드워드 텔러 박사(수소폭탄의 아버지)가 선발한 학생이었다는 사실만으로 추측이야 해볼 수 있죠. 핵무기 개발에 중요한 인력으로 일한 뒤 그 기술을 한국에 가져갈까 봐 브레인워싱(brainwashing· 특정 기억을 지워버리는 것)을 당해 자신의 과거를 전혀 모르는 상태가 됐다…. 그렇지 않고야 어떻게 대학 다니다가 유학 간 사람이 한국말을 완전히 잊어버릴 수 있나요. 그리고 우리 아버지가 어머니를 무척 사랑했다고. 그런데 난데없이 백인 여자와 결혼해서 나타나다니, 뭐 다 추측일 수밖에 없지만…."


그의 조부 한영교 박사는 언더우드 박사와 함께 연세대를 설립한 사람으로, 이 대학의 초대 학장과 대학원장을 지냈다. 한대수가 생후 100일 됐을 때쯤 부친이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또 실종됐기 때문에 그는 조부모 밑에서 자랐다. 이 밖에도 한대수의 가계에는 구한말과 일제시대에 뛰어난 업적을 쌓은 사람이 무척 많다. 그의 조부의 형제만 따져도 부산 최초의 양의(洋醫)이자 독립운동가 한흥교 선생, 부산 최초의 고아원인 '애린원' 원장으로 '고아의 아버지'란 칭송을 들은 한정교 선생이 있다. 한흥교 선생의 아들 한형석은 '독립군가'를 작곡한 항일예술가이며, 연세대 조한혜정(63) 교수 역시 한대수의 외육촌간이다.

―정말 어마어마한 집안이군요.

"하하하. 그리고 여기 포크 가수 한대수가 있지요. 이건 뭐 소설보다 더하지. 하여튼 그래서 어렸을 때 이미 미국을 들락거리고 뉴욕에 히피문화가 상륙했을 때 온몸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