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전쟁 여파, 하늘길로 번져…미중 항공 경쟁 ‘2라운드’ 진입
![]() |
에어차이나 항공기 [로이터] |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다음 달부터 미국으로 운항하는 중국 항공기의 러시아 상공 비행이 금지될 예정인 가운데, 중국 6개 항공사가 이 조치의 철회를 요구하는 서한을 미국 교통부에 보냈다고 로이터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동방항공,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등 6개 항공사는 최근 미 교통부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의 결정으로 인해 일부 주요 노선의 비행시간이 2~3시간 늘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승객들이 연결편을 놓칠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항공사들은 또 “비행시간 증가로 항공 운항 비용이 상승해 항공 요금 인상과 노선 마비 등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는 미국과 중국 승객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남방항공은 “다음 달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어지는 성수기 동안 최소 2800명의 승객이 예약을 변경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자체 추산치를 제시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미 교통부는 지난 9일 “미국 항공사와 중국 항공사 간 불공정한 경쟁 환경을 바로잡겠다”며 미국에 취항하는 중국 항공기의 러시아 상공 비행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해당 조치는 최종 승인 절차를 거쳐 오는 11월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미국은 러시아가 2022년 3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러시아 항공기의 미국 상공 통과를 금지했다. 이에 러시아도 미국 항공기의 자국 상공 비행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미국 항공사들은 러시아 영공을 우회해야 하지만, 중국 항공사들은 여전히 러시아 상공을 이용해 비행시간 단축과 연료 절감 효과를 누려왔다는 것이 미국 측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은 “러시아 상공을 이용해 미국행 항공편을 운항하는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도 제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교통당국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항공업계 단체인 ‘에어라인스 포 아메리카(Airlines for America)’는 교통부의 이번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미·중 항공사 간 여객편 수의 균형을 유지하고, 항공 수용 능력이 시장 수요에 합리적으로 연동되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를 ‘부당한 제재’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궈쟈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의 중국 항공사 운항 제한은 양국 간 인적 교류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미국은 다른 나라를 부당하게 억압하고 그 부담을 전 세계 소비자에게 떠넘기기보다는, 자국 정책이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되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