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BAKX0
안녕~ 오늘은 노르웨이 경제로 일베글을 써보려고 해.
여기는 핀란드와 다르게 짤이 많고
관심이 있어서 많이 쓸 생각이야.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노르웨이 소개
2. 노르웨이 경제 - 산업
3. 노르웨이 경제 - 현황
4. 노르웨이 문제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노르웨이 소개
노르웨이는 북유럽에 있는 길~~다란 나라로
국토 면적은 우리나라의 4배 정도야.
노르웨이가 이렇게 생긴 이유는
엄청난 크기의 쵤렌 산맥이 자연 국경선 역할을 해주어서 그렇다고 해.
위성 사진을 보면 노르웨이랑 스웨덴이 나누어진 이유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것 같아. ㅎㅎ
이렇게 보면 노르웨이는
춥고 척박한 나라로 밖에 안 보이지만
노르웨이는 북해유전을 일부 소유한 나라로
500만 노르웨이 국민들이
1인당 GDP 10만 달러로 풍족하게 살고 있어.

노르웨이의 국민소득은
같은 산유국인 중동의 카타르와 2-3위를 다투는 정도야. ㅋㅋ
대신 물가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2013년 기준)
노르웨이의 담배 한갑은
우리나라의 치킨 한마리 값이라고 해. ㄷㄷ (2014년 기준)
그래서 가처분 구매력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노르웨이랑 비슷하다는 말도 있어. (사기인듯ㅋㅋㅋㅋㅋㅋㅋㅋ)
어쨌든, 노르웨이는 미국발 경제위기에도
재정흑자를 기록한 탄탄한 나라이고
부패인식지수, 언론자유도 등의 사회 수준도 매우 높으며
복지도 많이 하는 ㅅㅌㅊ 복지국가야.
석유 수출, 높은 사회수준, 많은 복지 덕분에
노르웨이는 6년 연속 살기 좋은 나라 1위를 기록했다고 해. ㅎㅎ
1. 노르웨이 소개 요약
1) 노르웨이는 북유럽의 길다란 나라로 우리나라의 4배 크기, 인구 500만명으로 작은 나라임. (인구 기준)
2) 노르웨이는 북해유전의 힘으로 세계적인 석유수출국으로 1인당 GDP 10만 달러, 국민소득 세계 2위를 자랑함.
3) 물가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이나, 복지 ㅅㅌㅊ로 살기 좋은 나라 6년 연속 1위임.
2. 노르웨이 경제 - 산업
노르웨이의 수출구조는
검은색이 석유, 파란색이 제조업, 청회색이 어업, 살구색이 알류미늄, 빨간색이 건설자재, 진회색 기타로 구성되어 있어.
선진국이 농업이 안 보이고, 어업이 이렇게 높은 것은 처음 봄. ㄷㄷ
노르웨이의 원유 생산량은 약 200만 베럴로
세계적으로 볼 때, 노르웨이의 원유 생산량은 많은 편이 아니지만 (2012년 기준)
노르웨이의 석유소비량이 적어서
그차이 만큼을 다 수출하는 나라야.
같은 선진국 산유국인 캐나다와
원유 생산량과 국부펀드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지. ㅋㅋ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아주 유명한데
자산규모 8900억 달러로 우리나라 돈 969조야. ㄷㄷ (2015,04,16 기준)
또 노르웨이하면 어업을 빼놓을 수 없는데
연어와 대게가 유명하다고 해.
짤을 보니 노르웨이는 긴~~ 해안선을 따라
넓고 풍부한 어장을 쓰는 것 같아. ㅎㅎ
노르웨이 수출은 석유가 대부분이니
노르웨이 경제는 석유랑 서비스업으로 구성되겠네? 싶었는데
생각보다 제조업 비중이 GDP의 40%로 높은 편이야.
아마도 인구가 500만이라 내수 규모가 작어서 그런거 같음. ㅎㅎ
노르웨이의 제조업은 북해유전 개발 때문인지
심해 플랜트 사업에 꽤나 강하다고 하고
쇄빙선, 특수어선 등의 해양특수선을 만드는
조선업을 잘 한다고 해.
2. 노르웨이 경제 - 산업 요약
1) 노르웨이의 원유 생산량은 많지 않으나 소비량이 매우 적어서, 원유 수출이 아주 많음.
