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동물 좋아하는 일게이들 많네ㅋㅋ
2편까지 썼더니 소재 떨어져서 천천히 글싼다
항상 말한 거지만 나도 전문가는 아니고 그냥 취미로 좋아하는 거니 재미로 봐줬음 좋겠다
1편 : http://www.ilbe.com/138475168
2편 : http://www.ilbe.com/139827394
-------------------------------------------------------------------------------------------------------------------------------------
1. 나무캥거루
캥거루 하면 보통 떠올리는 캥거루와 달리
나무캥거루는 이름 그대로 나무위에 서식하는 몸길이 70cm 내외의 소형 캥거루를 말한다
사촌으로 비교적 잘 알려진 붉은캥거루가 몸길이만 1.5m 정도에 달하니 비교적 소형인 놈이지
캥거루는 초식동물이야
보통의 캥거루는 앞발에 비해 뒷다리가 특히 발달해있지만
나무캥거루는 원숭이처럼 앞, 뒷다리가 비슷한 길이로 성장해
이 놈들은 덩치는 작지만 나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경우 최대 9m 까지 점프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 놈들은 낮에는 나무 위에서 휴식을 취하지만
밤이되면 지면으로 내려와 물이나 먹이를 섭취한다
2. 주머니고양이
주머니 고양이는 현존하는 유대류 중 두 번째로 큰 포식동물이다
호주 대륙에만 한정할 경우
딩고를 제외하고는 가장 큰 식육동물에 해당하는 놈이지
주머니고양이는 유대류에 속하는 동물중 하나야
유대류는 말 그대로 어미가 주머니 속에 새끼를 키우는 동물들을 말하지
이는 포유동물 중 상당히 원시적인 형태로 이 종에 해당하는 동물들은 태반이 없기 때문에
위 짤처럼 인간으로 치면 태아에 가까운 새끼를 일종의 인큐베이터인 육아낭에서 길러
육아낭에서 새끼들을 키워 생존률을 높이는거지
위 짤은 주머니 속에서 성장한 새끼 주머니 고양이
유대류 동물들은 난태생에서 벗어난 포유류가 어떤 방식으로 진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진화론적으로 귀중한 유산이야
포유류의 진화과정에서 상당수의 포유동물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번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거의 대부분의 유대류 동물들은 다른 대륙들에서 멸종했고
현재는 호주의 유대류 동물들과 북미의 주머니쥐 정도만 생존해있어
3. 솔레노돈
솔레노돈은 식충류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상당히 원시적인 포유동물에 속해
몸길이만 40cm 정도로 식충류 중에선 상당히 큰 종에 해당하지
솔레노돈은 현재 2종만 생존해있어
위 짤의 쿠바 솔레노돈과 아이티 솔레노돈이 여기에 해당되
생김새에서 좀 차이난다는데 내가 보긴 거기서 거기네
솔레노돈의 가장 큰 특징은 독으로 먹이를 사냥한다는 거야
포유동물 중에선 매우 희귀한 행태야
앞니에 홈을 통해 독을 분비해서 개구리 등 대형 먹이들을 마비시키는데 쓴다고하더라
지난 편에 오리너구리가 유일하게 독있는 포유동물인줄 알았는데 이놈도 독있더라 ;; 자료 미흡 미안하다
4.안경원숭이
이번에 소개할 놈은 원숭이 중에도 상당히 원시적인 종인 안경원숭이다
저번에 아이아이 글쓸때 어떤 ㅄ이 아이아이가 안경원숭이냐 물어봐서 설명함
이 요다처럼 생겨먹은 동물이 안경 원숭이다
안경원숭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소형 원숭이 종이야
안경원숭이는 위 짤처럼 주로 곤충을 처먹고 산다
