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ㅇ 심게의 빈약한 글리젠을 조금이라도 채워놓고자


정보글을 간간히 쓰기로 했다


간혹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나 다음엔 이런 부분을 다뤄줬으면 좋겠다 하는거 말해주셈





일단 많은 것을 설명하기 전에 아래의 스샷을 보자


아래의 스샷을 하나하나 풀어가면 왠만한 궁금증은 해소된다.



주거성장 (1).jpeg


1. 중산층, 상류층을 모으고 싶은데 어떻게 함?


- 땅값(F7을 눌러 땅값 데이터 지도 확인)을 높여야 한다.


  중산층의 경우에는 주변 공공시설만으로도 어느정도 땅값이 확보되어 공원 없이 올라오는 경우도 있지만


  상류층의 경우엔 자연적으로 올라오기 힘드므로 공원을 확보해 주는 것이 좋다.



2. 땅값을 높이거나 낮추려면 어떻게 함?


- 기본적으로 공원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단 기초건물의 경우 땅값엔 영향을 주지 않고 행복도에만 영향을 주니 주의


   공공시설 (소방, 경찰, 의료, 교육, 정부기관)또한 땅값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세금의 조절을 통해 땅값과 같은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즉 세금을 낮추면 해당 계층의 사람들이 오기 쉽다. (단 서민계층의 경우 세금조절의 혜택없음)


   오염원으론 공장, 특성화 시설(단 관광 특성화 제외), 정류장, 범죄건물, 방치된 건물, 노숙자 등이 있다.



3. 빌딩 세우고 싶은데 어떻게 함?


- 행복도(F6)를 높이고 확장 정도(F9)를 눌러 확인하자.


   건물을 세울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부지 또한 필요하다. 대략 가이드 라인 따라 사각형을 최소한으로 잡고 한칸이 고밀도 건물 한채 정도 나온다.


   건물이 위치한 도로의 밀집도도 중요하다. 낮은 밀집도 도로엔 낮은 건물이 올라오고 높은 밀집도 도로엔 높은 건물이 올라온다.



4. 행복도 높이려면 어떻게 함?


- 건물을 클릭해 요구사항을 들어주면 올라간다.


   문제될게 없다면 자연히 올라간다. 공원, 공공시설, 세금을 통해 임의로 올릴 수 있다.


   주변의 범죄, 소방설비 부족, 쌓인 쓰레기, 오염, 질병과 같은 요인으로 행복도가 떨어지며 심하면 건물이 폐쇄된다.



자세한건 아래의 표를 보자



행복도.jpg


오른쪽으로 주거 상업 공업


아래쪽으로


죽음

높은 세금

건물에서 범죄가 일어남

임대료 지불 불가(수익 없음)

전기 없음

물 없음

가까운 범죄

쓰레기가 수집되지 않음

하수가 역류함

낮은 땅값

부상

중간 세금

세균

질병

오염

교육 없음

노숙자

전문대학 없음

종합대학 없음

치안 영역이 넓음

소방 영역이 넓음

보건차량이 방문함

범죄 예방 차량이 방문함

화물을 배송할 곳이 있음

공원 방문

관광객들의 방문

학생들의 방문

완벽한 쇼핑

낮은 세금



이렇다.



5. 빌딩밭인데 남들처럼 인구가 30,40만 하는게 아닌 고작 8,9만 밖에 안되는건 왜이럼?


- 중, 상류층이 많아서 그럼


   맨 위 표에도 나와있듯 인구비율이 6 : 3 : 1 임 (서민 : 중 : 상)



6. 인구는 10만인데 근로자가 5만밖에 안됨


- 각 건물별로 절반이 근로자임


   즉 거주인구가 100명이면 절반인 50명이 근로자 만약 그보다 적다면 시외 통근 확인



7. 땅값이 높은 지대인데 간혹 낮은 계층이 올라옴


- 공간이 부족해서 그럼 낮은 계층일수록 땅을 차지하는 영역이 좁은데 그곳을 비집고 들어옴


   이를 해결하고 싶으면 세금을 올리셈 각 계층별 적정 한계 세금은 12%, 11%, 10%






여기까지


별일 없으면 다음은 상업편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