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경영학을 전공하고 있는 게이야. 가끔씩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에 대해 물어보는 글이 고게나 잡게에 올라오던데 다들 어느정도는 알고 있지만 자세히는
모르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구. 그래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됬다.
리먼브라더스는 150년 역사를 가진 월가에서 가장 오래된 투자은행으로 파산에 이르기 전 모기지 증권을 발행, 큰 타격을 입게되.
이러한 신용위기의 여파로 국제적으로 미국발 금융위기가 찾아오게 되고, 국내 금융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어.
이러한 전세계 금융시장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던 미국의 금융위기는 이른바 '서브프라임'으로 부터 시작되.
그림을 보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꺼야.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신용도가 일정기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부동산 담보대출이야.
쉽게말해서 미국의 신용등급은 여러가지가 있어. 프라임등급, 서브프라임등급 등.. 그중 서브프라임 등급은 굉장히 낮은 등급에 속해.
신용도가 낮은만큼 금리가 높고, 담보 부동산을 기초로 채권을 발행하고, 대형 투자은행은 채권을 매입하는 형태로 자금을 지원해주게 되.
2006년에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전체 모기지 대출에 20% 이상을 차지하는 큰 인기를 얻게되.
왜냐하면 집을 갖고 싶은데 돈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안성맞춤인 상품이 였거든.
다시말해서,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높은 이자를 받고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거라 할 수 있어.
너희들도 이쯤에서 생각하겠지. 당연히 사람들은 진짜 빚을 값지 못하게되. 2007년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상품의 연체율이 13%를 넘게되.
당연히 부실에 대한 위험때문에 미국 금융시장의 위험 뿐만아니라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게 되.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수익률이 높기때문에 헤지펀드나 세계의 많은 금융업체들이 막대한 금액을 투자했어. 물론 우리나라도 투자한건 마찬가지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파생상품의 일종인데, 여기서 파생상품이란 국공채, 통화, 주식 등 기초자산의 가격이나 자산가치 지수의 변동에 의해 그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계약을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리스크 회피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선물, 옵션, 스왑 등을 의미해(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기초자산은 바로 '집값' 이야. 미국주택시장이 침체 되면서 미국의 집값은 떨어지기 시작해(물론 다른 복합적인 요인도 존재함)
또 대출금에 대한 금리도 치솟기 시작하지. 당연히 금리가 높아져서 이자를 많이 내야되는데 대출자들은 그거를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이 였어.
기초자산(집값)의 가격이 떨어지면 그거로 파생되어 나온 파생상품의 가격이 떨어지는건 두말할 것 없지. 또 대출자들은 집을 팔아서 대출금을 상환해야 되는데
집을 팔아도 대출금을 상환 못하니 부실채권만 생기게 되고 결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상품을 만들어 냈던 은행이나 투자회사들은 부도처리가 되.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은 미국 역사상 최대규모의 기업파산이 였어. 그래서 이 사태를 리먼브라더스 사태라고 부르기도 해.
금감원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은행이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투자하면서 총 입은 손실액이 5억 6천 300만달러(5200억원) 정도라고해.
적은액수가 아니지?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은 한국주식에 투자한 상품에 가입되어 있어서 연쇄적으로 피해를 입게 되.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업들이 투자금액중 상당부분이 손실처리가 되서 신용경색을 낳았고 기업들이 자금난을 겪게되. 금융기관이나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대출이나 투자를 꺼리게 되어, 회사들은 높은금리를 주고 돈을 빌려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영난은 심각해져.
여기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어느 한곳의 금융위기가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퍼진다는 거야.
미국은 이래선 안되겠다 싶어서 구제금융을 펼치게되. 7000억달러(엄청나지?)의 자금을 들여서 금융회사를 사들이기로 계획해. 이 자금은 미국의 GDP의 5%수준
밖에 안되지만 우리나라의 IMF 위기(당시 투입자금은 우리나라 GDP의 28.7%)보다 훨씬 규모가 큰거였어.(천조국 클라스 ㄷㄷ)
사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부동산담보대출(모기지)의 기준인 LTV나 DTI를 상당히 까다롭게 잡고 있어서 미국과 같은 모기지 파생상품으로 인한 위기는 찾아오지
않을꺼라고 생각되.
위 그림은 우리 가카께서 미국발 금융위기를 잘 대처하신 자료라고 볼 수 있어. 어떻게 극복했는지는 일베에 무수한 산업화 자료를 뒤져보면 나와있으니
검색해보길 바래.(위짤은 일베에서 가져옴(http://www.ilbe.com/154699400))
최대한 쉽게 설명할라고 전문적인 용어는 배제하고 썼는데 어떨지 모르겠네.
이 다음에 유럽발 금융위기도 찾아오는데 그건 반응좋으면 쓰도록 할게.
세줄요약
1. 미국의 투자회사들이 서브프라임급의 신용등급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동산 대출을 해주기 시작함. 이를 바탕으로 파생상품을 판매하기 시작.
2. 이후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리 상승으로 대출자들이 대출자금을 값지 못하게되서 리먼브라더스, 베어스턴스 등 부실채권이 생기면서 운지
3. 세계경제 및 투자자들도 운지. 우리나라는 나름 잘 극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