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lS7Q1

 

중국국유기업디폴트.png

최근 중국에 디폴트(채무불이행)한 기업들이 나오고 있어서

 

이번에도 또 중국 경제로 일베글을 쓸 생각이야. ㅋㅋ

 

 

최근 이슈라 짤이 부족한지라

 

글이 부실한 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중국의 국유기업

 

2. 중국의 부동산&금융

 

3. 중국의 부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국유기업

 

중국국유기업수.jpg

 

중국은 자본주의 경제지만, 공산당의 통치 아래에 있어서

 

국유기업들의 수가 노무노무 많은 나라야.

 

 

 

 

 

 

중국국유기업비중.jpg

 

경제개혁을 통해 국유기업 수를 줄이고 있지만

 

총자산의 약 50%로 국유기업의 비중은 어마어마해. (2012년 기준)

 

 

 

 

 

 

중국수출.jpg

 

세계경제의 침체로 중국의 해외-수출입이 줄어들면서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짤에 왜곡이 조금 있음.)

 

 

 

 

 

 

중국매출액.jpg

 

중국 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율도

 

자연스럽게 낮아지고 있고

 

 

 

 

 

 

중국이익률.jpg

 

신흥국치고 중국 기업의 수익성이

 

많이 나빠지고 있어. ㅎㅎ (우리나라가 좀 ㄷㄷ)

 

 

 

 

 

 

시진핑정책.jpg

 

따라서 중국정부는 국유기업 통폐합으로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중이야.

 

 

 

 

 

 

중국국유기업합병.jpg

 

최근 신문기사에 따르면

 

120여개 국유기업을 40여개로 통합할 예정이라고 해.

 

 

그래서 이번에 발생한 중국 국유기업의 첫 디폴트는

 

중국 정부의 개혁의지 표현이란 말이 있어. ㅎㅎ

 

 

 

 

 

1. 중국의 국유기업

 

1) 중국의 자본주의 경제지만 공산당의 통치로 국유기업 수가 엄청나게 많음.

 

2) 세계경제 침체와 중국 부동산시장 침체로 중국 기업들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음.

 

3) 중국 정부는 국유기업 구조조정을 추진 중으로 국유기업 디폴트가 더 나올거 같음.

 

 

 

 

 

 

2. 중국의 부동산&금융

 

중국디폴트일지.jpg

 

http://www.newspim.com/anda/view.jsp?newsId=20150422000432

 

내가 관심을 가진 것은 부동산기업 카이사로

 

부동산+달러 회사채 디폴트이기 때문이야. ㅎㅎ

 

 

 

 

 

 

중국부동산기업부채.png

 

중국은 약 1년 동안의 부동산 침체로

 

부동산 기업들의 부채가 20% 상승했고

 

 

 

 

 

 

완커수익률급감.png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기업 완커의

 

순이익이 전년대비 57% 감소한 상황이야.

 

1위 기업이 이정도면 뭐 나머지도 비슷하겠지. ㅎㅎ

 

 

 

 

 

중국주택재고.png

 

중국은 주택재고가 상당히 많아서

 

 

 

 

 

 

중국주택공실률.jpg

 

비관적인 전망에 따르면

 

중국의 도시지역 주택공실률이 약 20%에 달한다고 하니

 

중국 정부가 유령도시들을 어떻게 해결할지 흥미로워. ㅋㅋ

 

 

 

 

 

 

중국부실대출2.jpg

 

그리고 중국의 부동산침체로

 

금융권의 부실채권(NPL) 비율이 상승추세인데

 

 

 

 

 

 

 

 우리나라부실채권2.jpg

아직 중국의 부실채권 비율이 낮은 편이지만

 

 

 

 

 

 

 

중국부실대출1.jpg

 

증가추세가 최근 빠른 편이야. ㅋㅋ

 

 

 

 

 

 

부실채권급증.png

 

2월달 기사가 이정도일 정도지. ㅋㅋ 

 

 

 

 

 

 

중국국유은행수익률.jpg

 

거기에 중국 5대 국유은행의 순이익이 1% 수준으로

 

부동산침체와 부실대출로 어려움을 겪는 중이야.

