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6wvQ

 

국민연금청와대.png

 

안녕~ 오늘은 국민연금으로 글을 쓰려고 해.

 

이번에도 우리나라 이슈이고 중요하다고 봐서

 

길게 쓸 생각이야. ㅎㅎ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국민연금 논쟁

 

2. 국민연금 고갈

 

3. 국민연금 정부지원

 

4. 국민연금 내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국민연금 논쟁

 

국민연금소개.jpg

국민연금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강제성을 지닌 노후보장 시스템이야.

 

 

 

 

 

 

 

20140810국민연금규모.jpg

 

국민연금은 수백조~수천조 원의

 

어마어마한 규모의 복지 제도이고

 

 

 

 

 

 

 

 

국민연금역사.jpg

 

국민연금의 역사는 매우 오래 되었어.

 

돈 문제로 시행이 많이 늦어진 것이지. ㅎㅎ

 

 

 

 

 

 

 

20150508국민연금.jpg

 

현재의 국민연금 시스템은

 

보험료율 9%, 소득대채율 40%, 연금 지급률 1% 가 특징이야.

 

 

 

 

 

 

 

20150511국민연금논쟁.jpg

 

국민연금 논쟁은 공무연연금 개혁의  여야합의가

 

문제를 만들어서 그런 것인데

 

 

 

 

 

 

 

소득대체율2.png

논쟁의 핵심은 '연금을 얼마나 많이 받냐' 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로

 

 

 

 

 

 

 

 

20150503국민연금쟁점.jpg

 

 

야당이 ' 40%는 너무 적으니 50%로 늘리자' 라고 주장해서 그런거야.

 

 

 

 

 

 

 

소득대체율3.jpg

이 소득대체율은 돈 문제로 인해

 

2007년 2차 개혁안으로 점차 줄이고 있었거든. ㅎㅎ

 

 

 

 

 

 

 

 

 

20150511국민연금당청.jpg

 

청와대는 미래세대 세금폭탄을 이유로

 

절대 수용 불가를  못 박은 상태라

 

앞으로도 꽤나 시끄러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각국의문제해결.png

 

이 짤이 우리나라의 현실을 잘 보여주는 것 같아. ㅋㅋ

 

 

 

 

 

 

1. 국민연금 논쟁 요약

 

1) 국민연금은 정부가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국민 노후보장 시스템의 주축임.

 

2) 논쟁의 핵심은 '얼마나 더 받냐' 의 소득대체율로 50%로 올리는 것이 야당의 주장임.

 

3) 공무원연금 개혁하려다 국민연금 논쟁으로 번진 것으로 문제가 배로 불어났음.

 

 

 

 

 

 

2. 국민연금 고갈

 

20110606국민연금추정치.jpg

 

국민연금 소득대체율로 논쟁을 붙는 이유는

 

기금 고갈 우려로 돈 문제가 핵심이야.

 

 

 

 

 

 

 

우리나라인구구조.jpg

출산율이 운지하고 평균수명이 늘면서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지라

 

 

 

 

 

 

 

20150214가입자수급자.jpg

 

국민연금 가입자 수는 줄어들 것이고

 

수급자 수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근데 가입자보단 납입자가 맞지 않나 싶네. ㅎㅎ) 

 

 

 

 

 

 

 

사회부담.png

 

그렇다면 국민연금 시스템은

 

장기적으로 이렇게 변하게 될 것이야. ㅎㅎ

 

 

 

 

 

 

 

 

20150318국민연금구조.jpg

국민연금의 수입보다 지출이 늘어나면

 

적립금으로 지출을 충당하다가, 결국 고갈로 가는 것이지.

 

 

 

 

 

 

 

국민연금수익률.jpg

 

국민연금 납입금으로 기금을 유지할 수 없다면

 

투자수익이 있는데, 이것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국민연금수익.jpg

 

 

국민연금은 안정성을 위해 채권투자를 많이 하는데

 

 

 

 

 

 

 

 

 

국민연금.jpg

 

금리인하로 채권금리가 떨어지고 있고

 

 

 

 

 

 

 

 

잠제성장률.jpg

 

주식투자도 재미를 보긴 어려울 것 같아.

 

규모가 클수록 평균에 가깝거든 ㅎㅎ

 

 

 

 

 

 

 

 

생산가능인구1.png

 

또 인구구조론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는데

 

 

 

 

 

 

 

Japan_Population_and_Inflation.png

 

우리나라가 일본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할 때라고 생각해.

 

 

 

 

 

 

 

 

 

japan_asset.jpg

 

만약 우리나라가 일본 따라간다면

 

주식은 좋은 투자처가 아니고

 

채권도 초저금리로 수익률이 낮을 것이야.

 

 

 

 

 

 

 

 

20101016국민연금운영수익.jpeg

 

 

그러면 현재의 많은 운용수익은

 

앞으로 기대하기 어렵고 (2010년 짤)

 

 

 

 

 

 

 

20141227수익률과기금.jpg

 

투자수익률이 현행 추계 밑으로 내려갈 확률이 있다고 생각해.

 

 

 

 

 

 

2. 국민연금 고갈 요약

 

1) 고령화-저출산으로 국민연금 납입자보다 수급자가 많아질 전망임.

 

2) 저성장으로 투자수익이 저조할지도 모름. 그러면 현행 추계를 수정해야 함.

