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원의장이었던 뉴트 깅리치가 트위터로 한마디 한 줄로만 알았는데, 장문의 기고문까지 남겼었네

https://www.washingtontimes.com/news/2025/aug/27/korean-crisis-freedom-democracy/

 

 


요약: The Korean crisis of freedom and democracy (워싱턴타임스, 기고문)

  1. 한미 정상회담 기대와 성과

    •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은 원래 긍정적 이벤트로 기대되었음.

    • 특히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을 활용해 미국의 낙후된 조선·해군·해안경비대 함정 건조 체계 현대화에 협력하기로 하며 큰 성과를 거둠.

    • 한국은 전 세계 상선의 약 35%를 건조하며,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조선 강국임.
       

  2. 민주주의·종교 자유 위기

    • 그러나 새 정부(이재명 정부)의 강경한 정치·종교적 탄압은 충격적이라는 평가.

    • 보수 야당과 교회 신도 명단을 요구해 대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를 정치적 탄압 수단으로 활용할 우려가 있음.

    • 주요 보수·종교 지도자들의 자택과 사무실에 대규모 압수수색이 진행됨. (예: 경찰·검찰 1,000명이 새벽 7시에 특정 지도자의 집과 사무실을 급습)
       

  3. 미국의 반응

    • 한국-미국 합동 군사기지까지 한국 정부가 미국에 알리지 않고 압수수색을 벌여 외교적 충격 발생.

    • 이로 인해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이 한미 외교·안보·통상 회담을 취소.

    • 트럼프 전 대통령은 Truth Social에 “한국에서 숙청이나 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는 비즈니스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올리고, 직접 이 문제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제기.
       

  4. 미래 전망

    • 트럼프의 직접적 경고로 한국 정부가 경찰국가적 전술을 철회할지 여부가 향후 몇 주간의 관전 포인트.

    • 칼럼은 현재 한국 정부의 행태가 중국식 전체주의와 유사하다고 비판하며, 미국은 수십 년간 한국의 법치주의를 지켜온 만큼 이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함.


결론

칼럼은 이번 방미의 **경제·안보 협력 성과(조선업 협력)**와 함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정치·종교 탄압)**을 동시에 조명. 이재명 정부가 중국식 통제 모델로 기울 경우 한미 관계가 심각한 갈등 국면에 들어설 수 있다고 경고하는 내용입니다.


 

트럼프의 숙청과 혁명? SNS 이후 판이 커진다. 미국 언론들이 한국 상황에 대해 의문을 갖고 점점 물고 있다.