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한 초등학교
1학년생들과 6학년생들을 나눠보니 학생수가 절반이나 차이가 남
갈수록 아이를 낳는 인구가 줄어드는 저출산
노년층의 비율이 높아지는 고령화
대한민국은 현재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맞이 하였다
그리고 우리보다 더 이른 시기에 저출산, 고령화를 맞은 이웃나라가 있으니 그건 바로 '일본'
경제발전이나 유행등...우리보다 10년 빠르다고 자주 언급되는 일본을 보면서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어떻게 되나 한번 봐보자
한국에서는 시골에서나 있던 폐교가 일본에서는 수도인 도쿄 중심지에서 발생...
(이제는 서울에서도 폐교를 하는 학교가 생겨나고있음)
정확히 말하자면 학교들의 통폐합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또한 저출산이 기인한바가 큼

도시 외곽쪽으로 점점 집은 텅텅 비어가고 상가는 미장원, 슈퍼, 빵집 정도만 남고 다 없어짐
노인들의 생계형 절도가 엄청나게 늘어남
대부분 훈방조치 되지만 몇몇은 노인 전용 교도소로 가는데, 교도소에서는 먹여주고 재워주니 너무 좋다고...
노인들은 언제 죽을지 알 수 없기에 소비를 안함
위 할머니의 경우, 일주일 동안 쓰는 돈이 만원정도임..
90년대에 비교해 절반가량이나 사라진 일본의 20세 인구...
고가 브랜드를 취급하는 상가들이 폐점하고 중저가 브랜드들이 속속 입점하게 된 긴자거리
청년층들도 고용불안과 급여문제로 소비를 줄임
정규직, 파견직, 시간제이냐에 따라 결혼율의 확연한 차이
현재 한국의 경우, 출산율이 일본만도 못함..
고령화 속도는 여타 다른 나라에 비해 엄청나게 빨리 진행중
일본의 경우, 80년대에 경제적으로 미국과 맞먹을 정도로 전성기를 구가했던 시절이 있었음
근데 한국은 그런 수준에 못 미친다..
준비도 부족하고 너무도 빠르게 저출산, 고령화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실....
또한 한국은 OECD국가중 근로시간 2위에 해당하는 나라이며
맞벌이 부부가 많으며 일과 육아를 공존하기가 현실적으로 힘들다.
둘째아이를 낳고 싶어도 무리가 많다
출처&편집
[KBS] 시사기획 - 저출산의덫 일본장기불황의교훈, 엔하위키미러 - 한국의 자살률 항목
한번씩 읽어봤으면 하는 마음에서 퍼왔다.
두줄요약
1. 누구보다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본과 같은 길을 걷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 -> 소비침체 -> 경제축소 -> 고용악화
(무한반복)
출처 - 개드립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