 

 

 

 

 

2. 중국의 부동산&금융 요약

 

1) 중국 부동산 침체로 부동산기업들의 부채는 늘고 순이익은 급감하고 있음.

 

2) 중국의 주택재고 급증으로 주택공실률이 20%에 달한다는 이야기가 있음.

 

3) 중국의 부실채권 비율이 매우 빠른 속도로 상승 중임.  또 국유은행 순이익이 나쁜 편.

 

 

 

 

 

 

3. 중국의 부채

 

중국지방채무.jpg

 

중국의 지방정부 채무는 엄청 빠르게 불어나는 중인데

 

1년사이에 2배나 불어났을 정도야. ㄷㄷ

 

 

 

 

 

 

중국지방정부수입.png

그 이유는 중국의 지방정부 수입에 토지매각 비중이 높은지라

 

부동산 침체는 지방정부의 수익 감소로 직결되는 문제야.

 

 

 

 

 

 

중국지방채권발행쿼터.jpg

 

그래서 이번 2015년에 중국의 지방채 발행 제한을

 

3배로 늘렸다고 해. ㅎㅎ

 

 

 

 

 

 

중국부채gdp.jpg

 

중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빠르게 증가했는데

 

 

 

 

 

 

중국부채증가율.jpg

 

 

신흥국 중에 부채 증가율이 가장 빠르다고 생각되고

 

 

 

 

 

 

중국부채규모.jpg

 

 

그중 가장 부채비율이 높은 것이 기업부채로

 

 

 

 

 

 

역사반복.jpg

 

과거의 경제운지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한 상태야.

과연 역사가 반복될지 궁금한 상황이지. ㅎㅎ

 

 

 

 

 

중국그림자금융.jpg

그리고 중국하면 그림자금융을 빼놓을 수 없는데

 

 

그림자금융 규모는 40조위안 (7000조)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많고 ㄷㄷ

 

 

 

 

 

 

 중국그림자금융2.jpg

 

예측하기 어려운 곳으로 생각해.

 

 

 

 

 

달러캐리그림자금융.jpg

 

중요한 점은 미국의 양적완화(4천조원) 일부가

 

그림자금융을 통해 중국 부동산시장에 풀렸고

 

 

 

 

 

 

중국핫머니.jpg

 

중국에 유입된 핫머니가 최근 빠져나가는 것은

 

중국 부동산과 그림자금융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야.

 

 

 

 

 

 

 중국달러화차입금.png

또 중국의 달러화 차입금이 2조 달러 (2천조원) 정도라 하니

 

최근 달러화 강세로 부채의 실질부담이 올라갈 것으로 생각해.

 

 

 

 

 

 중국3대리스크.jpg

 

중국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가 여러 있어서 

 

관심있게 지켜보는 중이야. ㅎㅎ

 

 

 

 

 

 

 3. 중국의 부채

 

1) 중국의 지방정부 부채는 1년 사이에 2배나 늘고, 올해 지방채 발행 한도를 3배나 늘렸음.

 

2) 중국의 부채 증가율은 상당히 빠른 편이고, 민간부채는 위험수준이란 이야기가 있음.

 

3) 중국 그림자금융과 달러 핫머니랑 관련성이 높다고 하는데, 핫머니가 최근 유출 중이라서 흥미로움.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_filter=search&mid=ilbe&category=&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ED%8A%B8%EB%A6%AC%ED%94%8C%ED%81%AC%EB%9D%BC%EC%9A%B4

 

 

 

 

 

3줄 요약

 

1. 최근 중국에 기업 디폴트가 발생하고 있다고 함. 국유기업 구조조정, 부동산 침체 여파로 생각.

 

2. 부동산 침체로 중국 금융권의 부실채권 비율이 빠르게 상승 중임. 아직 낮은 비율임.

 

3.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 증가속도가 빠르고, 민간부채가 위험수준에 도달했다는 주장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