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브루나이 경제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브루나이 소개


2. 브루나이 경제


3. 브루나이 특징 


4. 브루나이 최근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루나이 소개


위치.JPG


브루나이는 동남아에 위치한 작은 나라로 


국토 면적이 경기도의 절반 수준이며 







소개_20170712_아시아경제.jpg


인구 41만 명의 정말 작은 소국이야. (2017)







술탄.jpg


브루나이는 이슬람이 국교이고 


술탄이 통치하는 전제군주제 국가로 







왕실.jpg

(사우디처럼 샤리아 율법을 엄격하게 시행함.)


사우디아라비아와 비슷한 조금 특이한 나라라고 해. 







지도2.jpg

(땅 면적이 제주도의 3배 정도.)


브루나이는 땅이 매우 작은 소국이지만 







유전2.jpg


운이 좋게도 브루나이 앞바다에 해상유전이 있어서


석유가 나름 풍족하게 나오고 있어. 






국민소득.jpg

(2017 IMF 기준 브루나이의 1인당 GDP는 27,893 달러)


덕분에 브루나이의 1인당 GDP는 동남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높게 나오고 있고 (2015)






사회지표.JPG

생활수준이 동남아에서 굉장히 높은 나라라고 해. (2015)







1. 브루나이 소개 요약


1) 브루나이는 동남아에 위치한 소국으로 인구 41만 명임. 


2) 술탄이 통치하는 전제군주제 국가이며 이슬람이 국교라고 함. 


3) 산유국으로 동남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부유하다고 함. 







2. 브루나이 경제


해상유전.jpg


브루나이 경제의 중심은 


브루나이 앞바다에 있는 해상유전으로 





왕정_2017112_중앙.jpg


GDP의 62%, 수출의 98%, 정부수입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2017)







석유생산.jpg


브루나이(Brunei)의 원유생산량이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지만 







복지.jpg


브루나이 인구가 40만 명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인구 대비로 볼 때 상당히 풍족하다고 해. 







수출입구조.jpg

브루나이는 원유를 수출하고 석유, 제조업 제품, 


곡물 등을 수입하는 나라로 (2013)







무역파트너.jpg

같은 아시아 국가들과 무역을 주로 하고 있어. 







경제소개.JPG


브루나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비슷하게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빈약하고


 





지형도.JPG

(국토의 80%가 정글이고 5%만 경작지로 사용함.)


국토 대부분이 평평한 편인데, 농사를 잘 안 지어서


농업도 약하다고 해. 







2. 브루나이 경제 요약


1) 수출의 98%, GDP의 62%, 정부수입의 90%가 석유에서 나온다고 함. 


2) 원유 생산량이 많지는 않은데, 인구가 40만 명이라 인구 대비로는 많음. 


3) 제조업과 농업이 빈약해서 전자제품과 식량 수입을 많이 하고 있음. 







3. 브루나이 특징 


인구밀도.jpg


브루나이는 인구 대부분이 해안지방에 몰려있고 


내륙에는 거의 안사는 편이라 







위성사진.jpg


해안지방만 발달하고 


내륙은 개발이 거의 안 되어 있어. 







배틀트립_브루나이.jpg


그래서 브루나이의 땅은 도시 지역과 정글로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고 해.  







시내.jpg


브루나이의 도시는 비교적 잘 꾸며져 있고 


애국심 고취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며







수상가옥-한달30만원.jpg

(브루나이 인구의 10%가 수상가옥에서 거주함.)


물 위에 집을 만든 수상 가옥이 


굉장히 많다고 알려졌어. 







인구대비자동차보급률.JPG


그밖에 브루나이의 특징은 인구 대비 자동차 수가 


굉장히 많고 (2017. 세계 2위)







인터넷속도.jpg


인터넷 속도가 의외로 느려서 


IT인프라가 생각보다 안 좋으며 (2014)







재산_2015013_중앙.jpg

(200억 달러 = 21조 원)


브루나이 국왕에게 국부와 권력이


매우 집중된 점 등이 있다고 해. (2015)







3. 브루나이 특징 요약


1) 인구 대부분이 해안 지방에 몰려있고 내륙은 미개발 상태임.  


2) 그래서 브루나이의 국토는 도시지역과 정글로 크게 차이난다고 함. 


3) 물 위에 만든 수상가옥에 브루나이 인구의 10%가 거주한다고 함. 







4. 브루나이 최근 상황


경제비중.jpg


브루나이는 국가 경제의 60%를 


석유산업에 의존하고 있고 (2017)  







경제규모.jpg


경제규모가 매우 작은 나라라 국제유가 변동에 


경제가 크게 휘둘리는 편이야. (2012)







경제성장률_20150507.jpg

그래서 브루나이의 경제성장률 


증감률이 매우 크고 (2014)






What did Brunei Darussalam export between 1962 and 2016.jpg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수출액 변동 폭도 매우 크다고 해. ㄷㄷ (2016)







국제유가.jpg


브루나이는 2015년 이후 국제유가 하락 때문에 


경제가 크게 안 좋아진 상태로 (2017)







경제성장률2.jpg


2016년도 브루나이(Brunei Darussalam)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2%를 찍었어. (2017)







석유생산_20150507.jpg

(브루나이의 유전은 2030년쯤에 고갈될 수 있다고 함.)


브루나이는 국제유가 하락뿐만 아니라


원유 생산 감소 문제도 있어서 (2015)







경제소개.JPG

브루나이 경제의 체질개선을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해. 







화폐.jpg


마지막으로 브루나이가 이슬람 율법에서 벗어나


진짜 개방적인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고 







경제규모2.jpg

(브루나이 인구 40만 명, 라오스 인구 712만 명)


라오스보다 경제규모가 더 큰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4. 브루나이 최근 상황 요약


1) 브루나이는 수출의 98%, 경제의 60%를 석유산업에 의존함. 


2) 원유 생산 감소, 국제유가 하락으로 브루나이 경제가 안 좋음. 


3) 2016년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2%를 기록했다고 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77097080







3줄 요약


1. 브루나이는 동남아에 위치한 인구 40만 명의 소국임. 


2. 석유가 나와서 동남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잘 살음. 


3. 전제군주제이고 이슬람 율법의 힘이 강해서 나라가 좀 특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