2) 노르웨이는 북해어장에서 물고기를 많이 잡는 나라임. 연어와 대게로 유명함.
3) 자국 경제환경에 맞는 심해 플랜트와 해양특수선에 제조업 강점이 있음.
3. 노르웨이 경제 - 현황
노르웨이의 경제성장률은 최근 저성장 추세지만
수출 지표도 양호하고
국제유가 하락으로 산유국 노르웨이에도 피해가 클텐데
2015년 4월까지 흑자면 그렇게 나쁘지 않아. ㅎㅎ
(경제보고서에 따르면 노르웨이는 유가 40불에도 버틸 수 있다고 함. )
그리고 노르웨이의 소비자물가는 일정한 수준이고
(생산자물가는 저유가 탓으로 생각됨.)
실업률도 다른 유럽국가들에 비해 양호한 편이고 (초록색=노르웨이)
소매판매도 적당한 편이라 문제가 없어 보여. ㅎㅎ
거기다 노르웨이는 양호한 정부부채를 더 줄이고 있어서
정부부채가 GDP 대비 30% 정도로
유럽에서도 손 꼽을 정도로 정부부채가 적은 나라야. ㅋㅋ
3. 노르웨이 경제 - 현황 요약
1) 최근 저유가로 산유국 노르웨이에도 피해가 있을텐데, 생각보다 무역 상황이 나쁘지 않음.
2) 경제성장률이 감소 추세지만, 실업률, 소매판매, 소매판매 등의 지표가 양호함.
3) 정부부채는 2008년 경제위기 이후, 오히려 줄이고 있어서 유럽에서도 매우 건실함.
4. 노르웨이 문제점
노르웨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동산 버블로
집값이 2004년 대비 2배나 상승했다고 해.
2004년 대비 2배면 우리나라 수준이지만
장기적 관점과 미국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심각해 보여.
우리나라의 4배 면적에서 인구 500만이
무슨 부동산버블이냐? 싶지만
아무래도 산맥 때문에 사람 사는 곳이 한정된 것 같아. ㅎㅎ
어쨌든 노르웨이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2009년에 175%로 우리나라(160%)를 넘어섰고
OECD 2위의 부동산버블을 가졌다고 해. ㄷㄷ
또 IMF에서도 노르웨이의 부동산 버블을 많이 우려하고 있어.
짤에서 우리나라 부분이 많이 이상해보이는 것은
아마도 일본의 주장대로 한국정부가 IMF, OECD를 매수했거나
레이디가카께서 뇌파조종술을 사용하신거 같아. ㅋㅋ
또 노르웨이의 산업생산은 꽤 오랜기간 마이너스~0% 증가율 인데,
이런 점은 안 좋다고 생각해.
석유 때문에 여유가 있어서 그런지
글로벌 경쟁력과 혁신성에서 주변국보다 못한 편이야. (그래도 상위권)
마지막으로 노르웨이의 경제기반이던
북해유전의 원유생산량이 감소 추세여서 문제인데
북극해에 석유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노르웨이는 북극에 권리를 가진 나라야. ㅎㅎ
북극에 석유탐사를 많이 하고 있는 중이니
언젠가 유전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4. 노르웨이 문제점 요약
1) 노르웨이는 주택가격이 많이 높다고 함. IMF, OECD에서 캐나다와 함께 많이 우려하고 있음.
2) 산업생산 증가율은 10년 넘게 0~마이너스 성장으로 주변국보다 경쟁력과 혁신성이 떨어지는 편.
3) 북해유전의 원유생산량이 감소 추세이나 북극해에 원유매장량이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_filter=search&mid=ilbe&category=&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ED%8A%B8%EB%A6%AC%ED%94%8C%ED%81%AC%EB%9D%BC%EC%9A%B4
4줄 요약
1. 노르웨이는 우리나라의 4배 크기, 인구 500만명, 1인당 GDP 10만 달러로 세계 2위 국민소득의 북유럽 선진국임.
2. 노르웨이는 북해유전으로 ㅅㅌㅊ 산유국이고, 북해어장도 넓게 차지해서 어업도 잘함.
3. 최근 저유가에도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양호한 편임. 국부펀드에 1000조원의 돈이 있고, 정부부채도 적어서 잘 버틸듯.
4. 부동산 버블이 꽤 커서 IMF와 OECD에서 우려하고 있음.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우리나라보다 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