 

3) 연기금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질 예정이라 기금 고갈을 구조적으로 피할 수 없음.

 

 

 

 

 

 

3. 국민연금 정부지원

 

국민연금_고갈.jpg

 

국민연금의 고갈이 필연적이라면

 

정부의 적자보전으로 해결하면 되지 않냐? 싶지만

 

 

 

 

 

 

 

 

조세수입.png

 

정부의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질 전망이야.

 

 

 

 

 

 

 

일본사례.png

 

일본의 사례로 설명하자면

 

일본은 경제불황과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조세수입이 늘어나지 못하는 상태로

 

 

 

 

 

 

 

정부수입.jpg

 

우리나라도 비슷하게

 

재정수입이 감소하고 있는 중이야.

 

 

 

 

 

 

 

 

일본복지지출.png

 

또 일본은 고령화로 사회복지비가 크게 증가했는데

 

 

 

 

 

 

 

 

 

인구보너스.jpg

 

 

우리나라도 일본과 비슷한 인구구조로 인해

 

 

 

 

 

 

 

 

사회복지비지출.jpg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지출이 크게 늘 전망이야. 

 

 

 

 

 

 

 

 

 

20140922003791_0.jpg

 

 

그렇게 되면 정치인들이 좋아하는 토건사업도

 

많이는 못하게 될 것으로 생각해. ㅎㅎ

 

 

 

 

 

 

 

 

20110117건강보험.jpg

 

국민연금만 있는 것이 아니고 건강보험도 있는데

 

 

 

 

 

 

 

건강보험.jpg

 

이것도 구조적으로 적자가 늘 수 밖에 없다고 해.

 

 

 

 

 

 

 

 

 

20120627국가채무.jpg

국채 발행을 통해 국민연금 적자를 메울 수 있으나

 

 

 

 

 

 

 

국채의미래.jpg

 

빚을 통한 방법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고 생각해.

 

 

 

 

 

 

3. 국민연금 정부지원 요약

 

1) 저성장으로 정부 세수가 늘기 어려운 상태이고, 고령화로 사회복지, 건강보험 지출이 증가할 예정임.

 

2) 정부의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아질 전망이라 국민연금 지원 여력이 부족할 거 같음.

 

3) 적자를 부채로 메우는 방법은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고 생각함.

 

 

 

 

 

 

4. 국민연금 내생각

 

국민연금2.jpg

 

국민연금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

 

 

 

 

 

 

 

 

국민연금이해찬.png

 

(http://www.ilbe.com/5771947809 국민 연금에 대한 이해찬 전총리의 너무 너무 너무 솔직한 고백. )

 

35년간 소득의 9% 납부한 후에

 

약 20년 동안 50% 를 받는다는 것이 어려운 편이라고 봐.

 

 

 

 

 

 

20150422보험료.jpg

 그렇다고 보험료율을 2배 정도 인상하는 것은 국민들이 매우 싫어할 것이고

 

 

 

 

 

 

 

 

i.jpg

 

아니면 투자수익이 높아야 하는데

 

이건 상당한 위험을 걸어야 해서 좀 그런거 같아.

 

 

 

 

 

 

 

20060213각국의연금개혁.jpg

 

세계 각국에서 연금개혁으로  

 

재정건전성 강화에 노력하는데

 

우리나라만 반대로 가는거 아닌가 싶어.

 

 

 

 

 

 

 

 

20131118노인빈곤율.jpg

 

하지만 우리나라의 높은 노인빈곤율을 생각하면

 

 

 

 

 

 

 

 

20110811진보보수시각차.jpg

 

노후보장 시스템의 강화도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50505국민연금구조.jpg

 

그러나 정말로 노인빈곤 해결을 위한다면

 

국민연금보다 기초연금 쪽이 맞다고 생각해.

 

 

 

 

 

 

 

 

비정규직연금.jpg

 

우리나라는 돈 문제로 국민연금 가입을 못한 사람들이 많은지라 

 

노인빈곤 해결을 위해 세금을 쓴다면 기초연금이 맞다고 봐.

 

 

 

 

 

 

 

각국연금제도.jpg

 

실제로 기초연금을 중심으로 노후보장을 하는 나라도 많다고 해.

 

 

 

 

 

 

 

 

20130326노령화.jpg

 

하지만 늘어날 노인 인구를 생각하면

 

기초연금 강화도 상당히 어려운 문제야. ㅎㅎ

 

 

 

정부와 정치권이 국민연금 문제에 현명한 선택을 했으면 좋겠어.

 

 

 

 

 

 

4. 국민연금 내생각 요약

 

1) 국민연금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기금 고갈은 필연적이라 생각함.

 

2) 세계 각국이 연금 개혁으로 재정건전성 강화로 가는데, 반대로 가는 건 문제인거 같음.

 

3) 노인빈곤율 해결에는 국민연금보다 기초연금 강화가 효과적으로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5823744002

 

 

 

 

 

3줄 요약

 

1.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올릴 경우, 국민연금 고갈 연도는 더 빨라질 것임.

 

2. 저성장으로 세수 증가가 어렵고, 고령화로 사회복지&건강보험 지출이 크게 늘 전망.

 

3. 저금리&저성장으로 연기금 투자수익 축소가 우려되어, 현행 추세를 수정해야 할지도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