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율 알아보기 위해서 쓸수있는 방법을 알려줄게 . 결과가 궁금하다면 밑에 세줄요약에 현재 남성 미혼율이 있으니 결과만 봐도 좋아.
일단 미혼율을 알아보기 위해선 결혼건수와 특정 5개의 연령대의 인구수 그리고 마지막으로 5년전 미혼률 통계자료를 를 알아야 구할수있어
일단 우리나라 미혼율은
2010년 기준 자료이고 2010년 25~29세 즉 81년생부터 85년생이 현재 혼인건수를 통해 얼마나 결혼했는지 알아보도록하자.
일단 81년생부터 85년생 인구는 도합 1,579,784 명 이고 2010년 기준으로 85.4%가 결혼을 하지않았으니 211년도부터 13년도까지의 결혼건수를 구해보자고
자 보다시피 결혼건수인데 2013도 까지 25~29세 구간과 30~34구간을 모두 다 더하면 돼
3년간 두구간 총 결혼횟수는 642,079건수가 결혼을 하였고 여기서 33.3%가 81년생부터 ~85년생까지 결혼할 확률이야.
왜 33.3%라면 세개의 나이대 구간 (76,77,78,79,80) ,(81,82,83,84,85) (86,87,88,89,90) 이 세개의 구간이 일년씩 지날때마다 겹치기 때문에 총 결혼 건수의 33.3%가
원하는 해당구간 인구의 미혼율을 구할수있게 해주지
자그럼 기존 결혼인구 15%와 13년도까지 결혼한 인구는 205465 + 236967 = 442432
(20대중반 결혼인구)+(30대초반결혼인구)
자 44만명이 결혼을 하였으니까 현재 우리나라 81~85년생까지의 미혼율은 남성인구 1,579,784 대비 현재 72%가 미혼인 상태야
못믿겠다고? 그럼 팩트를 제시해줄게
연도별 미혼율 자료인데 1990년대 남자 25`29세 미혼율이 62.5였는데 2000년도 30~34세가 되었을때 미혼율은 28.1%가 되어버리지
미혼인구 62.5%에서 그중 34.1%가 결혼을 했다는 소리야. 그럼 다른자료를 살펴볼까? 2000년도 남자 25~29세인구 71.0%가 미혼상태였다가 5년뒤
41.3%가 미혼상태로 남아있게 되었지 오차값 4%정도 차이가 나지만 저정도면 어느정도 미혼율이 증가되는가는 파악할수있어.
한마디로 이상태로 아무리 좋아져봤자 81년생부터 85년생이 30~34구간에 안착이 되었을때 미혼율은 64%밑으론 내려가기 힘들다는 얘기지
이를 통해서 1인가구 사업을 하거나 혹은 내가 결혼을 포기하거나 늦게 한다고 이상한게 아니고 좋은여자 만나거나 없음 그냥 살아 괜찬아 너말고도 나도있어 ^^
세줄요약
1 현재 81~85년생 미혼율 72%
2 2015년까지 결혼건수가 증가해도 64%밑으로 미혼율이 떨어질 가능성은 희박
3 아무도 결혼안한잼 ㅋㅋㅋㅋㅋㅋㅋ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