큰 눈은 이 종이 야행성임을 보여주는 증거로
발달된 시각을 통해 열대우림의 곤충들을 사냥해 먹고 사는 종이다
위 짤은 어린 안경원숭이찡
안경원숭이는 나무 위의 생활에 특화된 종이야
손가락과 발가락 끝에는 빨판이 있어서 나무를 움켜쥐는데 매우 유리하지
이 놈들은 눈동자를 움직이지 못해서 주위 사물을 볼때는 머리를 움직여야만 확인가능하다고 한다
5. 옛도마뱀(tuatara)
이번에 소개할 동물은 뉴질랜드에만 서식하는 옛도마뱀이다
옛도마뱀은 정확히 말하면 도마뱀은 아니다
도마뱀과 뱀 중간의 진화과정에 있는 종으로 추정되는데
이에 따라 도마뱀과 다른 특징이 상당수 목격되고 있지
옛도마뱀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제 3의 눈(third eye)를 들 수 있다
중2병 스러운 설정이 아니라 유년기에는 이마 위에 진짜 제3의 눈을 지녀
피부 밑에 존재하는 제3의 눈은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한다
이는 성장기에 비타민d를 더 잘 흡수하기위한 기관으로 추정되
옛도마뱀은 주로 곤충, 작은 포유류, 작은 동족을 먹고 살아
위 짤은 작은 동족을 처먹고 있는 옛도마뱀찡
투아타라는 장수하는 도마뱀으로도 알려져 있다
덩치는 24cm 정도로 작은 편이지만 수명은 100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보통 파충류는 온도가 높아야 잘산다 생각하는데 이 종은 28도 이상에선 폐사한다 하더라
6. 극락조 (bird of paradise)
이번에 소개할 동물은 조류 중에서도 깃털이 매우 화려한 극락조(bird of paradise)다
극락조란 이름 답게 극락조과의 새들은 모두 화려한 깃털을 자랑해
위의 raggiana 극락조도 마찬가지로 아름다운 깃털로 암컷을 유인한다
극락조과의 새들은 모두 독특한 깃털을 특징으로해
모두 암컷과 ㅅㅅ를 하기위한 수단이지
위 짤은 six-wired 극락조 수컷
하지만 아름다운 깃털을 지닌 극락조들은
그 깃털들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경우가 많아
원래 극락조 깃털을 사용하는 원주민들 외에도 수집가들의 사냥으로 인해 현재는 멸종위기에 속한 종이 많지
7. 벌잡이새(bee-eater)
마지막으로 소개할 종은 벌잡이새다
이름 그대로 비행 곤충, 특히 이 중에서도 꿀벌 및 말벌을 주식으로 삼는 종이다
위 짤은 벌잡이 새중에서도 소형인 작은 벌잡이새다
위 짤은 호박벌을 처먹고 있는 유럽 벌잡이새
벌잡이새들은 대개 강둑에 있는 흙벽에 둥지를 지어
여기서 종에 따라 2~9개 정도의 알을 나아 키우지
일부 벌잡이새들은 매우 복잡한 가정구조를 지니고 산다
특히 위 짤의 white-fronted 벌잡이새 등이 대표적인 종류지
이 종의 경우 2내지 3개의 짝이 무리를 지어서식해
대개 일부일처제 조류들이 마누라 하나만을 바라보는 것과 달리
이 벌잡이 새 들은 본처를 두고도 바람을 피우는데 정신이 없다고 한다
그럼 암컷들도 가만히 있느냐 그건아니다
암컷들도 다른 암컷들의 둥지에 새끼를 낳아 일명 탁란(다른 어미의 둥지에 새끼를 낳아 키우게 하는것)을해
결국 둥지마다 새끼들이 애비다르고 애미다른 막장드라마같은 상황이 벌어지는거지
--------------------------------------------------------------------------------------------------------
이번 글은 여기서 끝낸다
전에 3개 글 쌌더니 더 쓸게 생각이 안나네 ㅋㅋ
혹시 틀린거 있음 지적 부탁한다
p.s 오리너구리만 독있는 포유동물인줄 알았는데
찾다보니 솔레노돈도 독있는 포유동물이더라
자료 조사 미흡 미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